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2018.11.15 ▶ 2019.02.06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덕수궁) 덕수궁 전관(2, 3층)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채용신

    고종 어진 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180x10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대례의궤大禮儀軌 1897, 종이에 필사, 43.8x32cm,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1902년 추정, 비단에 채색과 금박, 12폭병풍, 227.7x714cm, 호놀룰루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 19세기 말-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10폭병풍, 139.6x366cm,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한궁도漢宮圖 19세기-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6폭병풍, 78x267.6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문성, 만총, 정연 외 10인, <신중도神衆圖> 1907, 면에 채색, 181.7x171.2㎝, 신원사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 1907, 비단에 채색, 158.7x254㎝, 수국사 소장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44호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고종 어진 1918, 비단에 채색, 162.5x100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김규진

    대한황제 초상 1905년 추정, 채색 사진, 33x22.9cm, 뉴어크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채용신

    고종어진 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137x70cm,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220호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1928 1928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고종어진도사도감의궤高宗御眞圖寫都監儀軌 1902년, 필사본 채색 31.5x25.5cm,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황실 가족 사진 27x34cm,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이태왕전하장의사진첩李太王殿下葬儀寫眞帖 1919, 28x37x5.5cm,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이태왕전하장의사진첩李太王殿下葬儀寫眞帖 1919, 28x37x5.5cm,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이태왕전하장의사진첩李太王殿下葬儀寫眞帖 1919, 28x37x5.5cm,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고종황제>, La Vie Illustrée 프랑스 1904년 1월 29일, 36.3×28.2cm, 이돈수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 Le Petit Journal 프랑스 1900, 45×30.8cm, 이돈수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파리만국박람회 특별대사로 소개된 민영찬의 사진 1900, 프랑스, 이돈수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워싱턴의 대한제국 공사관 1900년 경, 미국, 이돈수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대한인 공사관 강태현 부채 1901, 20X39cm, 이돈수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김상덕 초상 1890, 30.5x25cm,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백자청화운룡문호白磁靑畵型紙雲龍文壺 20세기 초, 높이 22.6cm, 입지름 11.8cm, 바닥지름 11.5cm, 경기도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안중식

    조일통상조약체결기념연회도韓日通商條約締結紀念宴會圖 1883, 비단에 채색, 35.5x53.5cm,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백자꽃무늬병 1891-1913, 높이 14.4cm, 입지름 11.5cm, 바닥지름 9.6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색회금채화조문화병色絵金彩花鳥文花甁 19세기 말-20세기 초, 높이 60.6cm, 입지름 15.4cm, 바닥지름 15.3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사층삼각탁자 20세기 초, 밤나무, 합판, 길이55cm, 너비79.5cm, 높이179cm,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명치사십삼년’명잔‘明治四十三年’銘盞 한성미술품제작소, 1910년, 은, 높이 12.5cm 입지름 4.3cm, 바닥지름 5.5cm, C&S 컬렉션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은제‘미’명주전자銀製‘美’銘酒煎子 이왕직미술품제작소, 1911-1917, 은, 높이 7.9cm, 뚜껑높이 1.4cm, 바닥지름 7.2cm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은제그릇과 칠기 받침 20세기 초, 은,(대)높이 4.2cm, 입지름 12.1cm, 바닥지름 4cm (중)높이 3.7cm, 입지름 10.5cm, 바닥지름 3.7cm (소)높이 3.2cm, 입지름 9cm, 바닥지름 3.3cm (받침)길이 6.7cm, 높이 10.8cm 이남주 소장

  • 작품 썸네일

    김봉룡

    와태나전봉황무궁화당초문화병瓦胎螺鈿鳳凰無窮花唐草文花甁 1936, 나전칠기, 높이 62cm, 입지름 20.5cm, 바닥지름 18.5cm, 원주역사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전성규

    나전화대 20세기 초, 나전칠기, 46x30x7.8cm, 항정수 소장

  • 작품 썸네일

    김창환

    봉학도鳳鶴圖 1917, 비단에 채색, 2폭병풍, 152.5x102.4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김은호

    송학도松鶴圖 1920, 비단에 채색, 121x4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채용신

    십장생도十長生圖 1920년대, 비단에 채색, 80x3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채용신

    벌목도 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104.9x65cm, 호림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채용신

    최익현 유배도 1910-20년대, 비단에 채색, 91.5x54.0cm, 백제문화체험박물관 소장 전북 유형문화재 제220호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키쿠타 마코토, <민영환과 혈죽> 1906, 70x55cm,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양기훈

    민충정공 혈죽도 1906, 목판화, 97x5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김규진 1919, 34x28cm,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김응원

    묵란괴석도墨蘭怪石圖 1901, 종이에 수묵, 135.1x67cm,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김영기

    우리동네 1994, 종이에 채색, 70x134cm,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안중식

    벽수거사정碧樹居士亭圖 1909, 종이에 수묵, 50x494cm, 개인소장

  • Press Release

    1. 제국의 미술

    1897년 조선왕조가 대한제국으로 전환되면서 궁중미술에도 변화가 생겼다. 규범성이 강하고, 보수성이 짙은 궁중미술의 특성상 대한제국이 성립된 이후에도 기본적으로는 조선 후기 이래로 전해져오던 전통이 지속됐지만, 황제가 된 고종의 위상에 맞춰 황제와 황후에게만 허용되는 황색의 용포龍袍와 의장물이 어진과 기록화에 새로이 등장하는 등 달라진 면모들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에는 국가적으로 어렵던 당시의 상황 속에 황권을 강화하려는 고종의 의도가 반영됐다. 본래 궁중장식화는 본격적인 ‘그림’이라기보다 궁궐의 치장을 위한 일종의 ‘물건’으로까지 여겨졌기 때문에 그 변화가 극히 드물게 나타나곤 했다. 그러나 고종 시기에 이르러서는 서양 및 일본 미술 등의 사실적이고도 세밀한 화풍을 수용, 변화를 꾀했다. 이러한 면모는 궁중회화 이상으로 보수성이 강한 당시의 불교 회화에도 나타나는 부분으로,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태극과 오얏꽃 문양이 장식된 신식군복 차림의 호법신護法神이 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양상은 모두 대한제국 궁중미술의 시차 없는 저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2. 기록과 재현의 새로운 방법, 사진

    고종을 비롯한 대한제국의 주요 인사들은 근대화의 일환으로서 대표적인 서구의 신식문물인 사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실제로 1880년대 한국에 사진관이 설립된 이래로 어진이나 기록화 등 궁중회화의 상당 부분은 회화가 아닌 사진으로 대체해 나갔다. 이는 사진이 특유의 표현방식과 특징을 갖춘 새로운 장르로서가 아니라 극사실성을 추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기법으로서 회화를 보완하거나 혹은 대체하는 차원에서 인식, 수용되었음을 알려준다. 즉 당시의 초상사진이 초상화와의 뚜렷한 관련성 속에 회화의 표현방식과 특징을 받아들이면서 뿌리내리기 시작했고, 또 반대로 특유의 사실성이 회화에 자극을 주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황후의 초상, 가족 초상 등 그간 유교적 관념 아래 등장할 수 없었던 대상이 사진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점 등은 달라진 시대상과 근대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3. 공예, 산업과 예술의 길로

    고종이 근대화의 일환으로 역점을 두었던 것 가운데 하나는 공예부문의 개량이었다. 전통 공예의 경우 19세기 말 관요官窯가 민요民窯로 전환되면서 그 질이 현격히 떨어지고, 궁중의 서양 식기 선호와 맞물리며 입지까지 좁아진 도자의 사례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 쇠퇴일로에 서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 공예의 복구와 진흥을 위해 1908년 대한제국 황실의 지원으로 한성미술품제작소가 설립됐다. 그렇지만 자금난으로 1911년 운영주체가 바뀌고 명칭도 이왕직미술품제작소로 변경됐다. 이후 대한제국의 상징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며 역기능을 보였지만, 공예를 미술품, 미술공예품으로 처음 부르기 시작하였고, 도안의 개념을 수용하여 실용 기물이 아닌 감상용 공예품을 만들었으며, 나아가 선진 기술을 통해 제작된 물품을 자본주의 관점에서 제작, 판매, 소비, 향유하는 근대적 흐름을 파생시킨 기능을 담당하기도 했다. 더욱이 그 원류인 한성미술품제작소가 대한제국 황실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다시금 주목할 만하다. 또한 대한제국 황실과 운현궁에서 사용돼 오던 도자, 나전칠기, 목공예, 자수 등 각종 공예품들은 전통적 양식과 외래 양식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실 고종 이래 “구본신참舊本新參”의 지향을 보여주는 물질문화에 다름 아니다.


    4.예술로서의 회화, 예술가

    고종, 순종시기에는 도화서가 해체됨과 동시에 다양한 외부의 화가들이 궁중회화의 제작에 참여하게 됐다. 이들은 전문가로, 혹은 예술가로서의 대우를 받기 시작했는데, 서구와 일본으로부터 ‘미술’의 개념이 전해지게 된 사실도 주요한 배경이 되었다. 자연스럽게 과거와 같은 익명의 그림이 아닌 자신의 이름을 분명히 남긴 궁중회화들이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화원들과 달리 작가의식을 토대로 보다 창작적인 차원에서 그림을 그렸다. 실제로 그들은 1920년경 제작된 창덕궁 벽화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궁중회화의 양식에 서양화풍과 일본화풍을 가미한 시각적인 사실성과 장식성이 강화된 그림을 선보이는 등 변화를 모색했다. 이것이 이후 화가들의 성격 및 화단 전체의 변화에 있어 전환점이 되었기에 그 의미가 적지 않다. 또한 이들이 궁중회화를 제작하며 보다 실력을 정교하게 가다듬고, 명성을 쌓으며 기성화가로 자리매김했다는 점에서 근대 회화에 있어 대한제국의 역할이 중요했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그 대표적 인물인 안중식, 조석진, 김규진에 의해 설립된 서화미술회書畫美術會와 서화연구회書畫硏究會에서 양성된 화가들은 이후 근대 한국화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전시제목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전시기간2018.11.15(목) - 2019.02.06(수)

    참여작가 강진희, 강필주, 키쿠타 마코토, 김규진, 김봉룡, 김영기, 김은호, 김응원, 김진갑, 김진우, 김창환, 노수현, 무라카미 텐신, 박승무, 변관식, 샤를 알베르크, 안중식, 앨버트 테일러, 양기훈, 영친왕, 오일영, 유근형, 윤용구, 이병직, 이상범, 이와타 가나에, 이용우, 이한복, 조석진, 전성규, 지운영, 채용신, 황인춘, 황철, 현채, 휴버트 보스,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

    관람시간- 화, 목, 금, 일요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 수, 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9시(야간개장)

    휴관일매주 월요일, 1월 1일 휴관

    장르회화, 도자, 나전, 은공예, 자수, 사진, 인쇄미술(신문, 삽화) 등 200여 점

    관람료3,000원

    장소국립현대미술관 NATIONAL MUSEUM OF ART, DECKSUGUNG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덕수궁) 덕수궁 전관(2, 3층))

    주최국립현대미술관

    연락처02-361-1414

  • Artists in This Show

국립현대미술관(NATIONAL MUSEUM OF ART, DECKSUGUNG)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미술관 길목 프로젝트: 정세인

    국립현대미술관

    2023.10.31 ~ 2024.10.31

  • 작품 썸네일

    MMCA 과천프로젝트 2023: 연결

    국립현대미술관

    2023.11.15 ~ 2024.10.20

  • 작품 썸네일

    MMCA 사진 소장품전: 당신의 세상은 지금 몇 시?

    국립현대미술관

    2024.03.27 ~ 2024.08.04

  • 작품 썸네일

    백 투 더 퓨처: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탐험기

    국립현대미술관

    2023.06.16 ~ 2024.05.26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백윤조: Every Little Step

    갤러리조은

    2024.02.29 ~ 2024.03.30

  • 작품 썸네일

    올해의 작가상 2023 (Korea Artist Prize 2023)

    국립현대미술관

    2023.10.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갈라 포라스-김: 국보

    리움미술관

    2023.10.3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2023 타이틀 매치: 이동기 vs. 강상우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3.11.23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서울시립미술관

    2023.12.2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문신 모노그래프:비상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03.07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시적추상(時的抽象)

    전남도립미술관

    2023.12.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김한라 : 둥글게 이어진 사이

    갤러리 도스

    2024.03.27 ~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