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훈: 유빙

2025.02.06 ▶ 2025.02.28

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6길 15 (통의동, 갤러리 아트싸이드) 아트사이드 템포러리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이창훈

    한강 #10-2 Han River #10-2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 218x160cm, 2024

  • 작품 썸네일

    이창훈

    한강 #01 Han River#01 C-프린트, 180x275cm, 2022

  • 작품 썸네일

    이창훈

    한강 #03 Han River#03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 202x160cm, 2025

  • 작품 썸네일

    이창훈

    한강 #05 Han River#05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 160x282cm, 2024

  • 작품 썸네일

    이창훈

    눈 Snow 석고, 가변크기(각 ca.7x7x7cm), 2021~2022

  • 작품 썸네일

    이창훈

    전시전경

  • 작품 썸네일

    이창훈

    전시전경

  • Press Release

    이창훈은 찰나의 시간을 감각적 차원에서 풀어내며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삶의 이야기를 전한다. 그는 시공간 속에 흡수되어 있는 인간의 삶,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나 의미들을 반추하고자 관념적인 시간을 가시화하고, 삶의 서사를 모아 재구성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이창훈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인생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사진 연작 <한강>은 한강을 비롯한 그 주변의 도시와 자연,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중요한 소재로 삼고 있다. 한강은 단순한 자연물이 아니라, 세대를 이어가며 역사와 이야기를 불러오는 동시에 인간의 욕망을 상징한다. 이창훈은 사계절 동안 강변에서 길은 물을 수석 모양의 틀에 담아 얼음으로 만들어 박제하는 작업을 통해 시간의 유한성과 인간 욕망의 덧없음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이 작업은 인간이 추구하는 욕망이 결국 시간의 흐름 속에서 허무해지고, 물질적 가치가 무상함을 깨닫게 한다.

    전시장 1층에 위치한 작품 <눈>은 겨울 도심에 내린 눈을 모아 만든 눈덩이들을 석고로 캐스팅한 작업으로 녹아 없어질 눈을 영원히 보존하려는 태도가 인간의 욕망을 상징하는 작품 <한강>과 내용적으로 이어진다. 또한, 지하 전시장에 퍼지는 사운드 <빙렬>은 사진 연작 <한강>의 작업 중, 차가운 얼음이 더운 대기와 만나는 순간에 발생하는 금이 가는 소리를 녹음하고 편집한 작품이다. 각 채널에서는 간헐적이고 불규칙적인 빙렬음이 들리며, 때때로 그 소리가 자연스럽게 겹쳐 공간을 가득 채운다.

    이창훈은 이번 전시 《유빙》을 통해 '욕망'과 '삶'을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시간의 흐름과 인간 존재의 무상함을 담은 작품들은 관객에게 깊은 성찰을 유도하고, 욕망의 본질과 삶의 진정한 가치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독립적이지만 긴밀하게 연결되어 서로의 의미를 보완한 각 작품들은 단순히 시각적 경험을 넘어서 관객의 청각, 촉각을 자극하며 다채로운 감각적 차원으로 다가간다.

    이창훈의 예술은 단순히 시간의 흐름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서, 공간을 점유하고 살아가는 ‘사람’에 대한 고찰을 담고 있다. 그가 시공간 속에서 포착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보편적인 삶의 서사이며, 그 안에서 인간의 욕망과 가치, 의미를 반추하려는 노력이 드러난다. 또한, 인간 욕망을 넘어, 궁극적으로 존재의 근원을 자각하게 만들며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단순히 허무적인 태도에 빠지지 않고,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물음과 함께 물질적 가치를 벗어나 더 나은 삶을 향한 열망을 촉발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본 전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창훈의 작업은 하나의 큰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어떠한 것을 추구하고 살아가며, 삶에서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작가노트

    ‘시간, 공간 그리고 인간’


    작업의 모티브는 시·공간이다. 시간의 흐름은 자연스럽게 어떤 형태로든 잔재물을 생산하고, 이어 공간을 채워나간다. 작품은 공간 속, 단순히 눈에 보이는 물질적 대상뿐만 아니라 비가시적인 것, 느낌과 정취 같은 비물질적인 것을 모두 포함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순환하는 시간을 가로질러 찰나의 시간을 감각의 차원에서 경험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단지 비시각적 시간의 가시화와 같은 표현 방식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즉 ‘시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속에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확장된 질문을 관객들에게 던지게 되는데, 작업은 다소 관념적 주제의 모티브를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공간으로 하여 누구나의 보편적 삶의 이야기로 일반화된다. 즉 나의 작업은 시간을 근간으로 하고 있지만 더 먼 곳, 궁극의 종착지는 그 공간과 시간을 점유하고 살아가는 ‘사람’을 바라보고 있다. 비가시적인 시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가 즐겨 사용하는 미술적 도구들도 인간의 흔적을 머금은 것들이다. 한강물에는 한강을 끼고 세대를 이어가며 살아왔던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역사, 그들의 이야기가 녹아있다. 수석이나 눈 캐스팅 작업으로 자연을 소유하고 흐르는 시간마저 멈춰보려는 인간의 욕망을 표현하려 한다. 한강의 기적으로 상징되는 한강물은 물질에 대한 욕망으로 형상화되어 얼음과 사진으로 박제된다. 그러나 작품 속 얼려진 물이 녹아내리듯 인간의 욕망도 유한한 시간 앞에 사그라든다. 내가 인식하는 인간은 욕망 지향적이며 허무적이다. 그러나 나의 작품이 단지 허무주의로 내사되지 않길 바란다. 내가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다가갔을 때 그들이 존재의 근원을 스스로 자각하며, 말초적인 욕망이나 허무주의를 직시하고 한 걸음 물러서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또 다른 열망을 불태우기를 희망한다.

    전시제목이창훈: 유빙

    전시기간2025.02.06(목) - 2025.02.28(금)

    참여작가 이창훈

    관람시간10:00am - 06:00pm

    휴관일월, 공휴일 휴관

    장르사진, 조각, 영상, 사운드

    관람료무료

    장소아트사이드 갤러리 GALLERY ARTSIDE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6길 15 (통의동, 갤러리 아트싸이드) 아트사이드 템포러리)

    연락처02-725-1020

  • Artists in This Show

아트사이드 갤러리(GALLERY ARTSIDE)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이창훈: 유빙

    아트사이드 갤러리

    2025.02.06 ~ 2025.02.28

  • 작품 썸네일

    권소진: 벌새를 보았다

    아트사이드 갤러리

    2025.02.06 ~ 2025.02.28

  • 작품 썸네일

    송명진: Shall we dance

    아트사이드 갤러리

    2024.11.28 ~ 2024.12.28

  • 작품 썸네일

    황도유: 서른세송이

    아트사이드 갤러리

    2024.11.28 ~ 2024.12.28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무기세(武器世)

    서울대학교미술관

    2025.02.06 ~ 2025.04.04

  • 작품 썸네일

    이유진: Positive Sinking

    우손갤러리

    2025.02.13 ~ 2025.04.05

  • 작품 썸네일

    함성주: 폴리셔 Polisher

    라흰갤러리

    2025.02.13 ~ 2025.04.05

  • 작품 썸네일

    김재용: 런 도넛 런

    갤러리 학고재

    2025.02.26 ~ 2025.04.05

  • 작품 썸네일

    빛나는 여백: 한국 근현대 여성 미술가들

    이응노미술관

    2025.01.17 ~ 2025.04.06

  • 작품 썸네일

    유현경: 나는 피안으로 간다

    갤러리 JJ

    2025.02.28 ~ 2025.04.11

  • 작품 썸네일

    유봉상: 그린란드 Greenland

    갤러리 분도

    2025.03.10 ~ 2025.04.11

  • 작품 썸네일

    홍일화: 가야의 숲

    갤러리 마리

    2025.03.07 ~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