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된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

2010.09.30 ▶ 2010.10.17

브레인 팩토리

서울 종로구 통의동 1-6

Map

초대일시ㅣ 2010-10-07 18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김지은

    Developer's House Tyvek, wood, contact paper, spray paint, marker,, 382(w)x270(h)x328(d)cm, 2010

  • 작품 썸네일

    김지은

    계획된 진부화 2010

  • 작품 썸네일

    김지은

    Developer_s House Tyvek, wood, contact paper, spray paint, marker, 382(w)x270(h)x328(d)cm, 2010

  • 작품 썸네일

    김지은

    Porta-Potty contact paper, masking tape, graphic tape, 196x123cm, 2010

  • 작품 썸네일

    김지은

    Dumpster real estate magazine, contact paper, masking tape, graphic tape, 210x427cm, 2010

  • 작품 썸네일

    김지은

    Dumpster real estate magazine contact paper masking tape graphic tape, 210×427cm, 2010

  • Press Release

    김지은의 작품은 집약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녀만큼 자신이 살아왔거나, 잠시 방문하였던 주변 환경의 시스템을 흡수하고 관찰과 분석을 통해 작품에 이를 논리적인 감각으로 반영하는 작가도 드물 것이다. 그녀는 미술 작가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도시 계획 비평가의 계산적인 예리한 눈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 비교 연구가, 혹은 사회학자가 상상하듯이 자신이 방문하는 곳의 환경을 바라본다.

    브레인 팩토리 전시장 양쪽 벽과, 뒤쪽 끝의 공간에 마치 집을 짓다 만 공사 현장과 같이 보이는 설치물이 그 깊이성과 크기로 관객의 관심을 끈다. “계획된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라고 불리는 이 설치 작품은 미국 도시 근교 서버비아(Suburbia) 집들의 공사 현장과 닮았다. 이 공사 모형 내부의 공간은 눈속임(trompe-l’oeil) 프린트를 이용한 콜라주 기법으로 주택 건설의 뼈대 구조를 재현하고 있다. 경사진 지붕,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천장을 지탱하는 버팀목들을 묘사하고 있는 콜라주는 마치 피에로 델라 프라체스카(Piero della Francesca), 우첼로(Paolo Uccello), 만테냐(Andrea Mantegna)와 같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작가들이 도입했던 원근법의 실습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이 설치물의 바깥쪽에는 “타이벡(Tyvek)”이란 영문 글자가 찍힌 이미지의 두드러진 사용이 돋보이는데, 이는 미국 건물 건축 시 외벽 포장(housewrap)으로 흔히 사용되는 “타이벡(Tyvek)” 트레이드 마크로서, 공사 진행중임을 예시하고 있다. 게다가 전시장 양 측면 벽에는 검정색 덤스터(dumpster)와 파란색 이동식 화장실의 이미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진부한 주택 건축 공사 진행을 강조한다.

    김지은은 왜 이런 미국의 주택 공사 현장을 서울의 갤러리 한복판에 재현하고 있는 것일까? 얼핏 보기에 건축 공사에서 만들고 조립하는 그 자체의 현상이 작가에게 흥미롭게 다가와 원근법을 이용한 가상적 공간 재현이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꼴라주 자체가 재미로 느껴져서 만든 게 아닐까란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이는 작가가 미국에 살면서 직접 관찰한 특정한 현상을 설치를 통해 시각화한 일련의 크리틱임을 알게 된다.

    전시 제목이 제시하듯이 “계획된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는 미국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꾸준히 확산되어 현재 보편적으로 주택 건축과 관련하여 볼 수 있는 근교화(suburbanization)와 탈 도시화(de-urbanization) 현상의 원인과 결과물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되는 반복적이고 규격화된 상품처럼, 주택도 소비자들의 편의를 위해 간단하게 이미 만들어진 부품들로 쉽게 조림할 수 있도록 기능이 바뀌었으며, 때로는 이런 부품들이 한 공장 안에서 다 만들어 지기도 하였다.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타이벡(Tyvek) 재료의 이미지는 이러한 현상을 대변하는 소모품의 겉모습의 상징물로서 표현된 것이다.

    1946년에서 1951년 사이 윌리암 레빗(William Levitt)과 알프레도 레빗(Alfred Levitt)이란 부동산 업자들은 값싼 주택이 필요했던 2차 세계 대전에서 돌아온 참전 용사들을 위해 조립식 가옥을 개발했다. “진부한 주택의 전조”라고 함부로 이야기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뉴욕 롱아일랜드에 처음 지어진 이 동네는 레비타운(Levittown)이라고 불리었고, 이러한 간단한 “어셈블리 라인(assembly-line)”의 방식으로 지어진 전후(post-war) 주택들은 1950년대 미국 전역 서버비아 주택으로 확산되기 이전의 선례가 되고 있다. 당시 경제적 실용성의 필요성에 의해 생겨난 이러한 주택은 하지만, 30년 이상 버티지 않도록 만들어졌다. 이 같은 현상은 한마디로 한번 쓰고 버리는 진부화를 예견하는 소비성의 원칙에 근거를 둔 것이며, 질적으로나, 미학적인 다양성에 있어서 영구성을 바탕으로 짓던 과거의 주택 건축과는 상당히 다른 것이다.

    게다가, 법규가 덜 엄격한 빈 공간을 찾아 부동산 업자들에 의해 계발되는 서버비아의 확산은 개인 주택의 꿈을 좇아 더 넓고 깨끗한 외곽을 향해 도시를 떠나는 탈 도시화의 현상을 초래했다. 가장 극단적인 예는 미국 자동차 산업의 탄생지인 디트로이트(Detroit)로 웬만한 사람들은 다 떠나버리고, 차와 집을 살 수 없는 가난한 흑인들만이 도시에 남게 되었다. 디트로이트를 비롯한 미국의 몇몇 도시들은 빠른 속도로 마약, 폭력, 범죄로 파멸되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누구도 살기 원하지 않는 위험한 장소들로 변하게 되었다. 작가는 실제로 디트로이트 주변 지역에서 2007년에서 2009년까지 살았으며, 그녀의 작품은 이러한 비참한 현상의 계속되는 영향력을 입증하는 것이다.

    경제의 효율성으로 시작된 조립식 가옥과 서버비아의 확장은 또한 최근 미국의 경제 침체의 발단에 역사적으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부동산 거품(Housing bubble)의 몰락과 더불어, 주택담보대출(mortgage)을 갚을 능력이 없는 개인들의 파산, 그 위험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권자와 신용을 가졌던 금융기관들의 줄 이은 파산은 최근 세계 경제 침체의 원인이 되었으며, 이는 1930년대 세계 대공황의 여파와도 맞먹는 것이다. 현재 세계 경제 침체가 어찌 보면 우리의 근본적인 소비심리, 싸고 손쉬운 효율성이 해결책이라는 근시안적인 태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김지은의 설치 작품, “계획된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는 관람자에게 원근법 콜라주가 보여주는 눈의 재미 이상의 의미를 전달한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발전”과 “효율성”이 수반하고 있는 문제점을 의식 할 수 있다. 이는 작가가 미국에 가기 이전에 관심을 가졌던 주제 – 법규에 의해 관리되고 규제되는 서울의 도시 건축 환경–와도 연계되는 것으로서, 작가가 경험한 다른 거주, 건축 문화의 비교를 통해 우리의 상황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The intent of Ji Eun Kim’s work conveys an absolutely singular intensity. She works as a visual artist whose critical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system of her environs – which she’s both lived and seen – resonate the sense of its own, internal logic in her art, as well as carries the sense of her own lived experience therein. In a way, she might also be said to look at those places she sees with the calculating eyes of an urban planner, but also as a comparative anthropologist or sociologist might imagine.

    An installation that looks like a construction site, situated amidst the process of building a house, currently occupies the entire rear corridor and the two sidewalls of the exhibition space of Brain Factory and is particularly alluring for its depth and dimensionality. This installation, entitled “Planned Obsolescence,” resembles a construction site for suburban homes in the United States. Inside the construction site, architectural skeletons of a future home are represented through collages of trompe-l’oeil prints. One instantiation, a collage depicting or resembling slanted roofs, staircases that lead up to another floor, a series of timber that supports the ceiling and more, contributes to the feeling of looking at the practice of perspective applied by Italian Renaissance artists, such as Piero della Francesca, Paolo Uccello, and Andrea Mantegna. On the exterior of Kim’s installation of the rear corridor, printed images of the repeated English letters “Tyvek” are prevalent, obviously in reference to the “Tyvek” trademark that is used as a “housewrap,” the mark of construction sites in-progress. Indeed, even beyond the primary site, structures like a black dumpster and a blue portable toilet appear alongside the sidewalls, which further emphasize the work-in-progress of the obsolescent home.
    But why would Kim represent a suburban home-construction site of the U.S. in the middle of an alternative exhibition space in Seoul, South Korea? At a first glance, you might think that the artist enjoyed recreating an illusory space, employing perspective technique as well as physically composing the collage out of materially heterogeneous mediums. However, once you look into the installation more closely, it is a sort of critique by way of visual representation of very specific phenomena that the artist directly observed while living in the U.S.

    As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uggests, “Planned Obsolescence” exemplifies the causes and the result of suburbanization and de-urbanization that has spread steadily throughout the U.S. and remained omnipresent in home-construction since World War II. Like the reproduced and standardized products consumed in capitalist society, house-building has become – indeed appeared as – another of convenience of consumerism, especially insofar as “homes” are sometimes built with entirely pre-fabricated elements produced in a single factory. The image of that polyethylene “Tyvek” material in Kim’s work symbolizes this exterior, entirely superficial layer of consumption that distinctively marks this phenomenon.

    Between 1946 and 1951, real estate developers William and Alfred Levitt began developing pre-fabricated homes for veterans returning from World War II who desperately needed inexpensive housing. A town comprised of such “pre-obsolescent homes” – if I may say – was first built on Long Island, New York, and called “Levittown.” This simple, even “assembly-line” construction of post-war homes proceeded to expand throughout the burgeoning suburbia of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fifties. These houses’ mode of production developed due to the economic pragmatism prevalent in the times and these homes were not to meant to last more than thirty years. Such principles were and continue to be based on a form of consumerism that anticipates obsolescence, but which vastly differed from home-construction in the past, something which sought permanence in quality and aesthetic variety.

    Furthermore, the geographical expansion of suburbia by realtors, who sought empty plots where building regulations were less strict, also contributed to de-urbanization insofar as people left the cities for dreams of their own homes in more spacious, cleaner areas. The most extreme example is perhaps the birthplace of the automobile industry, Detroit, where only poor African-Americans who couldn’t afford a car and house were forced to remain in the city while everyone else left. In this fashion, Detroit and several other prominent U.S. cities quickly became blighted by drugs, violence and crime, and thus became some of the most undesirable and most dangerous places to live. Kim even lived in Detroit area between 2007 and 2009, and her work testifies to the continuing effects of this abhorrent phenomenon.

    Pre-fabricated homes inspired by fiscal efficacy and suburban expansion can historically be thought of as contributing to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in the U.S. Along with the implosion of the housing bubble, bankruptcy for those individuals who couldn’t afford to pay their mortgage, and the bankruptcy of formerly credible financial institutions and creditors contributed to a worldwide recession, the likes of which have not been seen since the Great Depression. In some ways, it would not be much of a stretch to say that the current economic collapse stems from the myopic attitudes of this fundamentally consumerist psychology, seeking the most convenient, cheapest and efficacious as the best solution.

    Kim’s installation work, “Planned Obsolescence” delivers something beyond the pleasure of seeing the trompe l’oeil collage in the perspective of the viewer. Through this work, we are forced to think about the problems entailed in the notions of “development” and “efficiency.” Her current work continues to build upon her previous interests in subjects broached before she went to the U.S. – such as the urban planning environment of Seoul that is managed and controlled by regulations – and provides even the casual visitor with an opportunity to reflect upon our own situation via the comparative cultures of dwelling and architectures which the artist has represented from her direct experience thereof.

    Hyewon Yi (Curator, Amelie A. Wallace Gallery, NY)

    이혜원 (뉴욕 Amelie A. Wallace Gallery 큐레이터)

    전시제목계획된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

    전시기간2010.09.30(목) - 2010.10.17(일)

    참여작가 김지은

    초대일시2010-10-07 18pm

    관람시간11:00am~18:00pm

    휴관일월요일

    장르설치

    관람료무료

    장소브레인 팩토리 Brain Factory (서울 종로구 통의동 1-6 )

    연락처02-725-9520

  • Artists in This Show

브레인 팩토리(Brain Factory )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이우창 - 품 (Breast)

    브레인 팩토리

    2012.05.03 ~ 2012.05.20

  • 작품 썸네일

    Eisenstein Montage - Film and Cooking

    브레인 팩토리

    2011.09.01 ~ 2011.09.17

  • 작품 썸네일

    매뉴얼의 복수

    브레인 팩토리

    2011.04.21 ~ 2011.05.08

  • 작품 썸네일

    NOTIONAL FLAG 주세균展

    브레인 팩토리

    2011.03.17 ~ 2011.04.03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 작품 썸네일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 작품 썸네일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 작품 썸네일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 작품 썸네일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 작품 썸네일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 작품 썸네일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 작품 썸네일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