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순: The RED Exhibition

2020.11.03 ▶ 2020.11.30

갤러리 박영

경기 파주시 문발동 526-6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20년 11월 03일 화요일 05: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162x260,6cm(2pcs)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60x60cm-25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음악으로 침묵하기 2014, mixed media on canvas, 90.9x72.7cm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50x50cm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60x60cm-27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162x224cm(2pcs)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50x50cm-28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116.7x91cm-10

  • 작품 썸네일

    김종순

    Inside and outside 2015, mixed media on canvas 116.7x80.3cm

  • 작품 썸네일

    김종순

    Untitled 2020, mixed media on canvas, 116.7x91cm-019

  • Press Release

    김종순-색으로 가득한 화면
    화선지 표면에 붉은 색 계열의 물감들이 죽죽 스미고 번진다. 진한 노란색에서부터 붉은 색까지의 스펙트럼이 화면 안에서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되어 자리하고 있고 이 격자들이 서로 길항한다. 색이 지닌 무게와 질량, 서로 다른 색면간의 미묘한 긴장관계와 미세한 차이를 풍경처럼 펼친다. 캔버스를 지지대 삼아 그 위에 올라와 붙은 화선지, 예민하고 얇은 종이는 색을, 수분을 식물처럼 흡수한다. 그렇게 담담하게 색을 먹이는 일, 색 자체가 모든 것을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그림 그리는 일이기도 하다.
    작가의 근작은 레드 계열의 색채들이 하염없이 종이에 스며든 자취로 응고되어 있다. 여전히 화면 위에 격자로 드리워진 실이 있고 그 실을 매단 체 칠해나간 색/붓질이 맞물리면서 이룬 그림이다.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수평으로 설치된 하얀 실과 그 실 위에 칠해지는 붓질은 그림과 오브제의 결합이기도 하다. 그 실은 마치 화면 위를 예민하게 그어나간 흰색의 선, 드로잉의 궤적과도 같다. 바닥의 색면을 분할해 나가는 경쾌한 모종의 감각을 전달하는 이미지이자 물질이고 색이자 선이기도 하다. 한편 물감을 부분적으로 입은 실은 따라서 균질하게 보이지 않고 이어지고 끊어지듯 그렇게 드문드문 생겼다 사라지기를 거듭하면서, 나아간다. 시선을 의식하게 하는 선! 색채로 충만한 바탕 면과 그 위에 얹힌, 매달린 실로 이루어진 이중의 화면은 시선을 멈추게도 하고 혹은 보다 유심히 표면에 집중하도록 유인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단호한 선을 대신하기도 하지만 표면에 직접 긋는 선과는 다른 차원에서 자동하는 이 실/선은 구체적인 물질(오브제)이고 흰 색을 지닌 사물이자 화면에 몇 개의 층위를 만드는 공간을, 또한 설정해준다. 회화위에 오브제(실)가 겹쳐있기에 그림과 오브제가 공존하는 화면이 되었고 따라서 미세한 표면위에 저부조로 실이 올라와 촉각적인 감각을 발생시키고 있다. 눈으로 보는 화면이자 손으로 더듬는 화면이기도 하다. 또한 종이위에 올라온 실은 화면을 뒤로 물리고 화면 밖으로 돌출되면서 입체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동시에 사각의 칸들을 그려 보이는 한편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실재하는 물질로도 자리한다.

    물감을 가득 머금은 화면은 사각형 구조 안에 또 다른 면들을 만들고 있다. 사각형 틀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그 틀을 다양한 방식으로 흔드는 면이자 일정한 면적으로 지닌 사각형들 간의 조화와 공모, 그리고 단순한 기학적 구조 안으로 수렴될 수 없는 색면들의 또 다른 활성화를 생기 있게 안겨주는 편이다. 그렇게 사각형 안에 자리한 또 다른 사각형, 화면 안에 또 다른 화면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 색면들의 경계는 날카롭거나 기계적이지 않고 다만 색의 차이 속에서 슬쩍 버티고 있다. 명확하게 구획된 것이 아니라 색에 의해 가까스로 분리되어 있다는 느낌이다. 그 색면들은 주어진 화면의 테두리를 인식시키는 동시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그림의 조건을 새삼 강조하고 있다. 사각형의 경계도 그렇지만 색채가 도포된 화면 역시 균질하지 않다. 오랜 시간에 걸친 무수한 붓질로 인해 색을 머금고 있는 피부는 얼룩과 응고 등 다양한 표정을 거느리고 있다. 단색 안에 미세한 편차를 만들어내는 표면이다. 그것은 행위와 시간의 차이를 간직하면서 다시는 반복될 수 없는 일회적인 몸짓과 매 순간을 켜켜이 간직한 화면이다. 색과 색 사이가 갈라져있고 색채 사이에 또 다른 색채가 개입해있으며 붓질과 몸의 놀림, 물의 흐름과 삼투에 따라 각기 다양한 표정을 짓고 있는 것을 모두 포용하고 있는 그림인 셈이다. 여기서는 무엇보다도 색채의 선택과 그것들이 차지하고 있는 면의 섬세한 고려와 조절이 핵심이다.
    김종순의 이 색면추상에 유사한 작업은 전통적인 동양화 재료를 이용한 추상 작업이자 붓질이라는 행위의 극대화(퍼포먼스 적인)와 재료가 지닌 물성과 작업 시간, 주어진 사각형 공간, 그리고 그림과 오브제가 지닌 의미가 두루 얽혀 자아내는 여러 맛을 안겨준다. 무엇인가를 의도해서 그린 그림, 그로니까 표상화를 욕망한다기보다는 그로부터 미끄러져 나와 그리는 행위와 재료 자체가 지닌 속성을 가능한 힘껏 외화 시키려는 그림이다. 화면 역시 제한된 사각형의 틀이다. 그림을 그리는 작가 역시 한정된 신체에 갇힌 존재다. 그런데 작가는 그 한계 안에서 역설적으로 이를 과잉으로 다루어 내파하려는 듯하다. 사각형 화면을 용기 삼아 색을 흠뻑 담아내게 하고 자신의 붓질, 몸짓과 시간을 한정 없이 밀어 넣고자 한다. 그렇게 해서 화면과 물감, 붓질, 물 등과 구분 없이 녹아드는 어느 경지를 도모한다. 화면과 재료, 신체의 한계와 경계를 그림의 조건으로 삼아 그 안에서 모종의 최대치, 극한성의 효과를 구사하려는 시도다. 그것은 그림과 생의 조건을 하나로 겹쳐 분리시키지 않는 태도에서 연유한다. 바로 그러한 태도가 이 작업의 핵심이다. ■ 박영택


    김종순-단색으로 물든 화면
    김종순의 그림은 단색으로 칠해진 화면이다. 캔버스 표면에 화선지를 20겹 정도 겹쳐 붙여나간 후에 그 위로 과슈(혹은 아크릴물감)를 먹여 넣은 그림이다. 물을 머금은 물감이 화선지의 내부를 적셔나간 상태가 우리가 보고 있는 그림이다. 다시 말해 우리의 눈으로 보고 있는 것, 그것이 '그림'이라는 애기다. 그림 안에 있는 구체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눈으로 마주 하고 있는 것, 그 자체가 그림이라는 언급은 이미 모더니즘의 대표적인 담론이기도 하다. 이전에는 그림을 이루는 물질, 지지대에 불과한 것이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존재로 환생하며 의미 있는 것으로 부각된 것이 또한 현대미술이다. 따라서 현대미술은 납작한 평면의 화면, 천이나 종이 그 자체, 물감, 색, 붓질, 프레임 등이 회화를 이루는 핵심적인 조건이 되었다. 그리고 그것들을 개념적으로 사유하거나 그 성질을 이용해 연출하거나 하는 것이 미술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는 물질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며 인간중심적 사유방식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개안이기도 하다. 물질에 대한 물활론적인 사유이자 물질을 통해 상상하고 사유하기, 몽상하기에 해당하는 작업이고 물질을 인간의 이성아래 자리한 비천한 존재가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독립된 생명체로서 인식하는 일이기도 하다.
    김종순의 그림 안에는 구체적인 형상이나 외부세계를 연상시키는 이미지가 부재하다. 특정 색을 지닌 물감이 적셔진 화면만이 막막하게 펼쳐져있다. 이 그림은 우선 색으로, 아니 색을 지닌 물질로 자리하고 있다. 이런 그림을 흔히 추상이라고 부른다. 추상미술은 그림 안에 외부세계를 연상시키는 구체적인 이미지가 없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그럼, 추상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보여주는가? 서사(내용, 이야기)가 사라진 화면은 색을, 물질의 상태를 즉물적으로 제시하는 한편 그것으로 인해 야기되는, 연상되는 비시각적 측면을 제공한다. 다분히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것일 수도 있고 가시적인 영역 너머의 것을 아련하게 떠올려주기도 하고 언어화· 문자화시킬 수 없는 것, 당연히 재현될 수 없는 것을 감각하게 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사실 미술은 물질을 빌어 새로운 감각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김종순은 분명 단색의 추상화를 보여주지만 즉물적인 색채의 면이나 단색주의(모노크롬)의 구현이 아니라 색을 공들여 바르고 삼투시켜 이룬 모종의 감각, 전통적인 채색의 물성과 색채 그리고 동양화 모필과 실로 이루어진 매력적인 조형의 한 경지를 만들어 보이는데 치중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단일한 색상으로만 적셔진 이 화면은 외부세계를 연상시키는 구체적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분명 추상이다. 그러나 단조로울 수 있는, 형식적인 색면은 부단한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작가는 화면 안을 다채로운 흔적, 사건으로 만들어 놓았다. 화면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한편 그 평면은 실을 이용해서 형성한, 자신이 흡족할 만한 공간으로 설치된 또 다른 평면이 되었다. 평면을 설치한다는 개념은 낯설지만 주어진 평면의 존재를 다차원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킨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 실을 이용한 작업은 이미 표정 자체가 풍부해진 화면이 단색을 머금고 있으면서도 그만큼 변화가 풍성한 표면을 만드는 계기를 발생시킨다. 하나의 색으로 칠해진 화면이지만 물감이 흘러내린 자취가 은은한 흔적을 안겨주기도 하고 그 내부에 얹혀진 실을 이용해 만든 조형적 자취들이 은밀하게 자리하고 있기도 하다. 다시 말해 화면은 단일한 색상으로 보여지지만 실은 약간의 색차가 발생하고 있고 밋밋한 평면으로 보이지만 그 내부 또한 미묘한 변화가 내재해있다. 따라서 이 그림은 거리와 시간 속에서 달리 보이기도 하고 세심한 관찰과 관심 속에 매순간 다르게 다가온다. 그것은 그림을 보는 관자의 시선의 개입과 햅틱(촉각성)을 부단히 자극하는 표면이다.
    김종순의 화면은 화선지로 이루어졌다. 화선지라는 종이의 선택은 작가의 의도에 따른 것인데 이는 물감/색을 삼투시키고 원하는 색상, 농도, 물질의 상태를 구현해내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종이의 층은 물감이 삼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른바 깊이를 제공한다. 물감은 그 깊이를 수직으로, 수평으로 파고들면서 색으로 물들이고 모종의 상태를 물질화시킨다. 그러니까 작가에 의해 종이와 물감, 물은 서로 얽혀 들어가서 미묘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결정적인 부분은 적절한 상태로 응고된 물감, 색을 머금은 물감과 물이 만나 이룬 농도, 질감이다. 이는 물감을 독특한 살로 성형하는 일이자 표정을 만들어주는 일이고 그것 자체가 의미 있는 기호가 되도록 기술하는 일이다. 여기에는 색의 상태, 다시 말해 어떤 색이며 그 색이 포화된 영역 등도 중요하다.
    작가는 자신의 원하는 색을 만든다. 이미 결정된 물감의 색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타의 색들과 혼합해서 자신의 감각에 맞는 색을 만들어낸다. 여기서 색은 결국 자신의 심리, 감각, 감수성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대변하는 결정적인 얼굴인 셈이다. 저 얼굴 하나가 그림의 전부가 되는 셈이다. 따라서 색을 화면에 어떻게 삼투시키고 발라내는지에 관한 방법론 역시 핵심적이다. 작가는 서예용 긴 붓을 이용해 붓질을 하고 실을 사용해서 화면에 독특한 흔적을 만들어낸다. 붓과 실은 단색으로 물든 화면에 미묘한 뉘앙스를 만드는 장치이며 자신만의 조형을 이루는 수단이 된다. 특히 무수하게 올려내는 붓질은 다분히 수행적 이다. 지극한 정성으로 칠하고 매만져 이룬 색채의 면은 작가의 신체, 감정, 간절한 기원 등이 켜켜이 쌓여 있는 공간이고 깊이가 된다. 그것이 김종순의 단색으로 물든 채색화의 특별한 의미이다. ■ 박영택


    '색전'을 타이틀로 작품 전시를 해 오며 이번 전시를 준비 하던 중 겨울이 채 끝나기도 전 그야말로 경험하지 못한 비명소리로 세상이 온통 뒤숭숭했다. 코로나로 죽음을 맞이한 그들의 마지막은 소설 속 이야기처럼 참혹 했다. 내가 맞이하는 이 무겁고 두려운 시대를 살며 나는 무엇으로 말할 수 있을까. 무심히 붉은색을 죽 그어 보았다. 붉은색은 캔버스 위 한지에서 꿈틀거라며 벽면을 타고 피어오르고 있었다. 이른 봄부터 가을까지 길지 않은 시간을 때로는 열정적으로 때로는 냉정하게 그 표면을 바라보며 내내 기원했다. 힘든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이것이 위안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나의 그림은 색과 선이 회화의 근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것으로 무엇인가 말하고 싶은 것이다. 다소 오래된 경험이지만 색은 욕심을 내어 칠하면 칠할수록 마음으로부터 멀어져가는 속성이 있다. 표면이 마르면 볼 수 있는 물질을 상대하며 번번히 욕심을 내는 것이다. 이처럼 그림 제작은 세상의 이치를 알려주기도 한다. 욕심으로부터 유래하는 불행한 시대를 맞아 봄부터 가을까지 제작한 작품과 지난 시간 제작한 작품으로 하염없이 힘든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한 가닥 위로가 되기를 바란다. (2020. 10. 20) ■ 김종순

    전시제목김종순: The RED Exhibition

    전시기간2020.11.03(화) - 2020.11.30(월)

    참여작가 김종순

    초대일시2020년 11월 03일 화요일 05:00pm

    관람시간11:00am~06:00pm

    휴관일월요일 휴관

    장르회화

    관람료무료

    장소갤러리 박영 GALLERY PAKYOUNG (경기 파주시 문발동 526-6 )

    연락처031-955-4071

  • Artists in This Show

갤러리 박영(GALLERY PAKYOUNG)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2023 BAKYOUNG THE SHIFT 2부 무아無我

    갤러리 박영

    2022.08.03 ~ 2022.09.22

  • 작품 썸네일

    이주형: 깊은 구지

    갤러리 박영

    2022.03.03 ~ 2022.04.15

  • 작품 썸네일

    2021 갤러리 박영 제6회 작가공모선정전 <2021 THE SHIFT> 3부 - 응시 Le Regard

    갤러리 박영

    2021.09.01 ~ 2021.09.30

  • 작품 썸네일

    2021 갤러리 박영 제6회 작가공모선정전 <2021 THE SHIFT> 1부 - 틈, 틔움

    갤러리 박영

    2021.03.02 ~ 2021.03.31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백윤조: Every Little Step

    갤러리조은

    2024.02.29 ~ 2024.03.30

  • 작품 썸네일

    올해의 작가상 2023 (Korea Artist Prize 2023)

    국립현대미술관

    2023.10.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갈라 포라스-김: 국보

    리움미술관

    2023.10.3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2023 타이틀 매치: 이동기 vs. 강상우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3.11.23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서울시립미술관

    2023.12.2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문신 모노그래프:비상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03.07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시적추상(時的抽象)

    전남도립미술관

    2023.12.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김한라 : 둥글게 이어진 사이

    갤러리 도스

    2024.03.27 ~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