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도쿄대학교 조각과 전공 학사
배재학당 조각 전공 기타
경력
대한미술협회 부위원장
1955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홍익대학교 교수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수상경력
1994년 제23회 조선미술전람회 창덕궁상
단체전
2021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7 신여성 도착하다 The Arrival of New Women,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서울
2014 대한민국 예술원 개원60년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서울
2011, 아름다운 만남: 기증작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추가정보
본관은 파평(坡平). 호는 불재(弗齋). 경기도 장단 출신. 서울배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7년에 동경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조각과에 입학, 목조(木彫)를 전공하고 1941년에 졸업하였다.
1940년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鮮展)]에 물동이를 인 여인상인 「아침」(목조)이 처음 입선한 이래, 1941년에 「P선생의 입상」과 「정류(靜流)」, 1942년에 「대지(大地)」 그리고 1944년에 활을 당기는 목조 여인상 「현명(弦鳴)」(특선)이 계속 입선하면서 주목을 끌었다. 광복 후에는 1948년에 홍익대학(弘益大學) 미술학부를 창설하고 교수가 되어 조각 학도들을 가르쳤다. 그리고 국전(國展) 추천 작가·초대 작가·심사 위원으로 풍부한 조형 역량을 발휘하고, 새로운 형상의 작품을 시도하였다.
6·25 동란 때인 1951년에 베니스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국제예술가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였다. 이 때 현대 이탈리아의 세계적 조각가들인 마리니(Marini,M.)·그레코(Greco,E.) 등과 접촉하고 돌아왔다. 그 뒤 특히 마리니의 영향을 반영한 역동적 형상의 「피리」(1954년)·「풍신(風神)」(1955년)·「야생(野生)」(1956년) 등을 국전에서 보여 주었다.
그의 작품은 1952년의 스위스 만국박람회와 1953년의 영국 국제조각대회에도 출품되었다. 1955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에 뽑히고, 1957년에는 한국미술연구소를 개설하여 전통적 청자(靑磁)·백자(白磁)의 현대적 산업화에 열중하여 한때는 크게 성공하였으나 마침내는 실패하고 말았다. 그 타격에서 재기하려고 1966년에 일본에 건너갔으나, 오히려 병을 얻어 동경에서 죽었다.
예술적 야망의 실현과 좌절 속에 그는 사회적 기념 동상과 기념탑 작품도 많이 남겼다. 동상은 1956년의 「민충정공상(閔忠正公像)」·「김원근상(金元根像)」·「박현식상(朴顯植像)」·「엄익주상(嚴益柱像)」을 비롯하여 1960년의 「임영신상(任永信像)」, 1963년의 「최제우상(崔濟愚像)」 등이다. 기념탑은 1956년의 「해병대 충혼탑」(문산)과 「경기도 충혼탑」(수원), 1959년의 「우장춘(禹長春) 기념비」(수원), 1961년의 「육사(陸士) 약진탑」 등이다.
1957년에 서울 남산에 높이 세워졌던 「이승만(李承晩)대통령상」은 1960년 4·19 혁명 때에 파괴당하였다. 국전 출품작을 포함한 그간의 순수 작품들도 그 시대의 어려운 사정으로 대부분 석고로 만들어졌다가 작가가 파산 상태에 빠졌을 때에 깨져 없어져 버렸다. 대표적인 현존 작품은 초기의 「아침」과 「현명」(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등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08,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