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2003년 파리국립예술원 미술 전공
레지던시
2025 Amant, 시에나, 이탈리아
2021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서울
2020 금천예술공장, 서울
2018 가파도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현대카드, 가파도, 제주
2017 Delfina Foundation, 런던, 영국
2017 ZK/U, 베를린, 독일
2016 Real DMZ Project 양지리 레지던스, 아트선재, 철원군
2014 Le Cyclop, Milly-la-Foret, 프랑스
2012 난지미술창작 스튜디오, 서울
2011 클레이아크 레지던스, 김해
2007 쌈지스페이스 단기 작가, 서울
2006 National Sculpture Factory, 코크, 아일랜드
2005 씨테 데 자르, 파리, 프랑스
수상경력
2006년 Award MapXXL of Pépinières Européennes pour Jeunes Artistes 수상
개인전
2025 HALF MOON CLUB, 송은, 서울
2023 WATERS, 021 갤러리, 대구
2022 on my way, baby, CR Collective, 서울
2021 해삼, 망간 그리고 귀,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2020 유리 해변, 인스턴트 루프, 서울
2016 밤과 낮, 아트선재 오프사이트, 서울
2013 움직이지 않고 여행하기, 대림미술관 프로젝트 스페이스 구슬모아 당구장, 서울
2011 On the ground floor of Geology building, OCI 미술관, 서울
2008 Zero Construction, 사루비아 다방, 서울
2007 A different kind of tension, 금호미술관, 서울
2006 Innerscape, Gallery Misschina Beauty, 파리, 프랑스
단체전
2025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25 The Garden of Forking Paths, 가나아트 한남, 서울
2024 Ghost Dancer, Art Pavilion,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2024 현장속으로: 기억과 사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24 제 8회 창원조각비엔날레: 큰 사과가 소리없이, 성산아트홀, 문신미술관, 창원
2024 매끄러운 세계와 골칫거리들, 트라이보울, 인천
2024 경계없이 낯설게: 서울조각상, 열린공간 송현, 서울
2024 ZIP, 아르코미술관, 서울
2024 영월기행, 문화공간 진달래장, 영월
2024 더 세컨드 충녀, 스페이스 소다
2024 Unboxing Project: Maquette, 뉴스프링프로젝트 갤러리, 서울 / VSF Gallery,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4 Case Study#1: INSIDE THE HOUSE,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2023 서울의 찬가, 보안여관, 서울
2023 생생화화: 아슬아슬아슬, 부천아트벙커 B39, 부천
2023 약장수와 약속의 땅, 보안1942, 서울
2023 멜팅 존, 텍사, 서울
2023 이것, 또한 지도, 미디어시티서울 비엔날레, 서울
2023 DMZ 전시: 체크포인트, 도라전망대, 파주 / 연천갤러리, 연천
2023 Waterway, 건축도자 프로젝트, 김해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
2023 투명성: 감각과 마음, 금호미술관, 서울
2023 베를린에서 서울로: 지평선 너머, 초이 앤 초이 갤러리, 서울
2023 Project A,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서울
2022 Metal Fluid, 박태준 기념관, 부산
2022 APMAP: review,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서울
2022 풍경을, 풍경으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22 블루플래닛-바다, 보안1942, 서울
2022 합류지점, 오두산 통일전망대, 파주
2021 대지의 시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1 Margins of Error, Nirox Foundation, 남아프리카 공화국
2021 보더리스 사이트, 정림문화재단 기획, 문화역 284, 서울
2021 아티스트 테이크오버,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20 우리들의 귀향, 주홍콩한국문화원, 홍콩
2020 Summer Exhibition, Royal Academy of Arts, 런던, 영국
2020 두개의 산, 범일운수종점 Tiger1, 서울
2020 Negotiating Borders, Fondation Fiminco, 로망빌, 프랑스
2020 CAMP2020, 캠프롱 옛 미군 주둔지, 원주
2019 Negotiating Borders, 주영 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2019 14회 국제 쿠리치바 비엔날레, 쿠리치바, 브라질
2019 Power Play, Delfina Foundation, 런던, 영국
2018 확장된 메뉴얼, 남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8 장르 알레고리-조각적, 토탈미술관, 서울
2018 기적의 안뜰, 두산갤러리, 서울
2018 Delfina in SongEun: Power Play,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8 Non Sense Music #2 - Borders, KunstQuartier Bethanien, 베를린, 독일
2018 the real DMZ, New Art Exchange, 노팅엄, 영국
2017 Triangulating Particulars, HilbertRaum, 베를린, 독일
2016 16회 송은미술대상,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6 Besiktas bahceve & cicek festvali, Ortaköy Yetimhanesi, 이스탄불, 터키
2016 건축도자-Earth: 클레이아크 미술관 개관 10주년전,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
2015 Re-Play: 4 platforms and 14 events,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5 Seoul, Vite, Vite, Tripostal, Lille 3000, 릴, 프랑스
2015 REAL DMZ PROJECT, 철원성당, 철원 & 아트 선재 센터, 서울
2015 공명하는 삼각형, 아라리오 미술관 동문모텔II, 제주
2015 Cristallisations - La naissance d'un ordre caché, La Grande Place, Musée du Cristal, 생루이레비슈, 프랑스
2015 육감, OCI 미술관, 서울
2014 How to survive in the forest, Le Cyclop, 밀리라포레, 프랑스
2014 APMAP Between Waves,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오설록 서광 다원, 제주
2013 Vertical Horizons, 그랑벨 호텔, 도쿄, 일본
2013 Round Project, 갤러리 팩토리, 서울
2012 갈라파고스, 일민미술관, 서울
2012 10 Young Creators, 대림미술관 프로젝트 스페이스, 구슬모아 당구장, 서울
2012 Sporadic Positioning,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2011 No.45 Kumho Young Artist, 금호미술관, 서울
2011 City net Asia,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1 Space Study, 플라토, 서울
2010 Dual Phase, 갤러리 스케이프, 서울
2010 Out of Line, 공간 해밀톤, 서울
2010 우리가 버려진 창고에서 발견한 것들, 갤러리 팩토리, 서울
2010 Unrealized Projects_미완성의 건축, 공간 해밀톤 / 갤러리27, 서울
2009 Turning Up #2, I M ART Gallery, 서울
2009 움직이는 미술관, 금호미술관, 서울
2008 Propose 7 (vol.3), 금호미술관, 서울
2007 Outside perspective, Crawford Municipal Gallery, 코크, 아일랜드
2006 Cosmogonies, La Galerie, Centre d’art contemporain de Noisy-le-sec, 누아지 르 세크, 프랑스
2006 Jeune création, Bellevilloise, 파리, 프랑스
2006 Waiting_workshop, Casino Luxembourg, 룩셈부르크
2004 Première vue, Passage de Retz, 파리, 프랑스
2003 Instant Background, Paris Project Room, 파리, 프랑스
추가정보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파리 국립고등예술원을 졸업한 정소영은 2006년부터 파리와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기존 인식의 공간의 전복을 시도하는 조형 설치 작업을 하는 정소영은 끊임없이 세워지고 무너지는 건물들, 해체되고 재조립되는 물건들과 그 안에, 자라나고 사라지는 수 많은 이야기들을 가지고 과거, 현재와 미래가 혼합된 새로운 가상공간의 세계를 연출한다. 그의 작업은 자연과 도시풍경 및 그 공간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관찰로부터 시작하여 우리의 일상에 미묘하면서도 드라마틱한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물리적 자연의 힘, 변이, 마찰, 결정화, 중력, 해체 등의 현상에 대한 심리적, 철학적 개념의 접근이다.
그는 과학, 지리, 건축, 시각 예술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공간 실험을 통하여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인공과 자연사이의 제 3의 풍경을 그려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