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사회

2021.10.29 ▶ 2022.02.06

경남도립미술관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 296 (퇴촌동, 경남도립미술관) 3층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문지영

    가장 보통의 존재 캔버스에 유채, 130.3×162.2cm, 2015

  • 작품 썸네일

    요한나헤드바

    미네르바 뇌의 유산 스밍 스밍 & 울프맨 북스, 2020

  • 작품 썸네일

    임윤경

    너에게 보내는 편지 TV모니터 5대, 헤드폰 5대, 의자 3개, 방석 2개, 아크릴 칸막이 부스 5개, 가변크기, 2012/2014,

  • 작품 썸네일

    최태윤

    허그 미 종이에 마커펜, 61.5×46.5cm, 2020 사진: 이종청

  • 작품 썸네일

    조영주

    휴먼가르텐 폴리우레탄, 스폰지, 적외선 램프, 가변크기, 2021, 사진: 노경

  • 작품 썸네일

    미하일카리키스

    맹렬한 사랑 오디오-비디오 설치, HD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스피커 6대, 서브우퍼 2대, 가변크기, 13분 20초, 2020

  • Press Release

    2021 동시대미술기획전 《돌봄사회》

    《돌봄사회》는 재난이 일상이 되어버린 오늘날 삶의 지속을 추구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돌봄’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다.

    돌봄이라는 단어를 머릿속에 떠올려보자. ‘유아 돌봄 교실’, ‘장애인 돌봄 센터’,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돌봄은 어쩐지 ‘특정한’ 대상을 위한 것인 듯하다. 그런데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누군가에게 돌봄을 주고받는 경험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이 있을까? 사실 누구나 태어나 죽음에 이르기까지 돌봄을 경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은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개체라기보다 서로를 필요로 하는 불완전한 존재이며 상호의존은 본질적인 우리 삶의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본 중심의 근대 사회에서 수익으로 환원될 수 없었던 돌봄은 가치절하 되어 가족 내 보이지 않는 사적 활동으로 여겨졌다. 이후 시장에 던져진 돌봄은 외주화, 상품화를 거쳐 저임금 노동으로 재생산되었고 취약계층, 이주자, 제3세계 빈곤층 등에 할당되었다. 돌봄은 무관심의 역사 속에서 배제되어온 존재들의 아픈 현실을 공유한다.

    최근 전 세계적 전염병 창궐은 돌봄의 위기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여전히 격무에 시달리고 있는 방역현장의 의료진, 학교가 문을 닫는 날이 늘어나 방치된 취약계층 아이들, 집단감염에 쉽게 노출되는 각종 보호시설과 교정시설 등 가장 먼저 재난의 위험이 향하는 곳은 돌봄이 무너진 자리였고, 결국 이러한 위기는 모두의 일상적 삶과도 연결되어 있었다.

    《돌봄사회》는 이와 같은 비극적 상황에서도 예술이 우리를 중요하다고 여겨져야 할 것들에 대한 사유와 실천의 지평으로 이끄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믿고, 현대 사회의 돌봄 구조를 들여다보고 우리 삶의 중심에 돌봄을 두기 위한 조건들을 탐구한다. 돌봄 다학제 연구 집단인 ‘더 케어 컬렉티브’에 따르면 돌봄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능력인데, 이 능력은 이 지구상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과 생물체들이 번성하고, 지구도 함께 번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정치적, 사회적, 물질적, 정서적 조건을 마련한다*고 주장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더 케어 컬렉티브의 돌봄을 끌어와 여섯 명의 국내외 예술가들과 함께 돌봄 요구와 응답이 발현되고 있는 구체적 상황들을 주목함과 동시에 우리의 몸, 가족, 공동체 그리고 지구를 돌보는 실천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는지 공감각적으로 인식해 보고자한다. 이들은 서로 다른 고유한 문화적 조건과 역사적 배경에서 질병과 장애, 신체적 제한, 노동 불안정성, 이주 공동체, 차별, 혐오, 지구온난화와 같은 전 지구적 문제들을 교차하는 돌봄의 다층적 구조에 접근하고 있다.

    전시는 현대 사회에서 질병, 장애와 같은 아픔을 규정하는 이분법적 조건과 제도가 돌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지 그 현재적 징후들을 살피며 시작한다. 그리고 아픈 몸을 돌보며 인간의 근본적인 취약함과 불완전함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때 비로소 발현되는 돌봄이 가진 저항과 회복의 힘을 감각하기를 시도한다. 나아가 스스로를 온전히 돌보는 일상의 실천들이 어떻게 만연한 각종 혐오와 차별을 넘어 타자에게 다가가는 노력이 될 수 있는지 고민해보고, 타자와 돌봄을 주고받을 때 생성되는 정동(情動)을 추적하며 정서적, 신체적 공명을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조금 더 서로의 존재를 느끼고, 마주하고, 대화하고, 돌보며 함께 하는 삶이 어떤 의미인지 질문하며 마무리한다.

    《돌봄사회》는 동시대 미술을 통해 앎과 실천을 연결하려는 시도다. 이번 전시가 만연한 무관심을 극복하고, 자신과 타자를 돌보는 보다 나은 삶에 대하여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 더 케어 컬렉티브, 정소영 옮김, 『돌봄선언』, 니케북스, 2021, p. 18.



    2021 Contemporary Art Exhibition Caring Society

    Caring Society is a project that proposes ‘caring’ as a way to pursue the sustenance of life in the time of continuing disaster in everyday life.

    Let’s think of the word ‘care.’ What comes to mind range from the ‘additional class for childcare’ and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o ‘tailor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Caring seems to be something for ‘particular’ kinds of people who are considered to be in need of help. However, let’s take another thought on caring. Can anyone live without giving and receiving care to and from others? In fact, we all experience caring from birth to death. In this sense, humans are not independent and active subjects but imperfect beings that are in need of each other. Thus, interdependence is the essential precondition of our lives.

    However, caring has been devalued as it could not produce profit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is regarded as an invisible and private activity within family relations. Since caring has been delegated to the market, it was outsourced and commodified, finally reproduced as low-wage labor and allocated to the vulnerable class, migrants, and the poor who live in the Third World. Caring shares the painful reality of being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indifference. In this sense, caring shares the painful reality of those who had gradually been excluded through ignorance.

    The rampant spread of a pandemic in recent years exposed the blind spot of caring in a dramatic manner. The primary places impacted by the disaster were where caring had been suspended, such as the medical staff at quarantine sites who still suffer from the pressure of their work, the vulnerable children that are left without care due to the extended closure of schools, and various protection and correctional facilities that are prone to group infections. In the end, the crisis was also connected to everyone’s daily life.

    Caring Society invests in the belief that art can lead us to the horizon of thinking and practice on things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at any time even in tragic circumstances. As such, the exhibition investigates the structures of care in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conditions for drawing care to the center of our lives. According to The Care Collective,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 on caring, caring is a common ability possessed by everyone. Caring provides political, social, material, and emotional conditions that allow the majority of people and living creatures on this planet to thrive—along with the planet itself.*

    As a project, Caring Society employs The Care Collective’s notion of care. It aim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caring and asks for the new possibility of caring with six artists from Korea and beyond. As such, the project will shed light on the concrete realities where the requests and responses of caring are manifested. At the same time, it invites us to synesthetically perceive how the practices of caring for one’s body, family, community, and the earth can be organically connected and operated. The practices presented in the exhibition approach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aring that intersect pressing imminent global issues such as disease and disability, physical restrictions, labor insecurity, migrant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exhibition begins by examining the current symptoms that show how the dichotomous conditions and policies defining pain such as disease and disability in contemporary society have been affecting ou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aring. When we understand that caring for a sick body is a process of embracing the fundamental human fragility, delicacy, and imperfections, we begin to sense the power of resistance and recovery that manifests through caring. In addition, the exhibition considers how everyday practices of taking care of oneself soundly can become an effort to reach others beyond hate and discrimination that are prevalent in our society. Further, it investigates the emotional and physical resonance of caring relations, tracing the a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iving and receiving care. Finally, the exhibition reaches an end by asking what it means to live in the uncertain future with the focus on the caring relationship—feeling a little more of each other’s existence, facing each other, having conversations, and living together.

    Caring Society is an attempt to connect knowledge and practice through contemporary art. It is hoped that the exhibiti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overcome rampant carelessness, and rethink a better life caring for ourselves and each other.

    * The Care Collective, The Care Manifesto, Verso Books, 2021, p. 18.

    전시제목돌봄사회

    전시기간2021.10.29(금) - 2022.02.06(일)

    참여작가 문지영, 미하일카리키스, 요한나헤드바, 임윤경, 조영주, 최태윤

    관람시간관람시간 / 3~10월_10:00am~07:00pm / 11~2월_10:00am~06:00pm

    휴관일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휴관

    장르회화, 드로잉, 영상, 설치 등

    관람료관람료 / 성인 1,000원 / 청소년, 군인 700원 / 어린이 500원 / 장애인, 유공자, 65세 이상, 7세 미만 무료
    자세한 사항은 경남도립미술관 공식 홈페이지 참고

    장소경남도립미술관 Gyeongnam Art Museum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 296 (퇴촌동, 경남도립미술관) 3층)

    기획안진화 학예사

    주최경남도립미술관

    주관경남도립미술관

    연락처055-254-4600

  • Artists in This Show

경남도립미술관(Gyeongnam Art Museum)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보통 사람들의 찬란한 역사

    경남도립미술관

    2023.10.27 ~ 2024.02.25

  • 작품 썸네일

    아카이브 리듬

    경남도립미술관

    2023.07.21 ~ 2023.10.29

  • 작품 썸네일

    N ARTIST 2023: 더 느리게 춤추라

    경남도립미술관

    2023.03.17 ~ 2023.08.27

  • 작품 썸네일

    심문섭: 시간의 항해

    경남도립미술관

    2023.03.17 ~ 2023.06.25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백윤조: Every Little Step

    갤러리조은

    2024.02.29 ~ 2024.03.30

  • 작품 썸네일

    올해의 작가상 2023 (Korea Artist Prize 2023)

    국립현대미술관

    2023.10.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갈라 포라스-김: 국보

    리움미술관

    2023.10.3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2023 타이틀 매치: 이동기 vs. 강상우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3.11.23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서울시립미술관

    2023.12.2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문신 모노그래프:비상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03.07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시적추상(時的抽象)

    전남도립미술관

    2023.12.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김한라 : 둥글게 이어진 사이

    갤러리 도스

    2024.03.27 ~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