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혜영 개인전: 통쫘전

2018.09.15 ▶ 2018.09.22

플레이스막

서울 서대문구 홍제천로4길 39-26 (연희동)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18년 09월 15일 토요일 05: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구혜영

    퍼포먼스 영상 스틸컷 4 mins_Video_2018

  • 작품 썸네일

    구혜영

    퍼포먼스 영상 스틸컷 4 mins_Video_2018

  • 작품 썸네일

    구혜영

    퍼포먼스 영상 스틸컷 4 mins_Video_2018

  • 작품 썸네일

    구혜영

    퍼포먼스 영상 스틸컷 4 mins_Video_2018

  • 작품 썸네일

    구혜영

    퍼포먼스 영상 스틸컷 4 mins_Video_2018

  • 작품 썸네일

    구혜영

    studio view 2018

  • Press Release

    그녀는 이제 ‘통쫘’입니다.

    왠지 센 언니처럼 보여서, 왠지 나랑은 좀 안 맞을 거 같아서, 몇 번을 봤지만 인사할 수 있는 기회를 슬쩍 피해갔다.
    만나야 하는 사람은 만나게 되어 있다고 했던가. 그렇게 몇 년을 돌고 돌아 만나게 되었다.
    사람을 겪어보지 않고는 모른다고 했던가. 처음 만났던 날, 초록색 소주병을 앞에 두고 우리는 언니동생을 먹었다.
    그리고, 그날 구혜영은 구혜영과의 이별을 준비 중이라 했다.
    이름. 사람들이 나라는 존재를 기억하고 알아가는 방식.
    그러고 보니, 혜영이라는 이름이 왠지 그녀의 개성에 비해 너무 평범한 것도 같다 싶었다.
    사람의 삶은 이름 따라 간다던데 그녀가 작가로서의 삶에 마음을 부대끼는 이유가 어쩌면 이름 탓은 아닐까. (그녀의 부모님께 죄송했지만,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 이름은 신보슬이다.
    신보슬. 한번 들으면 잘 안 잊게 되고 예쁜 이름이라는 이야기를 종종 들었다. 고운 이름 자랑하기 대회(옛날에는 이런 대회도 있었다)에서 한글상도 탄 이름이다. 하지만, 학생 출석부에 이름이 한자로 올라 가 있던 시절, 한글 이름은 유독 눈에 띄어 늘 제일 먼저 불리는 이름이었다.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같은 이름은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 ‘보슬비가 소리도 없이’. ‘흰 눈이 보슬보슬 내려옵니다’라는 노래는 내 주제곡 같았다. 정작 부모님은 눈이 보슬보슬 내리는 것인지, 비가 보슬보슬 내리는 것인지 신경도 쓰지 않으셨으나, 사람들은 내 이름을 들으면 꼭 둘 중 한 노래를 흥얼거렸다. 대학을 다니면서 나는 지하철 1호선, 세칭 지옥철을 타고 다녔다. 입학하고 얼마 안 지나서였으니 91년쯤이었던 것 같다. 서서 지하철을 타고 가는데, 앞에 앉은 할아버지께서 쯧쯧 혀를 차시더니
    “요즘 것들은 애들 이름을 맘대로 지어”하시는 것이었다. 당시 유행이었던 책 둘레에 쓴 학번과 이름을 보시고 하시는 말씀인 것 같았다.
    그러고는 뚫어지게 보시더니, 생년월시를 대라고. 딱히 할 일 있던 것도 아니고, 흥미도 돋아서 술술 말씀해 드렸다.
    “장군 사주야”
    “그런데, 나라가 원치를 않네”
    옆에 앉은 아저씨가 킥킥 웃으셨다. 아마도 지루한 지하철에서 할아버지와 나의 대화를 엿듣고 있던 모양이었다. 그리고 풀어내시는 일장 연설.
    요약하면 이름은 내가 부르는 경우보다, 남이 불러주는 것을 듣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계속 듣다보면 그런 사람이 되어 간다는 요지였다. 그래서 사주를 잘 보고 부족한 것을 이름으로 채워줘야 한다는. 나는 사주가 쎈 장군 사주인데, 그 사주가 여자에게 가서 기운을 받지 못하는데다가 대운도 받쳐주지 않는데, 이름마저 약해서 좋지 않다는 것이었다. 듣고 보니 이름이 보슬이면 70세가 되어도, 90세가 되어도 왠지 철이 들지 않은 그런 아이 같은 할머니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암튼 그 뒤에도 뭐라 말씀을 하셨던 것 같은데 거의 기억나지 않는다. 장군 사주인데 나라가 원치 않는다는 말이 워낙 셌던지라.
    의도하지 않았지만, 나에겐 나탈리라는 이름이 있다. 어찌어찌하다 얻게 된 세례명. 하지만 그 세례명이 너무 촌스러운 것 같아 별로 좋아하진 않았다. 그런데 그 세례명을 영어이름으로 사용한 후부터 국제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 되었다. 물론, 그것이 이름 탓만은 아니겠지만, 이름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 때면, 그날 그 할아버지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그녀는 구혜영이었습니다.

    구혜영은 중앙대학교 조소과를 나와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골드스미스를 나왔다. 이후 광주미디어아트 비엔날레, 베니스 등 차지도 넘치지도 않게 전시를 이어오고 있는 걸 보면 그렇게 인생이 굴곡지다 할 수도 없다. 잠깐 예술가들과 함께 했던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얼굴을 알리기는 했지만, 그녀의 말대로 그것은 그저 해프닝. 작가로서의 그녀의 삶에 큰 변화나 영향을 끼치지는 못했다. 어쩌면 그런 밋밋함이 싫었을까. 그림을 그리는 ‘화가’로 다시 작가로서의 삶을 시작하려는 지금, 구혜영은 다른 이름을 찾는다.
    생각해보면 구혜영은 이미 구혜영과의 이별을 준비하고 있던 것 같다. 작가노트에 ‘소비되는 것, 죽음, 인생무상’에 대한 것이 자신의 작업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그녀가 말하는 죽음, 인생무상은 눈물과 회환, 슬픔으로 점철된 감상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녀의 말처럼, 그것은 ‘디오니소스적인 광란, 오락과 여흥이 혼재하는 익살스럽고 희극적’이기까지 하다. 지극히 구혜영스럽게.
    장례 연작 첫 작업 <네가 볶아 먹은 멸치 장례식>(2000)은 어느 날 밥을 먹다가 반찬으로 나온 멸치조림 사이에서 입을 위아래로 쩍 벌리고 죽은 멸치를 발견하였다고 했다. 늘 먹던 멸치조림, 그 많은 멸치 중에 유독 죽음이 억울하기라도 한 듯 무서운 얼굴로 죽어있던 멸치. 구혜영은 멸치의 관을 짜고 장례식을 치렀다. 그리고 죽은 정자를 기리는 장례식 <두 번 다시 속지 않겠다>(2005). 영국에서도 한국에서도 ‘죽음’과 ‘장례식’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었고, 자신의 장례식인 <장례연습 Funeral Practice>라는 시리즈로 이어졌다.
    전시장에 들어선 관객은 검은 정장 차림의 안내자들에게 환영과 감사의 인사를 받는다. 악수를 건네고 와인 한 잔과 불 켜진 양초를 받고 자리로 안내되어서야 비로소 뭔가 석연치 않은 분위기를 감지한다. 단상 앞에 높인 샌드위치 박스에 들어있는 샌드위치 사이에 끼여진 작가의 편안하게 잠든 얼굴. 관객은 자신이 문상객이었음을 알게 된다. 엄숙해야 하고, 슬퍼야 하고 진지해야 하는 죽음 앞에서 샌드위치 광고문을 추도사로 낭독하고, 천국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는 샌드위치인 작가를 보면서 맘껏 웃지도 못하고, 작가의 죽음을 맘껏 슬퍼하지도 못한다. 아마도 장례식에 왔던 어떤 관객은 이후에도 샌드위치만 보면 구혜영의 장례식 연습을 떠올릴지 모른다. 그리고 언젠가 아주 시간이 많이 흘러 작가의 부고를 듣게 된다면, 그 장례식 연습의 그 날을 생각하며 피식 웃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일상적으로 그녀를 보낼 수 있을지 모를 일이다.

    이제 그녀는 “통쫘”입니다.

    이미 구혜영은 구혜영과의 이별을 연습했고, 준비했고, 이별했다. 그리고 새로운 삶은 새로운 이름과 함께 시작하기로 한다. “통쫘”. 이 이상하고 야릇한 이름. 이름 같지 않은 이름은 우연으로 만들어졌다. 추첨을 통해 자음과 모음이 만들어졌다. 아무 의미 없는 이름 ‘통쫘’. 이제 막 새로운 출발에 섰기에 아직 아무 흔적도 남아 있지 않은 백짓장 같은 이름. 그 이름으로 그녀는 화가의 삶을 향해 나아간다. 조소를 전공했던 구혜영이 영상작품을 만들고 퍼포먼스를 하면서 다양한 장르와 형식을 종횡무진 달렸다면, ‘통쫘’는 붓을 들고 명작의 앞에 앉았다. 왜 하필 그림인지, 왜 모사인지 굳이 묻지도 않았고, 애써 답하지도 않는다. 성별도 국적도 가늠치 못하게 하는 철저하게 중립적인 이름으로 그저 한 걸음 내딛었을 뿐이다. 명작을 따라가는 붓결마다 예술가의 삶에 대한 질문이 함께 할 것이고, 그 질문에 스스로 답해가며 화가 ‘통쫘’의 길이 만들어질 것이다. 그러니 지금은 그 한걸음에 응원과 지지를 보탠다. 다음 이야기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전시제목구혜영 개인전: 통쫘전

    전시기간2018.09.15(토) - 2018.09.22(토)

    참여작가 구혜영

    초대일시2018년 09월 15일 토요일 05:00pm

    관람시간12:00pm - 07:00pm

    휴관일월요일 휴관

    장르설치

    관람료무료

    장소플레이스막 placeMAK (서울 서대문구 홍제천로4길 39-26 (연희동) )

    주최플레이스막

    연락처+82.10.3493.1240

  • Artists in This Show

플레이스막(placeMAK)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김두진: LIFE

    플레이스막

    2023.10.07 ~ 2023.10.29

  • 작품 썸네일

    박병래: 파랑새.존

    플레이스막

    2023.06.03 ~ 2023.06.29

  • 작품 썸네일

    김현수: 위험한 놀이 HOMOLUDENS

    플레이스막

    2023.03.04 ~ 2023.03.25

  • 작품 썸네일

    손미정: 일_상스러운

    플레이스막

    2023.02.04 ~ 2023.02.25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박미나: 검은

    페리지갤러리

    2024.03.08 ~ 2024.04.27

  • 작품 썸네일

    (no-reply) 회신을 원하지 않음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4.03.16 ~ 2024.04.27

  • 작품 썸네일

    봄 • 봄 ( Spring • See )

    갤러리 나우

    2024.04.16 ~ 2024.04.27

  • 작품 썸네일

    윤정미: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전

    한국근대문학관

    2023.11.24 ~ 2024.04.28

  • 작품 썸네일

    지역 근현대 미술전 : 바다는 잘 있습니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12.12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4도씨»

    세화미술관

    2024.01.30 ~ 2024.04.28

  • 작품 썸네일

    박지수: 빛 나는 그늘 Shining Shade

    갤러리 도올

    2024.04.12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김윤신 《Kim Yun Shin》

    국제갤러리

    2024.03.19 ~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