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변 부피 Variable Capacity
2024.11.12 ▶ 2024.12.21
2024.11.12 ▶ 2024.12.21
전시 포스터
신한갤러리는 2024년 11월 12일부터 12월 21일까지 ‘2024 Shinhan Young Artist Festa’ 그룹 공모전에 선정된 박소정, 윤장호, 채병훈의 《가변 부피》를 개최한다.
박소정, 윤장호, 채병훈으로 구성된 ‘가변 부피(Variable Capacity)’는 동시대 시각예술 창작 컬렉티브이자 본 전시의 제목이다. 전시 《가변 부피》는 쉽게 전시 공간에 볼 수 있는 미술 작품의 유연한 크기 정보와 내재적 확장성을 의미하는 “가변 크기”를 바탕으로 입체적 물성의 다층적인 접근을 포함하기 위해 양식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부피’라는 개념을 혼합한 실험 및 연구 프로젝트이다. 20세기 말부터 전시 공간은 작품의 중립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고전적이며 정형적인 백(白)색 양식을 고수해 더욱 정적인 영역으로 정착하게 됐다. 물리적, 이념적 상호 작용 요소를 포함한 설치 및 입체 작업을 중심으로 창작을 전개하고 있는 두 참여 작가는 각기 다른 세부 매체와 질감, 움직임의 논리 등으로 시각예술의 신체성을 연구해 오고 있다.
박소정과 윤장호가 창작 활동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시각화해 온 ‘율동감 있는 작업’, 그리고 채병훈이 학예 프로젝트 기획자로서 연구한 시각예술 영역에서의 ‘신체적 관계성’은 1968년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 Museum of Modern Art)의 주요 키네틱 아트 기획 전시 《기계시대 끝에서 본 기계(The Machine as Seen at the End of the Mechanical Age)》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전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부터 백남준에 이르기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러 세대를 넘나드는 미디어, 영화, 건축, 회화, 드로잉, 조각, 콜라주 등 200 점이 넘는 작품을 포함하면서 학제 간 주요한 집단지성 공유의 장을 마련함과 동시에 시각예술 학문에서 ‘움직임’에 대한 폭넓은 인지와 연구를 이끌었다. 초기 키네틱 아트의 다채로운 범위는 동시대에 접어들면서, 시공간의 개념을 수용하고 자연적, 인공적 움직임과 빛에 집중하게 된다. 하지만, 1970년대를 해당 영역의 쇠퇴기로 평가하는 선행연구와 같이 긴 공백기를 가졌지만, 4차 산업 혁명과 과거 고도화된 기술의 보편화로 인해 본 연구는 활발히 다시 읽혀지고 있다.
《가변 부피》에서 선보이는 모든 작품은 신작으로, 다방향성의 작동 방식을 기반으로 예술 공간을 유기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교한 기계적 메커니즘과 고요한 전시장 환경을 기반으로 쉬지 않는 공장과도 같고, 곤히 숨을 쉬는 누군가와 같은 운동 작용을 자아내는 이번 전시는 매우 사적이면서도 논리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고를 재조명한다. 미술 실기와 이론을 전공한 기획자 채병훈은 개인적인 키네틱 요소의 사적 아카이브 매핑(mapping) 작업 〈움직임의 사적(私的, 史跡) 논리〉(2024)를 렉처 퍼포먼스 형식으로 기록하여 공유한다. 한 동시대 시각예술 연구자의 관점으로 해당 분야에 대한 비가시적이고 추상적인 사고를 시각적인 형태로 풀어내면서, 전시장에서 관람객이 공감할 수 있는 상호 작용의 계기를 마련해 ‘무형의 키네틱’을 구축하고자 한다.
촉각적 감각을 시각화해 온 박소정은 이번 전시를 통해 활발히 기능하고 활동했던 여러 감각이 정적인 상태로 휴귀하는 과정에 집중했다. 이는 신체에서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 퇴화된 인체의 일부를 미동의 조형적 요소로 전환함으로써, 관람자가 다시금 체험하고 주변의 흔적 감각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지면에서부터 벽면, 높낮이가 다른 좌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선으로 관람자의 층위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가려진 콘텍스트는 가치적 면모에서 비생산적 행위에 포함되지만, ‘감각 작용’에서 ‘행동 작용’으로 창작자의 연구 폭을 확장하는 시작점이 되었다.
윤장호는 신작을 통해 개인의 경험에서 축적된 인간의 ‘방어적 태도’를 ‘본능적 방어 기질’로 확대하여, 행동의 근원에 대해 탐구한다. 3D 설계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내재적 불안은 미니멀리즘의 작업 단계를 통해 비물질적 신체 영역으로까지 실험한다. 또한,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시대적, 환경적 요인으로 변화하고 발현되는 방어적 태도의 원인을 ‘집단과 사회’로 조망했던 기존 관점이 아닌 ‘개인의 욕구’에 존재하는 여러 불안 요소에 초점을 맞춰 선보인다. 이는 반사 조건과 같이 공통적이면서 개인사(史)가 교차할 수 있는 지점을 발견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동반한 우리의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전시 공간은 예술 작품 및 퍼포먼스와 필연적 관계로 고정적이면서도 유연한 프레임을 형성하고, 관람객이 그 사이를 재사유함으로써 예술적 문맥에 능동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단순하면서도 당연한 작품 관람 방법은 《가변 부피》 전시 구성 방식에서 더욱 강조된다. 이는 신한갤러리 공간의 기존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방문자의 관람 행위가 각각의 작품에 극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 관람 동선에서 자연스레 전시와 관람자가 서로의 존재성을 발견하고, 새로운 움직임을 발동시킨다. 또한, 전시장 수직선에 따라 흐르듯이 재단(draping)된 천들이 방문자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해 인위적이면서 우연적으로 전시 공간(white cube)을 흔들어, 고정된 장소가 아닌 개입하고 참여할 수 있는 동적인 공간으로 인지하게 한다. 두 창작자와 기획자로 구성된 창작 컬렉티브는 가변적인 팽창을 매개로 새로운 관계성과 더불어 압축, 분열되는 지속 가능한 부피에 대한 탐구를 이어간다.
Shinhan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Variable Capacity, featuring Sojung Park, Jangho Yoon, and B. Jun Chae, selected for the group show of the 2024 Shinhan Young Artist Festa, on view from November 12 to December 21, 2024.
Variable Capacity, comprising Sojung Park, Jangho Yoon, and B. Jun Chae, functions both as a contemporary visual art collective and a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This curatorial project is an experimental research endeavor that fuses the concept of ‘volume’—a notion often stylistically overlooked—with that of “variable size”, denoting the flexible dimensionality and scalability of artworks commonly utilized in exhibition spaces. Seeking to encompass multilayered approaches to three-dimensional materiality, the project acknowledges tha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exhibition spaces have adhered to classical and standardized white-cube aesthetics to effectively maintain the neutrality of artworks, thereby solidifying into more static realms. Sojung Park and Jangho Yoon, who have been cultivating their creative practices centered on installations and three-dimensional works incorporating elements of physical and ideological interaction, have been exploring the corporeality of visual art through diverse media, textures, and the logic of movement.
‘The rhythmic works’ that Sojung Park and Jangho Yoon have been materializing since the inception of their creative endeavors, along with curator B. Jun Chae’s investigation of ‘physical relationality’ within the visual arts realm, are rooted in the seminal kinetic art exhibition The Machine as Seen at the End of the Mechanical Age, held at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in 1968. This pivotal exhibition encompassed over 200 works—including media, film, architecture, painting, drawing, sculpture, and collage—that traversed generations and transcended East and West, featuring artists from Leonardo da Vinci to Nam June Paik. It established a significant platform for the sharing of interdisciplinary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imultaneously engendered expansive recognition and research on movement within the field of visual arts. As early kinetic art transitioned into the contemporary era, its diverse scope embraced the concepts of time and space, honing in on natural and artificial movement and light. Despite prior studies characterizing the 1970s as a period of decline in this field, resulting in a prolonged hiatus, this discourse is being actively revisited in ligh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mocratization of previously advanced technologies.
All works presented in Variable Capacity are newly conceived, aiming to animate the artistic space through multidirectional operational methodologies. This exhibition, grounded in sophisticated mechanical mechanisms and a tranquil gallery environment, evokes motions akin to a restless factory or the profound breathing of an unseen presence, re-examining myriad contemplations arising from deeply personal yet logical processes. B. Jun Chae, a curator who has majored in both art practice and theory, shares his work Someone’s Logic of Movement (2024) in the form of a lecture performance, mapping his personal archive of kinetic elements. From the vantage point of a contemporary visual art researcher, he endeavors to construct an ‘intangible kinetic’ by translating invisible and abstract cogitations within this field into visual forms, thereby facilitating opportunities for interactive engagement that resonate with visitors in the exhibitionary space.
Sojung Park, who has been translating tactile sensations into visual expressions, focuses in this exhibition on the process by which senses that once functioned vigorously recede into stasis. By transmuting degenerated, non-functional parts of the human body into sculptural elements exhibiting subtle movements, she guides the audience to re-experience and recognize the sensory traces permeating their surroundings. The concealed contexts prompting viewers to adopt varied postures from diverse perspectives—from the floor to walls and pedestals of varying elevations—may be perceived as non-productive acts from a conventional standpoint, yet they have become the inception point for the artist to expand her research ambit from ‘sensory action’ to ‘behavioral action’.
In his new work, Jangho Yoon amplifies personal ‘defensive attitudes’ into ‘instinctive defensive dispositions’, delving into the primordial origins of behavior. These inherent anxieties, visualized through 3D design, are experimentally extended into the immaterial realms of corporeality through minimalist processes. In this exhibition, Yoon diverges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at attributes the causes of defensive attitudes—evolving and manifesting due to temporal and environmental factors—to ‘collectives and society’. Instead, he concentrates on the multifaceted anxieties inherent within ‘individual desires’. This approach uncovers intersections where commonality and personal history coalesce, akin to reflexive conditions, thereby evoking experiences accompanied by diverse movements.
Through its intrinsic relationship with artworks and performances, the exhibition space establishes a fixed yet flexible framework, cultivating an environment where visitors can actively engage with the artistic context by re-conceptualizing the interstitial spaces. The ostensibly simple yet intuitive methodology of spectatorship is further accentuated in the composition of Variable Capacity. By preserving the existing spatial structure of the Shinhan Gallery and orchestrating it so that visitors’ movements interact dynamically with each piece, the show and the viewers organically acknowledge each other’s presence, catalyzing mutual movements along the viewing trajectory. Additionally, draped fabrics cascading in varying widths and lengths along the vertical axes of the space subtly disrupt the white cube, artificially yet serendipitously, through visitors’ physical interactions, allowing it to be perceived as a dynamic space open to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a static locale. The creative collective, comprising two artists and a curator, continues to explore sustainable volumes that are simultaneously compressed and fragmented, alongside new relationalities mediated by variable expansion.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