꼴라주-이응노의 파리 실험실
2025.09.12 ▶ 2025.11.23
2025.09.12 ▶ 2025.11.23
전시 포스터
■ 기획의도
이응노는 1962년 5월 폴 파케티 화랑에서 열렸던 파리 첫 개인전에서 꼴라주 연작을 주요작으로 선보였다. 그는 파리에 정착한 초기에 신문과 잡지를 오려 붙이고 색을 칠하는 방식의 종이 꼴라주 작업에 몰두했다. 15점의 꼴라주 작품을 선보인 파리 첫 개인전 제목은 <응노 리, 꼴라주 Ung-No Lee, Collages>였다. 개인전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꼴라주는 이응노의 초기 파리 시절을 대표하는 작품이자 작가의 현대성과 실험성을 보여준 중요한 예술적 성취였다.
피카소와 브라크는 입체파 작품에서 처음 꼴라주를 시도했고 이를 통해 평면 위에 깊이감을 표현하려 했다. 이외에도 현실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거나 파편화된 현대사회의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 또는 예술의 탈권위화를 위해 꼴라주 기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응노 역시 이런 전통에 일부 기대고 있지만 이보다는 순수한 시각적 효과를 위해 재료의 질감과 색채에 더 주목했다는 점에서 기존 경향과 차별화된 꼴라주를 시도했다.
1960~62년 꼴라주는 종이를 밀집시키듯 오려 붙여 밀집된 화면을 구성했고 신문과 잡지의 컬러 인쇄면을 찢어 붙이거나 한지를 붙여 먹을 입히기도 했다. 마치 프랑스 앵포르멜 회화의 두껍게 올린 캔버스 표면, 즉 ‘오트 파트(hautes pâtes)’와 유사한 실험을 진행하면서 순수 추상의 세계를 보여주었다. 이응노는 서구 조형언어를 구사하는 동시에 자기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추상을 창작하게 되는데 지필묵과 같은 한국적 재료를 사용해 새로운 표현을 추구했다. 한지만이 가능한 농담 표현과 수묵의 느낌을 덧입혀 서양적 기법에 한국적 감성을 더했다. 1963년 이후에는 문자의 형상이 꼴라주 양식과 합쳐지며 작품의 주제가 문자추상으로 서서히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전시는 이응노의 추상 창작의 모태가 되었던 꼴라주 작품을 조명하기 위해 1960년대 초 꼴라주 작품을 중심으로 삼고 70년대까지 폭넓게 실험의 궤적을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앵포르멜, 추상표현주의, 서정적 추상, 쉬포르-쉬르파스 등 20세기 중반 파리와 뉴욕의 추상미술 흐름 속에서 이응노의 예술은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을까? 꼴라주 연작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 전시 구성
2~3전시장 : 질감의 탐색(1960년대)
1960년 파리에 정착한 이응노는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신문과 잡지를 색깔별로 오린 후 물감처럼 활용하며 창작 작업을 이어갔다. 색지를 캔버스 평면에 붙여 색채 효과를 만들고, 수묵이나 채색을 더해 표현의 깊이를 더했다. 종이를 구기거나 찢는 기법을 통해 거친 질감을 창출하기도 했다. 1960~62년의 작품은 문자 추상이 본격화되기 전 작가가 몰두했던 순수 추상의 면모를 보여준다. 강조된 종이의 질감 위에 다양한 색채 기법이 결합되어 나무껍질 같은 표면, 자개장 같은 빛 효과, 종이 간의 깊이와 음영 등 풍부한 시각적 표현이 거의 부조와 같은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재료 실험은 전후 파리에서 전개된 앵포르멜 회화가 진흙, 모래, 시멘트 등 새로운 재료로 회화적 질감을 시도한 전례없는 방식과도 맞닿아 있다. 밀집되고 구겨진 종이가 어우러지며 우연히 나타나는 이미지‧리듬감 등 순수 시촉각적 표현이 60년대 꼴라주의 특징을 이룬다
4전시장: 재료의 확장 (1970년대)
1970년대 이후 이응노의 꼴라주는 재료의 다양화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이전까지 주로 종이를 활용한 작업에 집중했던 작가는 이 시기부터 솜뭉치, 직물 등 물성이 강한 재료들을 활용해 평면 회화의 전통적 범주에서 더 벗어나게 된다. 이응노는 단순히 색을 칠해 구성하는 그림이 아니라 이질적인 재료를 붙여 그림을 새롭게 정의하려 했다. 확실히 솜과 직물은 표면에 조각을 하는 것처럼 그림의 부조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동시에 단단한 부조가 아닌 부드럽고 몽환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이런 독창적 방식은 전통적 회화 방식에 도전한 1960~1970년대 파리의 ‘쉬포르/쉬르파스(Support/Surface)’ 같은 전위 예술과도 비교해 볼 수 있다. 이들은 직물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를 입체적, 실험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단순히 붓질로 완성하는 그림 대신 수공예적 기법을 도입해 회화의 범주를 넓히는 급진적 실험을 진행했다. 솜과 직물을 매개로 한 이응노의 새로운 조형적 시도는 동시대 파리 미술계의 흐름과 맞물려 해석해 볼 수 있다.
전시제목꼴라주-이응노의 파리 실험실
전시기간2025.09.12(금) - 2025.11.23(일)
참여작가 이응노, 끌로드 비알라, 장-피에르 팡스망, 시몬 한타이
관람시간- 03월 ~ 10월 : 10:00 ~ 19:00
- 11월 ~ 02월 : 10:00 ~ 18:00
- 입장시간 : 관람시간 종료 30분전까지
휴관일매주 월요일 휴관 (다만,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날 휴관)
장르회화
관람료어른 1000원
어린이, 청소년(7~24세) 600원
<무료조건>
- 노인(65세 이상) 및 유아(6세 이하)
- 장애인(1급~3급) 및 보호자
- 고엽제휴유의증 환자증 소지자
- 유공자(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5.18민주 유공자, 참전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및 유종증 소지자
- 명예시민증 소시자(배우자포함)
- 선거 투표 참여자(투표확인증)
- 다자녀 우대 ‘꿈나무 사랑카드’소지자 전원
- 이응노미술관 개인, 법인 멤버십
장소이응노미술관 UngnoLee Museum (대전 서구 둔산대로 135 (만년동, 대전예술의전당) 이응노미술관 2~4전시장)
연락처042-611-9800
1904년 충남 홍성 출생
Dancing with Index
신한갤러리
2025.07.23 ~ 2025.09.03
Sauvage
더 소소
2025.08.22 ~ 2025.09.06
Don't be Hasty(서두르지 마시오)
페리지갤러리
2025.08.08 ~ 2025.09.06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수채: 물을 그리다》
국립현대미술관
2025.03.21 ~ 2025.09.07
남도 한국화 명품전 ≪마음, 예술가의 혼을 담은 한국화≫
광주시립미술관
2025.05.13 ~ 2025.09.07
제2회 아마도작가상 강동주 개인전 《Cast》
아마도예술공간
2025.08.08 ~ 2025.09.07
시오타 치하루: Return to Earth
가나아트센터
2025.07.25 ~ 2025.09.07
이쥬: 위대한 유산_바비야르의 꽃
제주현대미술관
2025.07.08 ~ 2025.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