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Pause_Nak Beom KHO
2010.10.07 ▶ 2010.11.30
2010.10.07 ▶ 2010.11.30
고낙범
Landscape acrylic on wall, 2010
고낙범
뮤제퍼스널 벽면에 아크릴, 비디오영상, 2010
고낙범
뮤제퍼스널 혼합재료, 21x28cm, 1999
고낙범
초상화 미술관-그린 캔버스에 유화, 227.3x181.8cm, 1997
고낙범
초상화 미술관-청 캔버스에 유화, 193x130cm, 2001
고낙범
초상화 미술관-전시전경 캔버스에 유화, 2010
고낙범
리메이크-호카이도의 호카이도 캔버스 에 유화, 비디오 영상, 오브제, 2002
고낙범
레이디 피쉬 C-프린트, 190x125cm, 2000
고낙범
모닝 클로리 캔버스에 유화, 181.5x181.5cm, 2010
고낙범
견고한 흐름2 캔버스에 유화, 181.5x181.5cm, 2007
고낙범
모나드 캔버스에 유화, 193x193cm, 2005
고낙범
셀 수 있는&셀 수 없는 캔버스에 유화, 181.5x181.5cm, 2007
고낙범의 회화는 색채color에 대한 작가의 심리적이고 문화적인 시각 및 개념과 기억 등이 회화 표면위에 멈춘pause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낙범 회화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색띠color stripe작업과 이를 바탕으로 한 「초상화 미술관 Portrait Museum」시리즈 등의 '뮤지엄 프로젝트'는 색채를 추출하고 특정 범위를 정하여 이를 회화 면에 정지시키는 일련의 작업들이다. 90년대 중반 이후 제작된 '뮤지엄 프로젝트'에서부터 2000년대 중반 이후 그려진 기하학적 추상작업, 그리고 공연과 영화를 회화적 이미지로 번안한 작품들에 이르기까지 고낙범의 회화들은 작가의 편집증적인 의식의 흐름과 작가의 사고가 전개되는 과정에 따라 일종의 네트워크를 이루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왔다. 특히 그의 회화는 색채와 형태라는 회화 자체의 자기 참조성과 자율성을 강하게 드러내면서도 개념과 언어를 개입시키고 번역과 해체를 회화 내부에서 감행하는 개념회화의 면모를 보여왔다. 이는 유동적인 흐름과 무한한 확장을 사선의 감각으로 의미화한 「견고한 흐름 Solid Flow」, 「셀 수 있는&셀 수 없는 Countable&Countless」 등의 작업들이 모호함, 복잡계, 주름, 멜랑콜리아 등 최근의 지적 논의들에 접합한다는 점에서도 드러난다. 『Color Pause_Nak Beom KHO』전은 1990년대 중반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50여점의 회화를 통해 고낙범 회화의 진화과정뿐 아니라 색채의 언어적 속성, 지적인 사유작용과 풍부한 색채 감각이 공존하는 개념회화로서의 고낙범 회화의 성격을 재조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번역과 재구성으로서의 회화 고낙범의 회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번역translation과 재구성을 기반으로 한 개념적 작업이다. 이는 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까지 진행된 일련의 '뮤지엄 프로젝트'들-「뮤지엄 Museum」, 「뮤제 퍼스널 MUSEe Personnel」, 「초상화 미술관」시리즈-과 2000년대 초 중반에 진행된 영화, 공연의 회화적 번안 작업에서 읽혀진다. 80년대 말 소그룹 '뮤지엄'의 활동과 90년대 전반 국립현대미술관에서의 6년간의 큐레이터의 경력을 암시하는 고낙범의 초기 '뮤지엄 프로젝트'에서는 명화의 선택, 분석, 번역, 재구성이라는 일종의 해석과 번안의 프로세스들이 개입되어 있다. 뮤지엄의 어원으로서의 뮤즈(Muse)를 개념적 기조로 한 「MUSEe Personnel」은 나란히 배열된 두개의 작품 사이의 유비적 관계에서 그 의미가 생성된다. 왼쪽에는 복제된 명화의 전체 혹은 부분의 이미지가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명화 내 색채의 요소들을 작가가 눈으로 스캐닝 하듯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여러 색들로 환원시킨 수평의 색띠들이 배열된다. 직관적인 색채 감각으로 빠르게 선택되고 치환된 명화의 색가(色價)들은 일종의 추상화된 색채 정보들인 셈이다. 시간과 역사를 관통하는 미술사의 이미지들이 수평의 띠로 재배열되면서 수직의 시간 축이 순간 멈춘다. 즉 수직적이고 연대기적인 통시적 축이 수평적이고 공시적인 수평적 축으로 바뀌면서 작품들은 무시간성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수백 점의 색띠로 전치한 명화들은 어찌 보면 작가의 논리와 언어적 개념에 기반 하여 미술사에 존재하는 유명한 작가의 작품들을 큐레이팅 한 가상의 미술관과도 같다.
명화를 번역, 재구성하는 고낙범 회화의 개념적 속성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까지 그려진 「초상화 미술관」 시리즈로 이어진다. 이번에 전시된 일곱 점의 대형 남성 인물 초상화를 뒤덮고 있는 색은 카라밧지오의 「병든 바쿠스」에서 추출한 녹색조의 색띠에 의존한 것이다. 대형 인물초상화를 단색조로 지배하는 각기 다른 녹색의 스펙트럼은 모델에 대해 가지는 작가의 기억과 감정선의 차이에 근거한다. 모델의 정보과 지식이 색으로 대체된 고낙범의 초상화에서 색채는 기억과 느낌에 닿게 하는 통로이자 모델을 지시하는 코드로서 인물의 정체성에 우선한다. 다시 말해 그의 인물초상화에서 중요한 것은 대상이기보다는 오히려 색채이다. 인물 초상화가 주체와 정체성의 문제, 사회적 메타포와 삶의 방식을 은유하는 표상의 장이라고 했을 때, 고낙범의 작업은 이러한 초상화의 범위에서 일탈한다. '색채를 언어화 시키는 것이 내 작업'이라는 작가의 언급처럼, 그의 회화는 개인의 정체성을 무화시키고 대상을 색으로 코드화(언어화) 시키는 일종의 추상-초상인 것이다. 재현의 범주로 인식되는 초상화 내에 모더니즘 회화의 자기 참조성을 언급할 뿐 아니라 개념과 언어를 개입시킨다는 점에서 개념회화로서의 고낙범 회화의 특이성이 존재한다. 카라밧지오의 「병든 바쿠스」, 다비드의 「마라의 죽음」, 들라크루아의 「승리를 이끄는 자유의 여신」 등 남성 초상화의 색채가 원전으로 삼은 작품들은 전쟁, 죽음, 권력으로 대변되는 his-story를 은유한다. 수직의 위계를 강조하듯 고낙범의 남성 초상화는 거대하며 phallic하다. 이에 비해 여성 초상의 색채들은 명화들을 원전으로 삼는 대신 적, 청, 황, 백, 흑의 오방색을 근거로 그려졌으며, 수직적이기 보다는 타원형을 강조한다. 여성 초상에서 표상되는 오방색은 세계와 우주를 포용하는 여성성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드러낸다. 이질적인 타자성을 포용하고 차이를 수용하는 모성으로서의 여성성에 대한 관심은 여성 초상화의 실제 인물에 작가의 대모(大母)와 같은 여성들이 포함된 이유이기도 하다. 일련의 '뮤지엄 프로젝트'에 이어 번역과 재구성으로서의 회화는 2000년에서 2003년 사이 영화와 공연을 번안한 작업, 「레이디 피쉬 Lady Fish」, 「리메이크_ 호카이도의 호카이도 Remake_Hokkaido of the Hokkaido」, 「써클 Circle」 등에서도 유효하다. 「레이디 피쉬」는 2000년 작가가 직접 프로듀싱한 언더 그라운드 여가수 '레이디 피쉬'의 공연 '그로테스크 레볼루션'에 대한 시각적 대응물이며, 「리메이크_호카이도의 호카이도」는 호카이도를 무대로 한 두 편의 영화, 「러브레터」와 「철도원」의 주인공을 중심으로 하는 영화적 내러티브를 회화와 인스털레이션으로 재상연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러브레터」의 나카야마 미호에 비유된 여성 모델과 「철도원」의 다카쿠라 켄으로 분한 남성모델을 그린 회화작품을 배경으로 곡선테이블과 영상작품이 설치되는데, 이는 삿뽀로와 오타루간의 지형적, 심리적 거리를 의미화한다. 영화와 공연의 내러티브를 회화적 이미지로 번안한 이들 작품은 영상과 회화, 과거와 현재, 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들며 의미의 중층구조를 드러낸다.
복잡계의 표상으로서의 회화 수직 수평의 색띠 작업과 초상화 시리즈를 거쳐 2000년대 중반이후 현재까지 작가는 사선(斜線)의 감각과 시각성을 보여주는 기하학적 추상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질서와 조화, 이성적 논리를 강조하는 수직 수평의 세계가 상징계로 의미화 할 수 있고 인식 가능한 체계라면, 사선의 세계는 명확하게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모호한 의미의 차원들이다. 이는 감성적인 차원에서의 멜랑콜리아의 세계이며 복잡하게 얽혀있는 신체의 유기적인 상황이나 끝없이 생성하고 쇠퇴하는 에너지의 흐름과도 맞닿아 있는 복잡계이다. 중력이라는 단단한 그물망에 의해 견고하게 자리 잡은 수직 수평의 체계에 반해, 사선으로 향하는 복잡계는 중력에서 일탈한 어디로 향할지 모르는 무중력의 자유로운 상황을 공유한다.
이 시기 대표작들인 「견고한 흐름」, 「피부 Skin」, 「모나드 Monad」, 「셀 수 있는&셀 수 없는」 등이 모두 어딘가로 향하거나 떠다나는 부유성과 유동성, 복잡성과 무한한 확장감을 전달하는 것도 바로 사선에 대한 작가의 개념적 이해에 기반 한 것이다. 사선의 감각은 오각형과 원 등 기하학적 단위의 무한한 연결체로 시각화 된다. 이는 나팔꽃을 형상화 한 「모닝 글로리 Morning Glory」(2007)에서 출발하여, 「견고한 흐름」(2007), 「피부」(2009~2010)등으로 이어지는 사선과 오각형의 변형체와 중첩구조로 제시된다. 제목에서 연상되듯 신체 일부분이 수축하였다 이완하는 유기적 상황을 암시하는 「모닝 글로리」와 함께 「피부」는 무수한 생식세포와 유전자 서열, 그리고 생명의 에네르기 등 생명계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새로운 조합과 해체를 떠올린다. 유기적 생명의 에너지와 단자들의 무한한 중첩은 「모나드」와 「셀 수 있는&셀 수 없는」에서도 부상한다. 원형의 과일 이미지가 단색 톤으로 공중을 부여하듯 퍼져나가는 「모나드」, 사각의 캔버스에 대항이라도 하듯 원형의 색점들이 집중과 확산을 반복하며 우주와도 같은 무한한 공간으로 파생하는 「셀 수 있는&셀 수 없는」은 단자들의 계열화와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수직 수평의 체계를 거스르며 시작한 오각형과 원의 접합과 연결들은 복수성과 에네르기, 그리고 수많은 특이점들을 만들어낸다. 이는 어디에서 끊기 어려운 무한히 계속되는 중첩구조인 들뢰즈 식의 주름과도 닮아있으며, 또한 연속과 불연속의 계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접힘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고낙범 회화에서 기호화 될 수 있는 층위와 그렇지 못한 층위가 있다면, 전자는 명화를 색띠로 구성하거나 이를 다시 단색조의 초상화로 환원시킨 「뮤지엄 프로젝트」일 것이고, 후자는 바로 연쇄와 접합, 무한성과 복합체를 드러내는 「견고한 흐름」, 「스킨」, 「모나드」 일지도 모른다. 고낙범 회화의 묘미는 바로 논리와 비논리, 언어적인 것과 비언어적인 것, 사유와 감각이 충돌하고 공존하여 의미의 중층구조를 면밀하게 만들어냄으로써 우리의 인식체계를 조금씩 뒤흔드는데 있을 것이다.
- 배명지
1960년 서울출생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