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성개인전

2013.06.05 ▶ 2013.06.10

인사아트센터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13년 06월 05일 수요일 05: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無 . 生 . 物 Oil on canvas, 145x90cm, 2013

  • 작품 썸네일

    김영성

    無 . 生 . 物 Oil on canvas, 194x97cm, 2011,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김영성

    無 . 生 . 物 Oil on canvas, 138x138cm, 2011,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김영성

    無 . 生 . 物 Oil on canvas, 126x126cm, 2012, 개인소장

  • Press Release

    작은 것들에 대한 헌사
    김영성의 근작 <無⋅生⋅物>

    1

    작가 김영성의 근작들에는 아주 작은 생명체들이 당당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는 큰 것들을 제치고 작은 것들, 보잘 것 없는 것들에 무한한 애정을 보낸다. 그는 이들을 자신의 침대 가까이에 두고 이들과 삶을 공유하고 있다. 먹이를 제때에 공급하는 건 물론 생존에 필요한 알맞은 환경을 배려한다. 크게 보아 2천 년대 중반부터다. 애초(2006~ )에는 뿔이 요란한 작은 곤충과 지내더니, 어느 사이엔가 물고기(2009~ )로 바꾸었다. 근자에는 달팽이와 개구리(2011~ )가 그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작품 명제는 이름 하여 <무⋅생⋅물>이다. ‘보잘 것 없다는 것’, ‘살아 있다는 것’, ‘생명 없는 물체’라는 걸 차례로 열거하여 명제로 한 것이다.

    그가 요즘 다루는 생명체는 확대경으로 보아야 실체를 확연히 알 수 있는 아주 작은 것들이다. 작은 티스푼 위에 정갈한 자세로 앉아 있는 달팽이는 제법 엄숙하다. 유리 물 컵 안에서 유영을 즐기는 반짝이는 비늘을 한 빨간색 관상어의 생김새는 찬연하고 보석 같다. 무늬가 요란한 황개구리와 청개구리는 의젓한 군자 같다. 그는 이것들의 길이를 10~50배, 면적을 100~2500배 크기로 확대해서 그렸다. 그림에서는 일상의 크기로 보이나, 알고 보면 작은 것들임을 실감할 수 있다.
    일찍이 작가는 큰 것들보다는 참을 수 없이 작은 것들에 연민을 가져왔다. 우아미를 자랑하는 나비류類 보다는 구조가 입체적이면서 아기자기하고 섬찟한 작은 것들에 주목했다. 그 이전, 1990년대의 탐색기에는 비교적 큰 것들을 그렸다. 뒤엉켜 으깨진 인체와 오브제의 파편들, 아니면 필드에서 운동중인 남녀 골퍼들을 그리다가, 이들에 대한 시선을 접고 2천 년대부터는 미소한 것들에 관심을 쏟고 있다.
    그의 근작들은 작은 것들에 바치는 ‘헌사’獻辭 dedication라 할 수 있다. 그의 「작업노트」가 이를 말해준다. 크게 두 가지 점에서다. 하나는 생명현상의 메타포로서 작은 것들의 특이한 구조적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 때문이다. 평소에는 미미한 존재였으나, 어느 순간 우리의 눈길을 끌면서 불현듯 시선을 사로잡는 아주 작은 것들이 종종 생명에 대한 외경畏敬을 촉발할 때 경이로움이 야기되는 걸 컨셉으로 도입하려는 데서다. 그가 작은 것들을 등장시키는 또 다른 이유는 현대문명의 물질화와 더불어 살아있는 생명체 보다는 기계와 같은 무생명한 것들, 요컨대 기능적인 것들을 과대평가하는 풍조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려는 데 있다. 이 또한 그의 근작 세계를 떠받치고 있는 근간이자 전제가 되고 있다.

    2
    이를 배경에 두고 제작한 작품들로 김영성은 야심찬 근작전을 펼친다. 그의 시선이 그래서 범상치 않다. 일견 범인의 눈으로서는 머나먼 대척지에서나 볼 수 있는 극적 상황을 연상시킨다.
    그가 그리는 세계는 작은 것들을 지고의 세계로 격상시켜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물질사회와 물화物化로 인한 참을 수 없이 가벼워진 인간 존재를 우회적으로 비판하려는 데 뜻이 있다. 그의 시각에서는, 오늘날 우리는 이처럼 작은 미물들마저 누리는 생명의 존엄성을 방기하는 우愚를 범한다. 이는 인간 스스로가 한낱 물物로서의 존재로 격하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겉으로는 당당한 것 같으나, 속내는 실체를 상실한 미소한 존재요, 없음無과 진배없는 존재라는 걸 스스로 자임하는 것과 다름없다.

    더 나아가 오늘의 인간은 자신의 미소한 존재를 지탱하기 위해, 미소한 생명체들이 물질의 틈새를 전전하며 살듯이, 물질에 의탁함으로써 존재이유를 찾는다. 그래서 미소해진 인간의 정황을 그리는 게 그의 소임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물질문명의 고도한 발달로 생이 위협받고, 많은 것들이 사라진 현대사회의 이면을 나는 그린다. 생生과 물物이 공존하는 걸 다루는 건 그 하나의 방법이다. 광고사진이나 연극을 연출하듯이, 작은 것들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있는 그대로 그려냄으로써 현대사회의 삭막함과 실존의 허무無를 그린다.(「근작 작업노트」에서 번안).

    그는 이 정황을 그리기 위해, 부드러운 실크, 유리 용기, 금속 수저, 톱니바퀴와 같은 강인한 물질들을 등장시켜 작은 생명체들의 지지체로 삼는다. 그가 다루는 지지체들은 실크처럼 반사가 적어 부드러운 것도 있지만 대부분 반사가 큰 것들이다. 빛의 투과와 굴절이 크고 강한 게 특징이다. 실크는 고급하고 부드러운 걸 좋아하는 현대인의 선호 일등 품목이다. 견고하고 투명한 유리와 금속은 현대인이 의존하고 있는 광범위한 물질성을 대변한다. 이것들이야 말로 현대 기능주의와 물질만능주의를 가능케 하는 근간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이것들을 티끌에 지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의 의지 처이자 은물恩物로 도입하고 묘사한다. 현대사회의 ‘물화의식’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다. 무엇보다 현대인의 물질만능주의를 정교하고도 치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다. 그는 자신의 작품 속에서 스텐레스 티스푼에 앉아있는 작은 달팽이가 편안한 안락을 누리는 걸 그림으로써, 현대인이 누리는 물질적 안락을 극적으로 연출한다. 이는 잠시 예약된 안락일 뿐이라는 걸 우화寓話로 보여주기 위해서다. 투과와 반사가 요란하고 빛의 굴절이 현란한 유리컵의 물속에서 행복을 누리는, 빨강과 노란 빛깔의 비늘을 한 찬란한 관상용 고기와 황금빛과 에메랄드 빛깔을 하고 톱니바퀴나 스푼에 의지하고 있는 개구리를 빌려서는 최후의 집행유예를 즐기는 현대인의 찰나의식을 우화로 보여준다. 상품화된 오브제를 보존하는 데는 흔히 실크를 사용하듯이, 실크를 빌려 요란한 형상을 하고 있는 뿔 달린 곤충을 감싼 건 애석하지만, 잠시 요람에서의 잠을 즐기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에둘러 보여주기 위함이다.

    그가 궁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이것이다. 이처럼 현대인은 아름답고 화려한 물질적 안락을 누리지만, 이는 우리의 불안한 현존재의 운명에 다름 아니라는 거다. 화려한 외관으로 치장하고 행복을 구가하지만,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생명마저 투자해야 하는 왜소한 인간 존재의 가벼움은 배가될 뿐이라는 걸 그의 근작들은 완곡히 보여준다. 그리고 현존재의 이러한 정황은 예약된 운명에 다름 아니라는 메시지를 근작들은 절절히 전달한다.
    그는 자신의 메시지를 분명히하기 위해 작은 것들과 끝임 없이 사투를 벌인다. 그들의 그늘진 부분까지 놓치지 않으려는 열정은 물론, 무생명한 물질들의 차갑고 섬광을 발하는 현란한 표면을 묘파하는 데 심혈을 쏟는다. 그는 이를 위해 매일 밤 수십 자루의 세필들과 싸워야 하고 작은 생명체들의 안위를 걱정해야 한다.
    그의 근작들은 그야 말로 작은 것들에 바치는 ‘헌사’가 아닐 수 없다. 그는 헌사를 빌려 굴절된 현대의 인간상에 대한 ‘비판’criticism의 날을 세운다. 작은 것들이 갖는 생명의 고귀함에 대한 무한한 공감을 표함과 동시에, 현대사회의 물질화에 대해서는 힐난의 시선을 번뜩인다. 그는 이 두 개의 가치들의 교점에다 자신의 작품세계를 우뚝 세운다.
    그의 근작들은 그럼으로써, 생명의 신비를 예찬하고 현대인의 탈생명적 물질의식을 우회적으로 비판한다. 그의 근작전이 갖고 있는 키워드가 이것이다.

    2013, 4.
    미술평론가 김복영⋅서울예대 석좌교수

    A Dedication to Small Things
    — The Latest Work of Young-Sung Kim


    Kim, Bok-Young | Art Critic
    1

    In the latest work of artist Young Sung Kim, very small living organisms emerge as confident characters. He devotes infinite affection to the small, worthless things. He keeps them near his bed and shares his life with them. He not only feeds them, and he also provides the right environment for their survival. It has been since the mid 2000s. At first (from 2006), he lived with small insects with big horns. At some point, he changed to fish (from 2009). In the recent years, snails and frogs (from 2011) are capturing his sight. The title for this series is . He just lists ‘worthless things’, ‘living things’, and ‘lifeless objects’.
    The living organisms he deals with these days are very small things that need a magnifying glass to be seen. The snail sitting on a small teaspoon is quite solemn. The red fish with splendid scales swimming in a glass of water is radiant and gem-like. The yellow frog and the green frog with exquisite patterns are like matured men of virtue. He expands them by 10-50 times in length and 100-2,500 times in size. They look like mundane things in his paintings, but they are actually very small.
    Since his earlier years, the artist has had compassion in helplessly small things. He has focused on smaller shocking things with 3D structures rather than the elegant butterflies. During his exploration period in the 1990s, he drew relatively large things. He drew human bodies entangled and mashed together and the fragrances of objects or a couple of golfers playing golf in the golf course. Then, he turned to smaller things from the 2000s.
    His latest series is a dedication to small things. His「Artist Note」 tells you this. This has two aspects. One is the metaphor of living phenomena attributed to his interest in the unique structural beauty of small things. His concept is the awe of very small things that are usually negligible, but capture your eyes all of a sudden at some point to evoke your respect for life. Another reason he works with small things is because he intends to criticize the social trend to overestimate lifeless things, such as machines with functions, over living things with the modern civilizations and materialization. This is the root and premise of his latest work.

    2
    With the artworks created on this background, Young Sung Kim presents his passionate exhibition. His perspective is extraordinary. He creates dramatic scenes that can only been seen in the antipodes far away with the eyes of ordinary people.
    He intends to bring the small things into the world of perception to indirectly criticize the existence of humans considered unbearably light due to the material society and materialization we live in. To his eyes, we make the mistake to overlook the value of life which is even enjoyed by these little things. By doing so, the humans themselves lower their value into the existence of mere objects. They might look confident on the outside, but they have actually lost substance inside. It is as though they admit the fact that they are just nothing.

    Furthermore, humans today depend on objects to look for the reason of existence, as the little organisms live in the gaps of materials to survive. Therefore, he believes that it is his mission to draw how small humans have become. The artist says:

    I draw the other aspect of the modern society where lives are threatened and many things have been disappeared due to the advanced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s. Handling the coexistence of objects representing Life (生) and Object (物) is one of the methods. As a piece of advertisement or a theatrical piece is directed, I analyze the phenomenon cold-heartedly and draw it as is to express the desolation of modern society and the nihilism(無) of modern people.
    ( Quoted from「the Latest Artist Note」)

    To draw this phenomenon, he brings in soft silk, glass containers, metal silverware, and strong things as toothed wheels to support the small living organisms. The support he uses is sometimes soft as silk with minimal reflection, but mostly highly reflective. The characteristics include big and strong penetration and refraction of light. Silk is the most preferred material of modern people who like something luxurious and soft. The durable and clear glass and metal represent the wide variety of materiality on which modern people depend. These build the foundation that makes the modern functionalism and materialism possible.
    The artist uses them to support and shelter the small organisms that are nothing but dust. This is to emphasize the 'material awareness' of the modern society. Above all, this is to analyze the materialism of modern people elaborately and delicately. By drawing a small snail sitting on a stainless steel teaspoon in comfort, he dramatically shows the material comfort that modern people enjoy. This is an allegory to show that this comfort is only reserved for a while. With the colorful fish with red and yellow scales swimming in the glass of water with the flashy penetration,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light and the frogs in golden or emerald color on a toothed wheel or a spoon, he allegorically shows the moment of humankind enjoying the final probation. As silk is used to preserve merchandised objects, he uses silk to wrap an insect with bizarre-shaped horns to circuitously show that it is just a short nap in the cradle.
    Here is his ultimate message: the modern people enjoy beautiful and colorful material comfort, but their existence is destined to be in anxiety. He firmly states with his latest work that no matter how colorfully humans ornament themselves for happiness, it only multiplies the lightness of their helpless beings that need to invest life just to preserve the ornaments. His latest work desperately delivers the message that this situation is a reserved fate.
    He constantly struggles with small things to clarify his message. He has the passion to capture even the shady parts of them and devotes himself to depict the cold and light-emitting surfaces of lifeless materials. In order to do this, he has to fight with tens of tiny brush and take care of the safety of small organisms every night.
    His latest work is the 'dedication' to small things. He uses the dedication to sharply criticize the refracted characters of modern society. He expresses endless sympathy in the value of life of small things, but becomes most bitter to criticize the materialization of modern society. He erects his world of art in the intersection of these two values.
    He praises the mysteries of life, He indirectly criticizes the Disregard of life and material awareness of modern people through his latest work. This is the keyword of his latest exhibition.

    April 2013

    전시제목김영성개인전

    전시기간2013.06.05(수) - 2013.06.10(월)

    참여작가 김영성

    초대일시2013년 06월 05일 수요일 05:00pm

    관람시간10:00am - 07:00pm

    휴관일없음

    장르회화와 조각

    관람료무료

    장소인사아트센터 INSA Art Center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 )

    연락처02-736-1020

  • Artists in This Show

인사아트센터(INSA Art Center)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가나문화재단 신소장품전 2020-2021

    인사아트센터

    2022.01.21 ~ 2022.02.20

  • 작품 썸네일

    이소명: Song of NATURE

    인사아트센터

    2021.11.03 ~ 2021.11.08

  • 작품 썸네일

    정유진: 숨소리 The Sound of breathing

    인사아트센터

    2021.09.29 ~ 2021.10.04

  • 작품 썸네일

    박대성: 靜觀自得: Insight

    인사아트센터

    2021.07.23 ~ 2021.08.23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 작품 썸네일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 작품 썸네일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 작품 썸네일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 작품 썸네일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 작품 썸네일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 작품 썸네일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 작품 썸네일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