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포스터
오종
Light Drawing (room) #1 2024. Chiffon, LED light, rope wire, fishing wire, copper wire, turnbuckle, Dimensions variable. (사진: 김경태)
오종
Light Drawing (room) #1 2024. Chiffon, LED light, rope wire, fishing wire, copper wire, turnbuckle, Dimensions variable. (사진: 김경태)
오종
Light Drawing (room) #1 2024. Chiffon, LED light, rope wire, fishing wire, copper wire, turnbuckle, Dimensions variable. (detail) (사진: 김경태)
오종
Light Drawing (room) #1 2024. Chiffon, LED light, rope wire, fishing wire, copper wire, turnbuckle, Dimensions variable. (detail) (사진: 김경태)
페리지갤러리는 2024년 10월 1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오종 작가의 개인전 《white》를 개최한다. 오종은 작품이 설치될 공간을 관찰하고 그 장소의 건축적 요소와 그곳에 내재하여 있는 보이지 않는 감각을 구축적 조형을 통해 시각화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작가는 이를 공간이 가지고 있는 울림이라 함축해서 이야기하는데, 그의 작업은 주로 얇은 와이어와 조그만 오브제들을 사용하여 연결해 이 울림의 어떤 형태를 만드는 것이다. 그가 만들어 내는 설치는 공간에 그림을 그리듯이 혹은 조각하듯이 이루어진다. 이는 기하학적인 점, 선, 면을 사용하여 구성되기에 가늘고, 얇고, 작지만, 이들이 이어져서 공간에 만들어지는 존재는 보이지 않는 힘으로 가득하다. 이처럼 그는 공간을 인식하고, 무엇인가를 발견하여 어떤 배치를 통해 질서를 부여하고, 이를 우리에게 어떤 상황으로 전달한다.
이번 전시 《white》에서 작가는 전시 공간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특징적인 요소인 하얀색을 작업의 소재로 선택하였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어두운 공간에 하얀 빛을 발하고 있는 네모난 작품을 만나게 된다. 이는 반투명한 하얀 천, 그 안에 직선과 곡선으로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설치된 하얀 빛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시장의 하얀 벽이 불투명하여 고정된 요소라면, 작가의 반투명한 하얀 천은 그 뒤에 있는 것들을 어렴풋하게 투과하여 보여준다. 그리고 하얀 빛은 밝기의 정도를 달리하여 이를 좀 더 세심하게 시각화한다. 이렇게 하얀색은 작가가 만들어 놓은 천과 빛의 조합으로 천과 천 사이, 천과 벽 사이에서 다채로운 결을 만들어 낸다.
하얀 빛은 천으로 구분되는 공간을 채우고 그 경계인 천을 다시 밝혀준다. 그리고 그 경계 너머에 있는 전시 공간을 비추기도 한다. 작품 밖의 특정한 시점에서 보면 빛은 그곳을 마치 안개로 가득한 밀도 높은 공간으로 보이게 하기도 하지만, 천이 열린 부분에서 본다면 그것은 빛 그 자체로 인식될 뿐이다. 이렇듯 이번 전시에서 빛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관객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시선의 위치로 인해 정점에 다다르다 다시 흩어지고 다시 정점에 이르는 변화된 모습을 보인다. 사실 우리는 이미 하얀 빛으로 가득한 공간 안에 들어와서 또 다른 하얀 공간을 보고 있는 형국이며, 또다시 작품이 만들어 내는 공간 안에서 밖에 있는 전시장의 공간을 다시 보게 되는 반복되는 순환의 구조로 공간이 연출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하얀 천과 빛은 우리의 시선에 따라 가려짐과 드러남을 통해 계속해서 움직이며, 다중의 인과성을 만들어 낸다. 이는 작가의 이전 작업이 가지고 있는 완결성을 벗어나 공간이 가지고 있는 자유로운 리듬과 울림을 관객에게 온전히 맡기려는 작가의 태도에 기인한 것이다.
오종은 이렇듯 단순한 천과 빛의 설치를 통해 입체 조형의 형태와 구조를 획득하여, 공간에 이미 존재하던 것을 실체화시킨 듯한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다시 말해 그의 작업은 마치 그 자리에 있었지만 보이지 않았던 것이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 것처럼 느껴진다.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전시장에 들어설 때부터 나갈 때까지 만나게 되는 다시 오지 않을 그날, 그곳의 공기로 채워진 하나의 입체적 조형과 개별의 오브제 그 자체의 인과 관계이다. 따라서 우리가 이것을 본다는 것은 공간과 시간 그리고 오브제의 숨겨진 차원에 내재하고 있는 감각을 발견해 내는 일이 될 것이다.
1981년 출생
미술관 길목 프로젝트: 정세인
국립현대미술관
2023.10.31 ~ 2024.10.31
어쩌면 그건 정답이 아니었을지도
벗이미술관
2024.07.12 ~ 2024.10.31
최병진: Elegant Anxiety
갤러리 마크
2024.09.27 ~ 2024.10.31
최인순: 빛의 서사
장은선갤러리
2024.10.23 ~ 2024.10.31
김형관: 꿈 뼈 재
더 소소
2024.10.04 ~ 2024.11.01
조준용: Holy Motors
더 소소
2024.10.04 ~ 2024.11.01
최만린: 흰: 원형 The Original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2024.03.28 ~ 2024.11.02
서도호: 스페큘레이션스
아트선재센터
2024.08.17 ~ 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