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현: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

2022.05.21 ▶ 2022.06.17

더 소소

서울 중구 청계천로 172-1 (주교동)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이인현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 30(h)x100(w)x20(d)cm, 캔버스에 유화, 나무에 채색, 1993_2022

  • 작품 썸네일

    이인현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 1995_2022

  • 작품 썸네일

    이인현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 56(h)x221(w)x11(d)cm, 캔버스에 유화, 나무에 채색, 199 _2022

  • 작품 썸네일

    이인현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 187(h)x442(w)x83(d)cm, 캔버스에 유화, 강선에 채색, 2017_2022

  • 작품 썸네일

    이인현

    전시전경

  • 작품 썸네일

    이인현

    전시전경

  • Press Release

    라그랑주 포인트를 찾아서

    두께가 있는 캔버스 위를 여러 선이 가로지른다. 수평 수직으로 공간을 가르는 프레임 형태의 구조물 사이로 천 위에 번진 푸른 물감이 보인다. 작품을 보는 이는 그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 움직이고, 그러다 문득 멈춰 선 채, 선과 면, 색, 작품에 비치는 빛, 벽에 드리워진 그림자, 그 사이의 공기로 채워진 어떤 순간을 만난다. 바로 그만의 라그랑주 포인트다.

    두 개의 천체 사이에서 중력적 평형을 이루는 궤도상의 지점을 뜻하는 라그랑주 포인트는 풀 수 없는 삼체문제의 특수해이다. 뉴턴의 만유인력으로 명쾌하게 밝혀진 두 지점 사이의 중력 작용, 즉 이체문제와는 달리, 공식이 성립할 수 없는 삼체문제에서 수학자 라그랑주가 중력이 0이 되는 예외를 밝혀낸 지점이 라그랑주 포인트로 명명된 것이다. 고도의 수학적 계산에서 나온 이 천문학 용어는 명징한 해답을 찾을 수 없는 넓디넓은 우주 속에서 찾게 되는 한 순간의 깨달음 같은 무척이나 인문학적인 풍경을 떠오르게 한다. 푸코의 개념에서 가져온 철학적인 이름의 <회화의 지층> 작업을 하는 이인현 작가는 개인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천문관측 취미를 가지고 있다. 그의 개인전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는 다른 속성의 단어를 병렬로 나열한 이름처럼 삶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속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려는 작가 본인의 모습을 내포하고 있다.

    미셸 푸코는 모든 담론은 그 배경이 되는 인식의 구조가 있고, 그것이 지층처럼 시대적인 구분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그 체계를 ‘에피스테메(L'épistémè)’라 칭했다. 이인현 작가는 이 에피스테메를 가져와 자신의 작업에 <회화의 지층(L'épistémè of Painting)>이라는 이름을 붙여왔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그의 작업은 회화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미술사적 구조를 탐구하는 여정이다. 그가 처음 회화의 지층 작업을 공개하며 제기한 ‘정면의 역사’에 대한 반문은 2차원적 시각예술인 회화에 대한 다층적인 탐구였다. 벽에 걸린 회화는 흔히 정면의 얼굴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구획된 평면의 어느 부분을 회화로 지칭하게 되기까지 현대미술사의 흐름은 격류와도 같았다. 멀쩡히 얼굴을 내밀고 있는 저 회화의 얼굴이 실은 수많은 담론의 충돌 속에서 구축된 것임을 작가는 회화의 측면을 강조한 일련의 작품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인현 작가가 회화의 인식구조에 대해 사유하게 하는 방식은 비단 옆면을 두껍게 한 캔버스 형태만이 아니다. 그는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작가의 손길을 배제하는 작업을 해왔다. ‘대가의 한 획’ 같이 낭만주의적 예술가상을 극대화하는 이미지를 여러 방법으로 전복시켰다. 붓을 캔버스에 직접 대지 않고, 담뿍 먹은 물감이 떨어지도록 가만히 들고 있는 이른바 물감을 천에 내려 놓는 방식을 비롯하여 길다란 나무막대에 캔버스 천을 감싸 붓 대신 사용하기도 하고, 붓으로 사용한 막대에 감은 그 천을 다시 작품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작품이 가진 물성을 강조하고 작가의 손길이 이끄는 완성이라는 개념을 해체하는 이 모든 작업은 시각적인 감상의 영역을 확장시켜 회화를 이해하는 인식의 구조를 생각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모든 작품은 하나하나의 완결된 작품이 아니라 그가 예술에 대해 생각하는 모든 행위, 그의 삶을 따라 흐르는 연속적인 작업의 이름인 <회화의 지층>으로 불리게 되는 것이다.

    <회화의 지층>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의 작업은 ‘옆에서 바라본 그림’, ‘어두워질 때까지’, ‘재생’과 같은 부제를 갖기도 한다. 이 부제들은 작가의 당시 상황이나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한 예로 ‘재생’의 경우 받침대로 쓰이거나 물감의 농도를 시험했던 천을 사용하거나 이전에 만들었던 작품을 재구성한 작품들로 기획된 전시였다. 여기에는 주된 것과 주변의 것, 미완성과 완성, 과거의 것과 현재의 것이라는 생각의 틀을 부수는 의미가 있다. 이렇게 정면과 완결을 요구하는 회화의 틀에 대해 곁눈질해서 볼 것을, 회화를 구성해온 시간을 염두하고 작품을 볼 것을, 작품의 완결성이라는 개념을 다시 생각해 볼 것을 권유하는 이 흥미로운 부제의 역사는 이번 전시에 이르러 회화의 틀이 해체된 혼란 속에서 예외적으로 존재하는 ‘라그랑주 포인트’의 경험을 제시한다. 무려 30여년을 넘나드는 작품의 제작연도는 과거와 현재 사이의 어느 지점을 가리키고, 작품에 포함된 프레임과 캔버스의 조합은 공간 사이의 어느 지점을 향하게 하는 그의 작업은 연속된 어느 길에서 찰칵하고 찍어낸 한 순간 같은 기념할 만한 경험이다.

    <회화의 지층>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전시와 작품을 지칭하는 이인현 작가의 작업에서 짚어봐야 할 것은 실제 상황에서 불리는 작품의 이름이다. 작품은 때에 따라 ‘양수리’, ‘미시시피’ 등 작품의 조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이름으로 불린다. 제목으로 구분할 수 없는 작품을 가리키기 위해서 지인들이 사용한 일종의 별명 같은 이러한 용어를 작가는 평소에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번 전시에도 건물 외벽 공사를 위해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있게 만든 설치물인 비계의 은어 ‘아시바’, 푸른 물감의 번짐에서 연상되는 ‘청화백자’, 유난히 두꺼운 검은 프레임을 장착한 ‘트랜스포머’ 등 다양한 별명을 가진 작품이 등장한다. 공식적인 제목이 아닌 이러한 용어들이 쓰이는 것을 수용하는 작가의 태도는 회화의 역사가 형성해온 경직된 사고에 동의하지 않는 그의 예술관과 실천적 태도를 잘 보여준다.

    이인현 작가의 이러한 열린 사고는 각각의 작품이 갖는 조형적 특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번 전시《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에 포함된 이른바 ‘프레임을 포함한 작품’들은 작품의 내외부를 결정짓는 공간의 구획에 다채로운 변주를 가져온다. 작품의 영역에 들어간 프레임은 작품의 공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한계선을 모호하게 만든다. 벽에서 뻗어 나온 철선은 캔버스 너머의 벽을 작품 안으로 끌어온다. 기존에 작품을 구획하고 공간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던 틀이 순간의 빛이 만드는 그림자와 그것을 보는 시선의 각도에 따라 무한대의 공간까지도 작품에 함유시키는 것이다. 작품은 프레임을 껴안음으로써, 공간과 시간이라는 제한선을 가뿐히 넘고 독립성이라는 개념적 구획을 훌쩍 뛰어넘는다.

    이러한 공간 구성은 관람자가 갖게 되는 작품 감상의 경험 역시 무한대로 확장시킨다. 이미 두께를 가진 회화로 보는 이에게 정면의 주변을 볼 것을 제안했던 작품은 이제 허공으로 뻗어나간 프레임과 캔버스가 만들어내는 조형을 즐기도록 유도한다. 관람자는 작품을 보기 위해 계속 이동하며 자신만의 각도를 찾아야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작품은 고정된 이미지를 갖지 않고 보는 사람이 서있느냐, 무릎을 약간 굽혔느냐, 앉아서 보느냐에 따라 시시각각 달라지는 모습을 갖게 된다. 이 때 그것을 보는 날의 날씨, 보는 이의 감정 상태 등 다양한 조건들이 작용하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작가는 별개의 작품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묶기도 하고, 직각으로 꺾이는 갤러리의 벽을 따라 두 작품이 연결된 듯이 설치함으로써 그러한 경험을 더욱 확대시킨다. 보는 이에 따라 무한히 달라지는 작품은 온갖 우연을 포용한 채, 정면, 완결성과 같은 획일적인 관념에 저항한다. 작가와 관객은 작품을 중심으로 저마다 다른 라그랑주 포인트에서 자신만의 시선으로 작품을 보게 되는 것이다.

    다시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로 돌아와 작품 하나하나가 가진 조형의 맛과 작품 간의 흐름, 그리고 이를 비추는 정교한 조명이 만드는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즐기다 보면, 그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줄처럼 신경을 곤두세운 한 사람이 느껴진다. 그는 예민한 집중력과 강도 높은 노동으로 작가의 손길을 배제한 작품을 완성하고, 머리 속에서 한시도 쉬지 않는 사고의 흐름으로 우연적인 전시를 계획한다. 그러면서 동시에 지인과의 만남, 하늘 보기, 맛있는 케이크, 좋은 술과 같은 것들에 대해 같은 집중력과 태도로 몰입한다. 예술과 삶을 구분하고, 처음과 끝을 만드는 단선적인 사고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그의 작업은 모든 삶의 순간에서 실천적으로 행해진다. 회화의 안과 밖, 작품을 사이에 둔 작가와 관람객, 과거의 작품과 현재의 작품, 작업과 일상 등 수많은 교차에서 정교하고 예민하게 쌓아가는 회화의 지층에 선 이인현 작가의 라그랑주 포인트.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에서 모든 것을 향해 열려있는 그의 작품을 통해 우리 모두가 자신만의 라그랑주 포인트를 찾게 되길 바란다.
    ■ 전희정(갤러리 소소)

    전시제목이인현: 회화의 지층 – 라그랑주 포인트

    전시기간2022.05.21(토) - 2022.06.17(금)

    참여작가 이인현

    관람시간01:00pm - 06:00pm

    휴관일월, 화 휴관

    장르회화

    관람료무료

    장소더 소소 The SoSo (서울 중구 청계천로 172-1 (주교동) )

    연락처031-949-8154

  • Artists in This Show

더 소소(The SoSo)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페인터리 섀도우 Painterly Shadow

    더 소소

    2024.03.08 ~ 2024.04.05

  • 작품 썸네일

    감민경: 슬픈 젖꼭지 The Sad Nipple

    더 소소

    2023.11.24 ~ 2023.12.22

  • 작품 썸네일

    김동기: 숲섬파도

    더 소소

    2023.10.13 ~ 2023.11.10

  • 작품 썸네일

    박기진: 평원

    더 소소

    2023.08.18 ~ 2023.09.15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백윤조: Every Little Step

    갤러리조은

    2024.02.29 ~ 2024.03.30

  • 작품 썸네일

    올해의 작가상 2023 (Korea Artist Prize 2023)

    국립현대미술관

    2023.10.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갈라 포라스-김: 국보

    리움미술관

    2023.10.3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2023 타이틀 매치: 이동기 vs. 강상우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3.11.23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이력서: 박미나와 Sasa[44]

    서울시립미술관

    2023.12.21 ~ 2024.03.31

  • 작품 썸네일

    문신 모노그래프:비상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03.07 ~ 2024.03.31

  • 작품 썸네일

    시적추상(時的抽象)

    전남도립미술관

    2023.12.20 ~ 2024.03.31

  • 작품 썸네일

    김한라 : 둥글게 이어진 사이

    갤러리 도스

    2024.03.27 ~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