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Hello! Contemporary ArtⅠ - 야외설치 1977로부터

2017.07.21 ▶ 2017.08.19

봉산문화회관

대구 중구 봉산문화길 77 (봉산동, 봉산문화회관)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작가와 만남 & 오프닝 : 2017년 07월 21일 목요일 06: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권혁규

    가상공원 Virtual Park 인조잔디, 러버콘, 스프링클러_1600x700x240cm_2017

  • 작품 썸네일

    권혁규

    가상공원 Virtual Park 인조잔디, 러버콘, 스프링클러_1600x700x240cm_2017

  • 작품 썸네일

    김형철

    Highlight Steel & Mirror_150x100x180cm_2017

  • 작품 썸네일

    김형철

    Highlight Steel & Mirror_150x100x180cm_2017

  • 작품 썸네일

    서상희

    OPEN 가상정원 virtual garden 식물, 혼합재료_가변크기_2017

  • 작품 썸네일

    서상희

    OPEN 가상정원 virtual garden 식물, 혼합재료_가변크기_2017

  • 작품 썸네일

    박정기

    The Garden Ⅱ_bamboo grass, sound of radio noise_가변크기_2017

  • 작품 썸네일

    박정기

    The Garden Ⅱ_bamboo grass, sound of radio noise_가변크기_2017

  • Press Release

    2017Hello! Contemporary Art-야외설치 1977로부터

    ‘Hello! Contemporary Art’ 전시는 동시대성의 참조와 이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개별적 감성들의 시각적 축적을 선보이면서 세계 인식을 상호 연결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지난 2014년, ‘야생 서식지’를 떠올렸던 미디어아티스트 류재하와 조각가 이기철의 야외설치 전시를 시작으로, 야외광장에 비닐 물주머니를 설치한 홍순환과 나무 조각으로 조성한 실내정원을 선보였던 조각가 김성수로 진행했던 2015년 전시, 컴퓨터 부속품으로 사이버 야외정원을 설치한 리우와 영상, 소리, 미디어로 실내 협력정원을 조성한 권혁규, 김형철, 서상희 3인의 2016년 전시에 이어, 또 다른 ‘정원’을 상상하게 하는 올해 2017년 전시는 야외 공간 Spot1과 실내 전시공간 Spot2의 경계를 드나들며 대중을 향한 예술 소통 인터페이스의 확장과 우리시대 예술의 다양한 가능성들을 실험하려는 장이다.

    이 전시를 지탱하는 권혁규․김형철․서상희의 ‘협력정원’과 박정기의 ‘정원’ 설계는 세계 혹은 우리 삶의 현재 시간과 공간으로부터 마음껏 채집採集하여 기록記錄하고 공작工作하는 놀이마당으로서 ‘정원庭園’에 관한 것이다.

    ○ 권혁규 ‧ 김형철 ‧ 서상희의 설계 ; 협력정원
    <권혁규의 설계>
    - 인조 잔디와 몇 가지의 오브제를 통하여 자연을 대체한 인공자연 환경을 영위營爲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설계한 권혁규 -

    도시에 살고 있는 나에게 친숙한 자연은 손질된 나무, 돌, 흙, 물들로 구성되어 흐트러짐 없이 잘 정돈되어진 공원이나 여러 형태로 조성된 정원 공간들이다. 자연이지만 자연스러움이 결핍된 모습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실제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모조품 같은 인공자연처럼 느껴진다.

    생활 곳곳에 자연의 대체품들이 생겨나고 그것을 자연이라 믿고 영위하는 모습을 다감각적으로 표현하려한다. 가공 편집된 소리와 응축된 향기, 자라지 않는 인공잔디에 식물영양제와 스프링쿨러로 물을 공급하는 모순된 행위와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경고 메시지와 러버콘으로 과잉보호 속 통제된 모습은 우리가 자연을 영위하는 또 다른 방식 일지도 모른다.
    -작가노트-

    ‘권혁규’의 작업은 자연을 가까이하려는 인간의 욕망과 이를 바라보는 시선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번 작업은 도시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친숙한 자연의 모습이 손질되고 정돈되어진 공원 혹은 정원의 자연이라는 점에 착안한 설정이다. 작가는 자연 상태의 초록 잔디를 모방한 플라스틱 인조 잔디(1600x700cm)를 봉산문화회관 야외 광장에 펼쳐놓았다. 그리고 그 위에 식물 영양제 100여개를 꽂거나, 스프링클러로 물을 뿌리거나, 확성기를 통한 ‘잔디를 밟지 마세요!’ 등의 소리와 플라스틱 러버콘(rubber cone)으로 외부인을 통제하며 과잉보호를 하는 상황의 연출인데, 이 상황은 마치 진짜 잔디를 가꾸는 착각이 들 정도로 분명 이상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도시 생활인으로서 인공자연을 가꾸는 우리들의 일상적인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또 잔디를 깔아놓은 광장의 한 쪽에는 물과 바람소리 등 자연의 소리가 들리고, 박수를 치면 소리를 내는 흰 새 2마리가 앉아있으며, 흰색의 테이블과 의자, 파라솔이 배치되어있어서 자연에서 충만감을 찾으려는 인간의 상황 설정을 시각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처럼 작가는 일상생활 곳곳에 자연을 대체하는 제품들이 생겨나고 그것을 자연이라 믿고 영위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려한다.


    <김형철의 설계>
    - 빛을 반사하는 장치를 활용하여 일몰 시간의 사라지기 아쉬운 자연광을 그늘이 드리워진 도시의 협력정원 구역에 비추려는 김형철 -

    자연의 힘이라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모든 것에 적용이 되는 에너지라고 생각한다. 특히 사람은 자연 앞에서는 아주 미미한 존재라고 생각을 할 때가 많다. 날씨 때문에 감정이 변하고, 바다나 숲, 하늘을 보며 감정이 파도처럼 변하는 것이 인간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최대한 자연스러운 상태로 살아가고 싶다. 구름이 변하듯이, 파도에 바위가 변하듯이 천천히 매순간 충실하며 살아가는 것.

    내가 바라는 나의 모습 때문에 이번 야외전시에 해를 이용한 작업을 시도 하였다. 해가 뜨고 지는 것은 매일 누구나 똑같이 보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매순간을 소중하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시간을 흘려보내버리면 매일 똑같은 것조차 느끼는 건 어렵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죽기 전에 모든 것을 깨닫게 된다고 한다. 해가 산을 넘어 떨어져 사라지는 기분이 마치 모든 소중한 순간들이 끝나기 전, 어떤 태양빛보다 가장 깨달음을 주는 빛의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일몰의 태양빛은 나의 작업개념에서 일출이나 중천에 떠있는 해보다 더 의미가 있는 부분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나의 작업은 어떤 반복과 순환, 끝날 때까지 끝나지 않는 비슷한 반복과 순환의 형태에서 출발을 한다. 해가 동그란 거울을 통해 만들어주는 그림자 속(그늘)에 빛의 움직임은 정말 느리게 움직일 것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갑작스럽게 만들어지는 것보다 빛의 움직임처럼 느리게, 오랜 시간을 통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다.
    -작가노트-

    ‘김형철’에게 미디어는 인간 삶에 관계하는 감정과 본능의 상태를 표현하는 매체로서 작용한다. 세상 모든 것에 적용되는 자연의 힘을 설치작업으로 연결하려는 이번 작업은 인간이 자연 앞에서는 아주 미미한 존재라는 작가의 생각과 경험적 명제를 반영하고 있다. 자연 환경의 상태에 의해 감정이 변하는 인간의 모습에서 이러한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으며, 작가는 최대한 자연스러운 상태로 살아가길 원한다. 미디어아티스트로서 자연 태양 빛에 의존하는 작업들에 대하여 생각하던 작가는 그늘진 장소에 태양 빛을 비추는 상상을 했고, 둥근 거울을 여러 개 사용하여 태양 빛을 반사시켜 건물에 가려서 생긴 그늘을 밝게 비추는 상황과 그 실천 행위를 설계하였다. 태양 빛을 반사시켜 그늘 속으로 옮겨진 태양 빛의 움직임은 훨씬 관찰 용이하고, 정말 느리게 움직인다. 작가는 세상의 모든 것은 이 빛의 움직임처럼 느리게, 오랜 시간을 통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전하려고 한다. 해가 뜨고 달이 지는 움직임처럼 태양에 의존한 이번 설치 작업은 1977년 강정 백사장에서 박현기 작가가 강변에 늘어선 포플러 나무에 횟가루를 뿌려 나무와 그림자를 역으로 그리는 작업을 떠올리게 하기도 한다. 건물의 옥상난간에 위치한 거울 구조물이 축이 되어 태양의 경로를 따라 빛을 반사해서 1층 광장 바닥의 권혁규와 서상희의 작업 주변 등에 빛을 보내주는 구조의 설치 작업이다.


    <서상희의 설계>
    - 빛에너지 집약형의 투명 ‘피라미드’ 에 갇힌 식물이라는 연출된 설정에 대한 관객의 선의의 개입을 요청하는 서상희 -

    기술이 발전할수록, 우리는 그 기술에 대한 감탄과 더불어 자연 또는 식물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는 것 같다. 어쩌면 디지털이 발전할수록 반대로 우리는 아날로그에 대한 감성을 본능적으로 그리워하며 좇아가기도 한다. 이전의 ‘가상정원’은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ue), 두 상반된 개념을 적용하여 이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회화적 공간으로 연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OPEN_가상정원’은 기존의 작업인 ‘가상정원’을 야외로 가지고 나온 또 다른 버전이다.
    자연적인 오브제인 식물(아날로그)과 투명성을 지닌 인공물인 ‘사각뿔’(인공, 디지털)을 결합한다. 사각뿔은 내가 만든 인공의 공간이다. 이는 형태적인 면에서 디지털, 인공적인 느낌을 더욱 가미해주면서 식물이 가진 자연성과 상반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밖으로 가지고 나온 인공의 공간은 실제의 식물을 그 안에 넣어 가상정원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 및 객체가 된다. 다양한 높이의 객체들이 모여 열려진 야외버전의 가상정원을 형성한다. 하지만 야외의 뜨거운 햇빛 아래, 가상정원에서의 인공사각뿔은 식물이 살아가기에 어려운 공간이다. 관람자는 비닐로 설정해놓은 가상정원의 범위 안에 들어와 직접 식물과 사각뿔을 결합시켜 객체를 만들 수 있으며, 또는 식물을 가꾸고 살리기 위해 물을 주거나 사각뿔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행위들을 통해 ‘OPEN_가상정원’을 관람자들이 직접 가꾸고 보살핌으로 내가 설정한 정원과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서 진정한 협력정원을 이루게 된다.

    ※ 관람객의 참여 : 물뿌리개가 3개 있으며 / 원하는 식물에 직접 물을 줄 수가 있다. / 식물+사각뿔(각각 연결해놓은 짝들이 있다), 각각끼리 연결해놓은 식물에 사각뿔을 덮거나 열 수 있다.
    ※ 도슨트에게 부탁할 것: 수시로 식물에게 물을 주세요(식물이 말라죽지 않게…)./ 관람객이 사각뿔을 식물에 덮을 때 식물이 꺾이지 않게 잘 봐주세요.
    -작가노트-

    ‘서상희’는 야외광장의 일부에 인공정원이라고 할 수 있는 회화적 공간을 연출한다. 이는 자연과 인공의 상태가 공존하는 세계의 모습, 또 디지털 기술이 발전할수록 그리워지는 자연 또는 식물에 대한 관심과 아날로그 감성에 관한 작가의 서술이다. 이제까지, 작가의 가상정원 작업은 디지털과 아날로그, 두 상반된 개념을 적용하여 이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연출하는 것이다. 이번 야외설치작업 ‘OPEN_가상정원’은 기존의 작업인 ‘가상정원’을 야외로 가져나오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인공적인 빛 대신에 투명성을 지닌 피라미드 형 인공구조물과 식물을 결합한다. 인공적인 에너지 집약형 피라미드 구조 안에 아날로그와 자연, 생명을 상징하는 실제의 식물을 넣어 실체인 듯 실체가 아닌듯한 정원을 구성한다. 무더운 대구의 7~8월은 식물의 생장에 열악한 환경이다. 게다가 작가가 제시한 피라미드형 인공구조물은 바람이 적게 통하고 열기를 머무르는 등 식물을 불편하게하고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에 처하게 한다. 이러한 환경적 상태에서 작가는 관객에게 참여형 설정을 제안한다. “당신이 원한다면, 식물을 덮고 있는 피라미드 인공구조물을 식물로부터 분리시켜 신선한 공기가 통하도록 하고, 식물에게 물을 주며 식물과 사랑의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작가는 관객이 수행하는 두 개 공간의 결합에 대하여 실험을 설계한다.

    이들 3가지의 에너지가 상호작용하는 상태를 우리는 ‘협력 정원’이라고 설정하였다. 3인의 미술가가 이 ‘협력 정원’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태도와 행위는 조화 혹은 혼돈을 겪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생명감 넘치는 세계의 생태 환경의 규칙과 인간이 함께 살아 움직이는 과정의 전율하는 모습일 수 있다. 미디어를 통한 이러한 일체의 실험은 세계 모습의 일부를 반영하는 인위적인 ‘정원’의 한 양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과 동시대 미디어 사이의 관계 설정, 관객과의 공유, 상황 몰입 등의 실험은 40여 년 전, 이 지역을 생육지生育地로 여기는 동시대미술에 대한 기억과 겹쳐지면서 지금의 미술에 대한 논의를 제안한다.


    ○ 박정기의 설계 ; 정원
    - 정원건축의 담 사이로 바라보는 자연을 통하여, 자연을 감상하며 영감을 얻고 참 자기를 조우할 수 있었던 전통적 정원 공간에 대한 아쉬움과 변질된 현대사회의 파편적 양상들을 연출하고 야외광장의 설치프로젝트에 관한 드로잉과 모델, 필름 등을 함께 설계하려는 박정기 -

    ‘정원The GardenⅡ’는 정원 담(950 x 250 x 25cm)으로 나누어져 있는 전면 부와 후면 부로 구성되어 있다. 나누어진 두 공간은 담에 뚫려 있는 둥근 문(지름180cm)으로 출입 할 수 있다. 정원 전면은 흰색으로 칠해진 담과 빈 공간이보이고 뒷편은 담을 구성하는 나무골조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정원 후면 부는 바퀴 달린 기하학적인 나무구조 위에 놓여있는 잔디 조각들과 이리저리 놓여있는 대나무 화분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는 소 되새김질 소리가 뒤섞여 있다.
    전작인 ‘정원The Garden’에서 자기 조우를 상징하던 공간이었던 정원은 ‘정원The GardenⅡ’에서 산업화 과정 그리고 그 이후에 나타난 자기부정과 자기분열적 풍경으로 관객과 마주하고 있다.
    노동시간이 전면화된 일상은 우리에게 자기실현의 기회를 제거시킨 체로 노동의 성과 만을 강요하고 있어, 노동과 노동에 종속되어 버린 휴식도 더 이상 개인의 삶을 고양시키지 못하고 있다.
    정원은 분열되고 파편화되어 부유하고 있다.
    -작가노트-

    ‘박정기’의 이번 설계는 9.5×2.5m크기 정원건축의 담과 1.8m 높이의 동근 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면의 안쪽에는 대나무와 잔디가 설치되어 있다. 어찌 보면 흰 벽을 배경으로 그 위에 둥근 형태의 동양그림이 걸려있는 상황처럼 보인다. 흰 벽에 뚫어놓은 둥근 구멍 너머의 설치물들이 그림 역할을 하도록 설정한 것인데, 실제의 대나무와 잔디가 바람에 흔들리는 정원 공간을 연출하여 동양의 옛 그림에서 찾을 수 있는 쉼과 휴식의 요소로 ‘머무르기’를 시도하는 작업처럼 해석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바퀴 달린 기하하적인 나무구조 위에 놓여 부유하는 듯한 잔디 조각들과 이리저리 놓여있는 대나무 화분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는 편집된 라디오 잡음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정원과 조금 다른 상황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의 정원은 자기와의 조우가 단절된 산업화과정 그리고 그 이후의 시기에 나타난 정신의 자기 부정과 자기 분열적인 병리상태에 주목한다. 이제 우리는 자기와 만나던 정원에서는 잃어버린 자기와 변질된 자신을 자기로 규정하는 풍경을 마주하고 있다. 노동시간이 전면화된 일상은 우리에게 자기실현의 기회를 제거시킨 체로 노동의 성과만을 강요하고 있다. 노동과 그에 종속되어 버린 휴식은 더 이상 개인의 삶을 고양시키지 못한다. 이제 정원은 분열되고 파편화되어 부유하고 있다. 작가가 희망하는 정원은 동양 전통의 정원으로 자연을 감상하며 영감을 얻는 장소이며 참 자기를 조우하는 공간이다. 그래서 남의 뜰이 아닌 자신만의 뜰에 서 있다는 표현은 자기 자신을 발견한 로맨틱한 순간이나 그 어떤 것에도 종속됨이 없는 자유로운 정신을 은유하기도 한다. 하지만 작가가 바라보는 현대사회는 더 이상 이런 개인의 삶의 질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산업화를 거치면서 우리의 몸과 정신은 노동에 적합한 기계적이고 집단화된 형태로 변질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전시는 상상을 통한 작업개념의 설계를 중심으로 현실적으로 구현된 결과물 혹은 도면으로만 남겨진 실패와 보류를 아우르는 작업의 생각 과정들을 포함하기를 원한다. 그래서 먼저, 작품제작의 여건 문제로 드로잉으로만 남겨진 첫 번째 설계를 이 글에서 소개하고, 같은 의도와 개념을 담고 있지만 다른 형식의 ‘정원’ 설치작업을 실내의 빈 전시공간에 구현하려고 한다.


    박정기의 상상으로 이루어진 기본설계의 두 번째 요소는 유동적인 물을 이용하여 명상적인 파빌리온 형태의 건축적 구조를 만드는 것이며, 흐르는 물이 건축 구조물의 일부가 되면 어떨까? 라는 상상이다. 이 설치작업은 대구라는 도시환경과 기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또한 자연적이고 감성적인 요소들을 이용하여 도시의 결핍 요소를 채우고, 그것이 도시 공간 속에서 여러 건축 공간들 사이의 매개자 역할을 실험한 것이다. 야외 광장에 설치된 구조물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800 x 800 x 50cm 크기의 목재 데크 위에 세운 400 x 400 x 450cm 지붕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지붕과 바닥 사이에 벽이 없는 구조물로 안과 밖의 시선이 서로 통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이 구조물은 노란 플렉시글라스plexiglass로 만들어진 투명한 지붕 때문에 구조물의 안쪽은 온통 노란빛으로 가득 차게 된다. 이 노란 지붕을 타고 물줄기가 사방 아래쪽으로 벽처럼 흘러내리고, 흘러내린 물은 30cm의 홈을 통해 바닥 공간 밑에 숨겨진 물 저장소에 모여 전기 장치를 통해 다시 기둥 속의 관을 타고 지붕 위로 올라가 노랑 플렉시글라스 지붕을 타고 다시 흘러내리며 순환한다. 박정기의 'Rain pavilion' 설계는 실내 전시작업 'The Rain Project(2012)'를 야외 설치작업으로 전환하면서, 공간 안에서 경험할 수 있었던 소리의 공명 대신에 물 자체로 공감각적인 공간을 직접 구축하는 방식으로 전환한 것이다. 소통을 전제로 하는 건축적 구조에 전통누각의 자연친화적 특징을 현대적 도시공간에 맞게 재해석하여 빛과 물을 건축 구성요소로 끌어들여 쉼과 휴식의 요소로 도시공간을 완충적으로 연결한 것이다. 우리는 이 구조물을 매개로 시각과 청각, 촉각 등의 공감각적인 ‘머무르기’를 행할 수 있으며, ‘머무르기’를 통하여 휴식과 명상, 치유, 소통을 공감할 수 있고, 또 거리를 거니는 사람과 주변의 도심 풍경들을 포함하는 300㎡크기 정원庭園 속의 정자亭子 주위를 산책하는 여유 있는 경험을 가질 수 있다.

    ※ 박정기의 설계에 관한 참고용 작가노트
    작업은 일련의 제작과정을 거치는데 먼저 스케치를 통해 아이디어와 개념을 만들고 나서 모형화 시키는 과정으로 옮겨 간다. 이 과정에서 개념은 한층 더 구체화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산된 개념과 아이디어는 전시 환경에 맞게 변형하거나 확대 축소해서 현실화 된다.
    같은 컨셉의 작업이더라도 어떤 경우에는 오브제작업, 설치, 프로젝트, 퍼포먼스, 필름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냥 순수 개념을 기록한 드로잉이나 모델 형태로 남겨 지기도 된다.
    이런 여러 단계의 과정에서 각 과정은 그 자체로 나름의 독립적 의미와 역할을 지닌 작업이 되기도 하고 전체적인 변형과정을 하나의 작업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형태의 작업과정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2017Hello! Contemporary ArtⅠ- 야외설치 1977로부터 Spot2 라는 제목으로 진행되고 있다. 원래 전시는 레인 프로젝트(The Rain Project)를 야외 프로젝트로 전환하여 진행하지는 제안으로부터 시작 되었다.
    이후 작업은 물로 건축구조를 만드는<레인 파빌리온 / The Rain pavilion (2017)>으로 개념을 변형하여 진행 되었지만, 예산문제로 추진되지 못하게 되었다. 그래서 다시 제안한<레인 파빌리온Ⅱ/ The Rain pavilionⅡ (2017)>프로젝트는 시민들이 쉴 수 있는 데크와 물, 파빌리온 구조가 결합된 형태로 변형되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마저 예산부족으로 현실화되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말았다.
    이제 프로젝트는 더 이상 단독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고, 전혀 다른 형태로 전시 계획을 변경하게 된다. 몇 명의 젊은 작가들과 그룹전 형식으로 야외공간과 실내 전시공간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그룹 프로젝트가 되었다.
    새롭게 기획된 그룹전에서 실내 전시공간에서의 설치작업인 정원 / The Garden을 변형하여 The GardenⅡ로 구체화하기로 했다.
    이번 전시는 The GardenⅡ와 이런 일련의 작업 진행과정 전체를 프로젝트 모델, 드로잉, 필름, 설치 등을 한 공간에서 같이 보여주는 형식으로 진행하려 한다.

    1. <레인 파빌리온 / The Rain pavilion (2017)> _ 나를 깨우는 공간
    <레인 프로젝트 / The Rain Project>는 모형작업으로 2012년에 진행되었다. 57×50×56cm로 축소된 가상의 전시 공간에 투명한 노란 플렉시글래스로 지붕을 만들고 그 위 빈 공간에 윗쪽로 구멍이 난 파이프를 펌프와 같이 설치하여 반복해서 물이 비처럼 지붕에 부딪히는 소리의 공명을 전시공간에 연출한 설치작업이었다.
    이 모형작업은 야외작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공간 안에서 소리의 공명을 이용하는 것 대신 물자체로 공감각, 시각, 청각, 촉각적인 공간이나 구조를 직접 구축하는 형태의 <레인 파빌리온 / The Rain pavilion (2017)>으로 전환 되었다.
    The Rain pavilion (2017)>은 3×3.5×12m 크기의 철 구조물은 1.2층에 각각 지붕을 있는 긴 회랑 형태의 구조이다.
    지붕은 물결 모양의 노랗고 투명한 아크릴 글라스(플렉시 글라스)를 사용하여 물과 빛이 잘 보이도록 연출하였다. 투명한 노란 지붕으로 인해 구조물의 안쪽은 온통 노란빛으로 가득 차있게 되어 진다.
    긴 회랑의 지붕은 2층에서부터 바깥에서 안쪽으로 안쪽에서 바깥으로 마주보며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2층에서 1층으로는 구조물 안쪽으로 1층에서 바닥으로는 다시 바깥쪽으로 물이 투명한 지붕을 타고 흘러 떨어지게 된다.
    바닥 저장 공간에 저장 되었던 물은 모터를 이용해1, 2층을 연결하는 기둥을 통해 2층 지붕 가장자리에 위치한 2개의 용마루 윗부분으로 물을 이동시켜 다시 아래로 순환하도록 하였다.
    The Rain pavilion (2017)>기본적인 컨셉은 유동적으로 흐르는 물을 재료로 이용하여 긴 회랑 형태의 명상적인 건축적 구조를 구축하는(만드는) 것이다.

    The Rain pavilion Ⅱ
    The Rain pavilion Ⅱ는 야외에 앉고 누울 수 있는 데크 바닥과 벽이 없는 파빌리온 구조물로 안과 밖의 시선이 소통 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통누각의 자연친화적 특징을 현대적 도시공간에 맞게 재해석하여 빛과 물을 건축 구성 요소로 끌어들여 쉼과 휴식, 소통, 명상적 요소로 도시공간을 완충적으로 연결 하려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대구라는 도시환경과 기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기획되었다. 그리고 자연적이고 감성적인 도시의 결핍 요소를 채우고 도시 공간 속에서 여러 건축 공간들 사이의 매개자 역할로서의 가능성 실험하였다.
    프로젝트는 1600×1000×80cm의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야외 데크 공간을 배경으로 시작된다.
    데크 위에는 400×400×450cm의 정자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구조물이 놓여있다. 정자형 구조물은 노란 플랙시(아크릴) 글라스로 만들어진 투명한 지붕 때문에 구조물의 안쪽은 온통 노란빛으로 가득 차있게 연출 되어 진다.
    지붕으로 끌어올린 물은 지붕을 타고 사면의 빈 공간으로 벽을 만들며 흐른다. 흘러내린 물은 30cm폭의 홈을 통해 데크 공간 밑의 바닥 저장 공간에 모인다. 고인 물은 모터를 통해 다시 기둥 속을 관을 타고 지붕으로 올라가 다시 흘러내린다.

    2. < 정원 / The Garden >_ 나와 만나는 공간
    작업 정원 / The Garden
    은 정원건축의 담과 동근 문으로 구성된 전면부와 이문을 통해서 보여 지는 후면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 부는 10m~15m×3m 긴벽에 2m 높이의 둥글게 뚫린 문이 있는 긴 정원 담장이 설치되어 있다. 후면 부는 둥근 모양의 정원 문을 통해서 보이는 안쪽에는 대나무와 풀, 꽃, 잔디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 되새김질 소리가 스피커에서 정원 안쪽에서부터 흘러나온다.
    실제 관람객은 긴 정원 벽에 둥글게 난 문을 통해서만 정원의 풍경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구조이다. 후면부의 정원 풍경은 지름 4m의 둥근 원판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원판의 아랫부분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있어 풍경은 천천히 움직인다.
    이 원판의 중앙에는 원판을 둘로 나누는 3m 높이의 흰 벽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은 정원 풍경이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한쪽에는 흰색의 벽만 보이는 빈 공간이다.
    전체 원판은 천천히 회전하며 이 두 개의 공간을 다양한 시각으로 보여준다.
    천천히 움직이는 공간은 앉아 있는 관람객에게 걸어서 정원을 걷는 것 같은 시점을 제공한다.
    동양에서 정원은 자연을 감상하며 영감을 얻는 장소이며 참 자기를 조우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래서 남의 뜰이 아닌 자신만의 뜰에 서 있다는 표현은 자기 자신을 발견한 로맨틱한 순간이나 그 어떤 것에도 종속됨이 없는 자유로운 정신을 은유 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더 이상 이런 개인의 삶의 질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산업화를 거치면서 우리의 몸과 정신은 노동에 적합한 기계적이고 집단화된 형태로 변질되었다.

    정원 / The GardenⅡ의 구성은 정원건축의 담과 동근 문으로 구성된 전면부와 이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는 후면부로 구성되어 있다는 데서 정원 / The Garden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바퀴 달린 기하학적인 나무구조 위에 놓여 부유하는 듯한 잔디 조각들과 이리저리 놓여있는 대나무 화분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는 편집된 라디오 잡음들은 확연히 정원 (The Garden)과는 상반된 상황을 보여준다.
    정원Ⅱ(The Garden Ⅱ)에서의 정원은 자기와의 조우가 단절된 산업화 과정 그리고 그 이후의 시기에 나타난 정신의 자기 부정과 자기 분열적인 병리상태에 주목한다. 이제 우리는 자기와 만나던 정원에서는 잃어버린 자기와 변질된 자신을 자기로 규정하는 풍경을 마주하고 있다.
    노동시간이 전면화된 일상은 우리에게 자기실현의 기회를 제거시킨 체로 노동의 성과만을 강요하고 있다. 노동과 그에 종속되어 버린 휴식은 더 이상 개인의 삶을 고양시키지 못한다.
    이제 정원은 분열되고 파편화되어 부유하고 있다.
    - 작가노트 -

    이번 전시에서 언급하는 ‘정원’의 기억은 1977년 4월30일 시민회관에서 개최된 “제3회 Contemporary Art Festival DAEGU” 전시의 야외 특별 전시로 5월1일 진행했던 ‘낙동강 강정 백사장’에서의 해프닝, 이벤트를 기점으로 현재에 이르는 대구의 실험미술(Contemporary Art), 특히 야외 설치전시의 일면을 소개하며 ‘자연’과 인간의 ‘예술 행위’가 만나는 의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박현기가 강변에 늘어선 포플러 나무 몇 그루의 그림자를 횟가루로 그린 ‘무제’는 오랜 시간 보존할 수 있는 캔버스 그림보다는 비바람과 사람들 발자국으로 쉽게 지워져 버릴 그림의 생명이 더욱 강렬할 것이라 생각하는 작가의 태도를 반영한다. 또 이강소가 넓은 모래 바닥에 구두를 벗고 상의와 넥타이, 와이셔츠, 양말을 일렬로 벗어 놓은 채 직경 5m의 모래성을 쌓아 올린 작업도 일상과 다른 자연의 상태에서 다른 차원의 시각과 상황을 경험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시는 지금, 여기로 이어지는 설치미술 관련 태도의 연결 기반이 ‘실험’과 ‘자연’, ‘신체행위’, ‘몰입’이며, ‘실험’을 생육해온 서식지 ‘정원’으로서 장소를 다시 기억하고, 1977년의 야외 실험정신과 당시 미술가들이 전시공간의 경계를 확장하여 대중과 함께하려는 시도에 관한 현재적 연결성을 가늠하고, ‘또 다른 가능성’으로서 우리시대 실험미술가의 ‘태도’를 돌아보려는 기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할 권혁규 ․ 김형철 ․ 서상희, 박정기의 태도는 세계와 인간 정서에 대한 관찰, 관객 참여, 놀이, 자연성自然性의 은유, 그 사이에서의 부조리不條理를 꿰뚫는 직관적 인식을 시각화하여 동시대미술의 소통 가능성과 지평을 확장시키려는 탁월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작가의 작업 설계와 놀이에 대한 공감 시도는 과거에 이어 새롭고 명확해질 동시대의 어떤 순간을 위한 우리의 ‘Hello!’일 것이다.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정종구

    전시제목2017Hello! Contemporary ArtⅠ - 야외설치 1977로부터

    전시기간2017.07.21(금) - 2017.08.19(토)

    참여작가 권혁규, 김형철, 서상희, 박정기

    초대일시작가와 만남 & 오프닝 : 2017년 07월 21일 목요일 06:00pm

    관람시간실내전시 10:00~19:00
    야외전시 10:00 ~ 21:00

    휴관일매주 월요일 휴관

    장르설치

    관람료무료

    장소봉산문화회관 bongsanart (대구 중구 봉산문화길 77 (봉산동, 봉산문화회관) )

    기획봉산문화회관

    주최봉산문화회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후원복권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연락처053-661-3500

  • Artists in This Show

봉산문화회관(bongsanart)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2024 기억공작소Ⅰ 김용익展 후천개벽: 아나와 칼(Ana & Carl)

    봉산문화회관

    2024.02.14 ~ 2024.04.21

  • 작품 썸네일

    2024GAP(GlassBox Artist Project)展 - 자연으로부터

    봉산문화회관

    2024.03.06 ~ 2024.04.07

  • 작품 썸네일

    2024 유리상자-아트스타Ⅰ 신예진 :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

    봉산문화회관

    2024.01.19 ~ 2024.03.24

  • 작품 썸네일

    2023 기억공작소Ⅳ 방정아展 죽는 게 소원인 자들

    봉산문화회관

    2023.10.25 ~ 2023.12.24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권현빈: We Go

    두산갤러리

    2024.03.20 ~ 2024.04.20

  • 작품 썸네일

    함(咸): Sentient Beings

    갤러리 학고재

    2024.03.13 ~ 2024.04.20

  • 작품 썸네일

    최인선: 거울 너머로_거울 속으로

    이길이구 갤러리

    2024.03.23 ~ 2024.04.20

  • 작품 썸네일

    이길래: 늘 푸른 생명의 원천에 뿌리를 내리다 - 생명의 그물망

    사비나미술관

    2024.01.25 ~ 2024.04.21

  • 작품 썸네일

    2024 기억공작소Ⅰ 김용익展 후천개벽: 아나와 칼(Ana & Carl)

    봉산문화회관

    2024.02.14 ~ 2024.04.21

  • 작품 썸네일

    김연옥 기획초대전: 비밀의 정원(The Secret Garden)

    쉐마미술관

    2024.03.15 ~ 2024.04.21

  • 작품 썸네일

    김용익: 아련하고 희미한 유토피아

    국제갤러리

    2024.03.15 ~ 2024.04.21

  • 작품 썸네일

    장현주: 어둠이 꽃이 되는 시간

    갤러리 담

    2024.04.12 ~ 202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