한국현대미술 시리즈Ⅱ 화화-반려·교감 (畵畵-伴侶.交感)

2017.05.16 ▶ 2017.07.09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17년 05월 15일 월요일 04: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Press Release

    『화화-반려·교감』은 미술의 오랜 표현 대상인 동물과 식물을 주술이나 기원, 상징의 의미가 아닌 사람과 감정을 나누고 서로 위로 받는 사이인 '반려'의 의미로 해석한 작가들의 작품을 모았다. 작가들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기록과 사회에 대한 기록, 대상에 감정을 표현하려고 한 작품들 속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작가와 만나고, 관람객 스스로와 만나는 시간이 될 것이다. 또한 격주 수요일 저녁에는 미술관콘서트가 이루어지고 어린이와 청소년 때로는 부모님과 함께하는 '미술로 토론하기'프로그램을 통해 재미있게 작품과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다. 6월 10일에는 학술 행사를 통해 작가들의 연구 발표도 함께 진행 할 예정이다. ■ 세종문화회관

    시각예술로 반려읽기
    한국 현대시각예술에서 주연급 동식물이 등장한 것은 그리 오래된 역사가 아니다. 좁은 지형을 지닌 미술계는 유행의 주기가 빨라 새로운 시각예술에 대한 미학적 조어(造語)가 완성되기도 전에 사라지기 일수다. 반려(동물, 식물)에 대한 이야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사회 현상에 대한 일차원적 반영 혹은 감정적 접근 외에 충분한 미학적 담론이나 연구 없이 반복적으로 소비되기 급급하다. 이러한 시점에 마련된 『畵畵-반려·교감』 전시는 전형적 반려(애완과 통용되는 개와 고양이 정도를 다룬 전시)와는 조금 다른 접근법을 보인다.

    1. 반려의 등장
    『畵畵-반려·교감』에서는 개와 고양이뿐 아니라 식물과 벌레, 곤충까지 포괄적인 대상의 작품을 다루고 있다. 이는 단순히 지금의 미술에 국한된 반려의 등장이 아닌 미술사 안에 존재했던 반려의 맥락을 찾고자 하는 시도로 읽힌다. 사실 조선시대 실록에는 매(鷹) (李睟光, 『芝峯類說』 권5, 『儒道部.寡慾』) 와 개(犬) (趙纘韓, 『玄洲集』 권2, 『愛士癖[課製]』)등이 가축이 아닌 반려로써 등장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문헌이 다수 등장하며, 이들은 문학과 회화, 궁궐과 일반 사회 전반에 걸쳐 회자되었음을 알 수 있다. (『成宗實錄』17년(1486) 5월 11일 『孝寧大君卒記』. "李補가 일찍이 절에 가서 예불할 때에 讓寧大君 李禔가 개를 끌고 팔에 매를 얹고...") 따라서 우리가 사회현상으로 손쉽게 판단한 반려의 등장시점과 예술 작품을 통해 등장한 반려는 시간적으로 꽤 큰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회화 즉 미술적 관점에서 반려에 대한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개와 고양이를 넘어 식물과 벌레, 새 등을 동시에 전시로 다루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의 시각예술에서 다뤄지는 반려는 왜, 어떻게 창작자의 선택과 주목을 받으며 예술의 주연이 되었을까.

    2. 대상로서의 반려
    단어 그대로 시각예술작품의 대상 자체가 반려의 그들인 경우다. 시각예술가에게 대상이란 개인적인 감정으로 눈치 챈 미묘한 낌새의 대상이며 표현욕을 충족시킨 구조적 대상이다. 즉 그리기를 통해 대상을 포착한 것이다. 노석미 회화의 고양이들은 작가의 오랜 소재이자 일상의 삶이다. 고양이와의 동거동락을 통해 획득한 예술적 영감을 다른 조형언어로 대체하지 않고 그대로 담았다. 반려라는 단어처럼 감정과 애정이 담긴 고양이들이 노석미의 회화 속에 가족의 초상과 유사한 언어로 구현된다. 윤정미 사진도 비슷한 출발점을 갖는다. 그러나 사진이라는 매체의 특징을 활용한 작품은 사실의 기록과 개인적, 사회적 현상을 동시에 다룬다. 사진에 담긴 사람과 동물은 실제 반려 중인 대상들이며 차가운 카메라에 옮긴 따뜻한 감성을 선사한다. 허윤희의 대상 반려는 식물이다. 자연에서 획득한 나뭇잎으로 매일의 일기를 문자대신 그려 적는다. '맑음, 흐림, 비 혹은 눈' 따위의 단조로운 날씨를 대신한 나뭇잎은 작가의 관심을 부여받지 못했다면 남겨지거나 기록되지 못할 대상이다. 버려지고 사라지는 것에 대한 사유가 깊은 목탄작가 허윤희의 대상인 반려자연은 그래서 더 특별하고 개개의 가치가 탁월하다. 그에 반해 공성훈의 개는 퇴근길을 유일하게 맞아주는 일반적 애완의 개처럼 보이나 실상은 식육공장 앞에 매인 개들에 대한 이율배반적인 인상을 화면에 다큐멘터리처럼 담아내고 있다. 애완과 식육의 구분이 모호한 실존의 개를 목격한 창작자의 시선을 통해 담긴 화면은 불안과 어울리는 색감과 황량함으로 처리된다. 사실, 시각예술가의 선택을 받은 대상은 모두 특별하다. 시각예술가들은 우리가 미처 보지 못한 부분을 조형언어를 통해 알려주거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잘 알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 특별한 정보를 주는 역할을 한다. 반려가 그들의 대상이 되었을 때, 색과 크기, 종(種)의 분류 외에 예술이 제공하는 감동이라는 가치를 목격하게 된다.

    3. 인격화된 반려
    현대시각예술은 미(美)적 대상만이 시각화 되진 않는다. 미추(美醜)에 대한 논쟁과 별개로 비미적(非美的) 대상들이 예술로 다뤄짐은 더 이상 특별한 사건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예술가들은 종종 인간이 아닌 대상에 인격을 부여한다. 조선시대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연시조 오우가(五友歌)는 수(水)·석(石)·송(松)·죽(竹)·월(月)을 다섯 벗으로 삼아 각각 그 자연물들의 특질을 들면서 사물에 대한 짙은 애정을 드러낸다. 김지원의 회화에 자주 등장하는 맨드라미는 식물이지만 표피에 가늘고 무수한 털, 동세가 느껴지는 형태로 동물적 특징을 동시에 보유한 형태로 많은 시각예술가들의 대상이 되곤 한다. 그러나 김지원이 부여한 의미는 조금 다른 지점이다. 붉게 피어 만개했다가 늦가을이 되면 고개를 떨구는 맨드라미를 통해 희로애락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발견한 것. 바로 맨드라미에 인격을 부여하고 실존을 목격한 것. 조금 다른 방식의 박형진식 인격부여는 동물과 식물 모두를 포괄한다. 개와 친구가 되고, '너'라고 칭하며 '아이'와 '개'보다 큰 나뭇잎은 단순한 배경이나 그들의 놀이의 대상이라기보다 함께 노는 친구와 유사한 구조를 보여준다. 화면을 포진하고 있는 구성적 부분이 그러함은 물론이거니와 '아이'와 '개'에게 그늘을 선사하고, 기꺼이 등허리를 내어준다. 박형진이 부여한 인격의 대상인 반려는 친근하고 따뜻한 회화로 귀결된다. 권두영은 한국에서 태어나 한 번도 양몰이를 경험해보지 못한 양몰이 개 '보더 콜리'에게 HMD를 통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아트를 선보인다. 주목할 지점은 '체험'이라는 단어다. 분명 '개'가 보고 경험하는 방식이지만 교육이나 훈련이 아닌 체험이란 단어를 통해 개의 감성과 인간의 감성을 유사한 범주로 확보함으로써 반려에 대한 사회적 현상과 미디어 아트가 적절하게 합일된, 견격이 아닌 인격이 부여된 작품으로 해석된다.

    4. 투사된 반려
    시각예술에 있어 대상에 작가의 심리적 투사는 매우 흔한 일이다. 『畵畵-반려·교감』의 작가들도 어떤 상황이나 자극에 대한 해석, 판단의 심리 상태나 성격을 반려에게 투사한다. 강석문이 공원에서 목격한 것은 아이와 동물이 뒤엉켜 신나게 노는 풍경이다. 여기에 어린아이의 표현방식과 유사한 선과 색은 마치 아이의 손을 통해, 강아지와 고양이의 즐거움을 작가의 감정과 흥겨움으로 투사한다. 또한 수묵담채로 진행한 화면은 문인화적 구성을 벗어나 경쾌한 교감, 감상자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이끌었다. 소윤경의 반려는 조금 다른 종(種)이다. 곤충과 사람이 같은 크기로 묘사되며 대등한 관계임을 드러낸다. 더구나 서로를 부둥켜안거나 곤충에 의지해 사람이 비행을 하는 등 소윤경이 제시한 서사는 단순하지 않다. "작고 보잘것없어 보이는 그들 사이에서도 사랑이나 집착, 애증과 질투 등의 다양한 감정들이 만들어집니다. 인간이 가지지 못한 육체적 능력을 가진 새로운 콤비들의 등장과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내러티브는 인간들만의 관계와 결코 다르지 않습니다. 그들은 변치 않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연대의식으로 최후까지 삶과 죽음을 함께합니다." 곤충이 반려가 되지 못한다고 누가 말할 수 있겠는가. 그런 반면 곽수연의 그림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전형적인 반려이자 작품의 전반을 이끌어가는 화자(話者)다. 작가는 인간화 되어진 동물들을 통해 사람에 대한 얘기를 한다. 동물들로 인해 그림 속에서 진짜 인간에 대한 생각을 다시해보고 인간적인 정감을 그림으로 나타내길 희망한다. 또한 사회 현상을 풍자하고 해석하며 사람들과 소통을 꿈꾼다. 이동기의 투사는 조금 복잡하다. 우리나라의 진돗개를 모티브로 창조된 '도기독'은 머리와 몸체를 표현한 방식이 제각각인 점이 특징이다. 거대한 강아지의 얼굴은 계단식으로 각이 져 있다. 반면 몸통은 부드러운 선을 가진 둥근 기둥 모양이다. 마치 보통의 강아지와 로봇강아지를 합성시킨 만화 캐릭터의 느낌이다. 실제 작가의 회화작품에서 도기독은 아토마우스의 반려견으로 등장한다. 아토마우스는 일본 만화가 데스카 오사무의 캐릭터인 아톰과 디즈니의 캐릭터인 미키마우스를 합성한 캐릭터다. 즉, 작가는 아토마우스를 통해 사회현상을 투사했고 이렇게 인격화된 캐릭터 아토마우스의 투사는 도기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동기뿐 아니라 투사된 반려의 회화상 역할은 단순한 문장으로 귀결짓긴 어렵다. 완벽한 문맥과 연결고리가 있어야만 얻어지는 개념이나 동의가 아닌 감정적 소통으로 교감하는 코드이기 때문이다.

    현대시각예술은 사회현상과 격리되어 예술을 위한 예술만을 노래하진 않는다. 소통을 위한 방법은 웅변과 역설도 있겠지만 교감과 동감이 조금 덜 불편할 것이다. 예술을 통해 자신과 사회의 이야기를 하려는 창작자에게 반려란 시대적 키워드는 어쩌면 필연적일지도 모른다. 현대시각예술가들은 이미 자신의 일상을 예술화하는데 익숙하다. 그래서 마련된 『畵畵-반려·교감』이다. 현대시각예술을 관람한다는 것은 사회와 만나는 방식 중 하나다. 반려라는 사회현상을 예술로 만나는 것. 예술가에게 반려란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지 소통하는 것. 예술과 반려와 일상과 현대라는 여러 가지 갈래를 교감이라는 큰 울타리 안에서 함께 키울 때 삶이 얼마나 더 풍요로운지 느낄 수 있는 것. 그림·반려·교감. ■ 김최은영


    □ 부대행사 1 – 미술관 플러스
    - 5월 31일 (수) 18:00~19:00 문화가 있는 날
    북 칼럼리스트 '박사'가 들려주는 낭독회 「곁에 있어 다행이야」
    진행_박사
    - 6월 14일 (수) 18:00~18:50
    작곡가 이소의가 들려주는 음악이야기 1 「인상주의 미술과 인상주의 음악의 이해」
    해설이 있는 피아노_이소의 | 비올라_변정인 | 클래식 기타_정욱
    - 6월 28일 (수) 18:00~18:50 문화가 있는 날
    작곡가 이소의가 들려주는 음악이야기 2 「표현주의 미술과 표현주의 음악의 이해」
    해설이 있는 피아노_이소의 | 바이올린_김현수, 김소정 (듀오 제미니)
    - 7월 5일 (수) 18:00~18:50
    작곡가 이소의가 들려주는 음악이야기 3 「현대미술과 현대음악의 이해」
    작곡가_이소의 (강연 및 피아노 연주)

    □ 부대행사 2 – 미술로 토론하기
    친구들과 전시도 보고 토론도 하고~ 아트 리터러시 Art Literacy 강화 교육 프로그램
    미술 감상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집단적인 차원으로 확대시켜
    '토론'을 통해 자신의 감상을 당당하게 이야기하는 교육 프로그램
    - 개별 전시감상 ▶ 토론 및 활동(1시간 30분) ▶ 단체 도슨트 해설
    - 입장권+교육비: 성인 15,000원 | 어린이 12,000원
    - 교육 주최: 문화콘텐츠교육연구소 담
    - 예매: www.sejongpac.or.kr 02-399-1152

    □ 부대행사 3 – 학술행사
    - 주제: 예술창작에서의 소통의 미학 : 반려, 교감
    - 일정: 6월 10일 (토)
    - 장소: 세종문화회관 세종예술아카데미
    - 주관: 동서미술문화학회

    전시제목한국현대미술 시리즈Ⅱ 화화-반려·교감 (畵畵-伴侶.交感)

    전시기간2017.05.16(화) - 2017.07.09(일)

    참여작가 강석문, 공성훈, 곽수연, 권두영, 김동호, 김명진, 김상철, 김선형, 김제민, 김지원, 노석미, 박상혁, 박용식, 박장호, 박재철, 박형진, 방은영, 배종헌, 백지혜, 변대용, 소윤경, 엄아롱, 윤정미, 이경미, 이광호, 이동기, 이소연, 이윤엽, 이주은, 전승일, 정우재, 정찬부, 조원강, 한진수, 허윤희, 허진, 강성원

    초대일시2017년 05월 15일 월요일 04:00pm

    관람시간월~일요일 10:30am - 08:00pm (30분 전 입장마감)

    휴관일없음

    장르회화

    관람료성인 9,000원
    어린이 및 청소년(~만 18세) 4,000원
    *세종유료회원 20%~10%할인

    장소세종문화회관 미술관 SEJONG CENTER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

    주최(재)세종문화회관

    후원서울특별시, 네오룩, 에이루트

    연락처02.399.1000

  • Artists in This Show

세종문화회관 미술관(SEJONG CENTER)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10회 종근당예술지상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22.09.21 ~ 2023.10.02

  • 작품 썸네일

    중견작가전 COUNTDOWN 2021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21.12.03 ~ 2021.12.26

  • 작품 썸네일

    Sejong Collector Story III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21.11.09 ~ 2021.11.28

  • 작품 썸네일

    2021 제16회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21.09.22 ~ 2021.10.05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백윤조: Every Little Step

    갤러리조은

    2024.02.29 ~ 2024.03.30

  • 작품 썸네일

    올해의 작가상 2023 (Korea Artist Prize 2023)

    국립현대미술관

    2023.10.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갈라 포라스-김: 국보

    리움미술관

    2023.10.3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2023 타이틀 매치: 이동기 vs. 강상우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3.11.23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서울시립미술관

    2023.12.2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문신 모노그래프:비상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03.07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시적추상(時的抽象)

    전남도립미술관

    2023.12.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김한라 : 둥글게 이어진 사이

    갤러리 도스

    2024.03.27 ~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