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의 소금 (Salt of the Jungle) 展

2017.08.17 ▶ 2017.10.18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서울 중구 을지로5길 26 (수하동, 미래에셋 CENTER 1) 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서관 2층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17년 08월 16일 수요일 05: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응우옌 프엉 링

    눈먼 코끼리의 기억 2016, 1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4분 25초

  • 작품 썸네일

    조혜진

    구조들 2017, 종이에 에폭시 코팅, 가변크기

  • 작품 썸네일

    응우옌 프엉 링

    눈먼 코끼리의 기억 2016, 종이에 붉은 현무암 흙 드로잉

  • 작품 썸네일

    조혜진

    도시루 아카이브 연작 2016, 종이에 아크릴, 70 x 50cm

  • 작품 썸네일

    응우옌 프엉 링

    혈거인 2015, 한지와 모시, 마에 수묵담채,100 x 80.3cm

  • 작품 썸네일

    조혜진

    도시루 아카이브 연작 2016, 종이에 아크릴, 70 x 50cm

  • 작품 썸네일

    믹스라이스

    21세기 공장의 불빛 2016, 1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1분35초

  • 작품 썸네일

    믹스라이스

    21세기 공장의 불빛(만들어요) 2016, 1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4분 33초

  • 작품 썸네일

    임영주

    워터/미스트/파이어/오프 2017, 2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4분 30초

  • 작품 썸네일

    믹스라이스

    청어, 고사리, 거북이 2017, 종이에 드로잉, 38 X 56cm

  • 작품 썸네일

    더 프로펠러 그룹

    정지마찰: 고무 태우기 2012, 1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분 46초

  • 작품 썸네일

    김보민

    좁은 강 2017, 모시에 수묵담채, 테이프, 91 x 116.8cm

  • 작품 썸네일

    더 프로펠러 그룹

    정지마찰: 고무 태우기 2012, 1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분 46초

  • 작품 썸네일

    염지혜

    그들이 온다. 은밀하게, 빠르게 2016, 1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5분 15초

  • 작품 썸네일

    김보민

    규원가 2016, 한지와 모시, 마에 수묵담채, 금분, 테이프, 193.9 x 97cm

  • 작품 썸네일

    린+람

    내일 난 떠난다 2015, 1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8분30초

  • 작품 썸네일

    김보민

    The Gillette 2011, 삼베에 수묵담채, 66 x 41cm

  • 작품 썸네일

    이은새

    빠르게 환기 2014, 캔버스에 유채, 91 x 116.8cm

  • 작품 썸네일

    이은새

    낙서가 있던 벽 2014, 캔버스에 유채, 77 x 130.3cm

  • 작품 썸네일

    도 타잉 랑

    발라드 2016, 캔버스에 혼합 매체 (캔버스와 투명 비닐에 유채),110 x 220cm

  • 작품 썸네일

    도 타잉 랑

    스톡 2015, 캔버스에 혼합 매체, 95 x 140cm

  • 작품 썸네일

    응우옌 득 닷

    내일 너를 만나기로 한 것이면 좋겠어 2015, 캔버스에 유채, 150 x 120cm

  • 작품 썸네일

    응우옌 반 푹

    구애 2009, 캔버스에 유채, 80 x 100cm

  • 작품 썸네일

    응우옌 반 푹

    행복으로 가는 길 2008, 캔버스에 유채, 150 x 120cm

  • 작품 썸네일

    아트 레이버 콜렉티브

    자라이 이슬 해먹 카페 2015 - 현재, 혼합매체설치, 가변크기

  • Press Release

    한국과 베트남의 수교 25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이 전시는 양국의 젊은 예술가들이 지난 30여 년간 급변한 사회를 보는 시선을 더듬어 보는 자리이다. 여기에 초대된 베트남 작가들은 대부분 1986년 개혁개방(‘도이 머이Đổi mới’) 정책 이후 교육을 받고 사회활동을 시작한 이른바 ‘포스트 도이 머이’ 세대로 불린다. 비슷한 세대의 한국 작가들 역시 해외여행 자유화, 아시안-올림픽 게임, 민주화 운동 등을 직간접적으로 겪으면서, 그 이전과는 사뭇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는 세대론적 접근의 대상이 되곤 한다.

    전시 제목인 “정글의 소금”은 베트남의 소설가 응우옌 휘 티엡(Nguyễn Huy Thiệp)의 소설 제목에서 빌려온 것이다. 이는 정글에 30년마다 한번씩 핀다는 소금처럼 하얀 꽃의 별칭으로, 그 꽃을 보는 사람은 평화와 번영을 얻는다고 한다. 소설 속 노인은 수컷 원숭이를 사냥하려다 암컷이 슬퍼하며 총에 맞은 수컷을 따라오는 것을 보고 당황한다. 무더운 정글에서 짐승처럼 헐벗은 노인은 험한 말을 내뱉으며 사냥한 원숭이를 포기하는 순간, 이 꽃을 본다. 그것이 자연과 생명을 무참히 파괴해온 인간에게 뒤늦게 찾아온 뼈저린 깨달음인지, 아니면 여전히 파괴를 번영의 징조로 착각하는 인간의 짐승보다 못함을 인정하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바로 그런 양면성에 대한 직시가 이 소설을 도이 머이 이후의 현실을 가장 날카롭게 은유한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양면성에 대한 직시는 지난 30여 년간의 사회적 변화를 바라보는 양국의 젊은 예술가들의 시선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들은 한편으로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에서 자연, 신화, 전통, 소수민족, 기억, 정서 등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하지만, 다른 한편 이전 세대에 비해 타문화나 변화를 당연한 것으로 담담하게 받아들인다. 또한 역사와 사회에 대해 비판적 관심을 갖고 있지만, 이념과 사건을 비장하고 무겁게 제시하기보다는 도시화, 산업화, 이주 등으로 인해 나타난 일상의 변화를 솔직하고 경쾌하게 다룬다.
    이 예술가들은 집요한 리서치를 해도 그 결과를 풀어서 설명하기보다는 이미지 안에 함축하려 애쓴다. 응우옌 프엉 링은 중남부 베트남 지역의 고무나무 재식농업의 현재 모습을 영상에 담고, 흙으로 드로잉을 한다. 20세기 초 베트남에 들어온 고무 산업에는 베트남의 경제적 부흥뿐만 아니라 복잡한 현대사가 얽혀 있지만, 작가는 그것을 시적인 이미지로 만든다. 김보민은 ‘이야기를 가진 이미지’에 관심을 가져 지도나 도시의 설화, 변천사 등을 찾아다니지만, 그 이야기들을 차분하고 잔잔한 수묵담채로 그린다. 조혜진은 일명 ‘도시루’라고 불리는 플라스틱 종려나무 잎에 대한 편집증적 조사를 통해 평범한 사물에 얽힌 문화, 역사, 자본 등의 복잡한 층위를 찾아내지만, 다시 그것을 ‘조각적 형태’의 연쇄로 풀어낸다.

    다른 한편 단순한 장면을 영상의 힘으로 증폭시키는 작가들도 있다. 더 프로펠러 그룹은 베트남 사람들이 애용하는 오토바이의 타이어 자국을 표현수단으로 확장하고, 염지혜는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두려움이 커질 때의 감각을 몽타주를 이용해 더욱 과잉상태로 만든다. 린+람은 정착할 수 없는 사람이 매번 다른 장소에서 보낸 짧은 엽서에 베트남의 노래와 느리고 고요한 물의 이미지를 병치해서, 기다림과 절박함의 리듬을 만들어낸다. 임영주는 인터넷에서 수집한 영상을 편집해서 물, 불 같은 기본적인 물질을 기묘하고 영적인 이미지로 승화한다.

    젊은 회화 작가들의 그림은 밝고 경쾌하지만 ‘회화적인 것’에 대한 고민은 결코 가볍지 않다. 이은새는 특유의 솔직한 고민을 평범한 일상 속의 회화적 긴장감으로 표현하고, 도 타잉 랑응우옌 득 닷은 현실을 묘사하지 않는데도 화면에는 그들의 유연하고도 복잡한 정체성이 드러난다. 응우옌 반 푹은 현실을 정직하게 묘사하는 가운데 아주 미세한 희화화를 시도한다. 이들 회화작가들은 모두 주어진 사회적 무게에는 집착하지 않지만, 회화의 힘을 새로운 방향으로 작동하게 하려는 실험을 계속한다.

    아트 레이버 콜렉티브는 베트남의 경제부흥과 함께 도로변에 나타난 운전기사들을 위한 해먹 카페를 전시장으로 옮겨와 ‘자라이 이슬’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모든 존재가 윤회를 거듭하면 마침내 이슬이 된다고 믿는 자라이 민족의 설화를 통해 부유하는 사람들의 존재를 각인시킨다. 이들은 새로운 도시에서 전시할 때마다 그곳의 작가나 기획자들과의 협업을 해왔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의 영상 작가들을 작품으로 끌어들인다. 특히 이주의 경험을 감각으로 풀어온 믹스라이스는 이주 여성들이 춤추는 손동작을 영상에 담고, 공장 노동자의 반복 동작을 노래로 만들고, 청어를 엮는 춤/노동을 그린 신작 드로잉을 선보인다.

    그동안 베트남의 젊은 작가들은 개별적으로 한국에 소개된 적은 있지만, 그들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한 자리에서 보여주거나 한국 작가들과 교차지점을 드러내는 전시는 많지 않았다. 이번 전시가 한국과 베트남의 복잡하게 얽힌 역사에 대한 대화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KF, 안소현(객원큐레이터)


    1) 응우옌 프엉 링 Nguyen Phuong Linh
    하노이를 중심으로 활발한 작업활동을 하고 있는 응우옌 프엉 링(1985년생)은 중남부 베트남 지역의 고무나무 재식농업의 현재 모습을 영상에 담고, 붉은 현무암 흙으로 드로잉을 했다. 20세기 초 베트남에 들어온 고무 산업에는 베트남의 경제적 부흥뿐만 아니라 복잡한 현대사가 얽혀 있지만, 작가는 그것을 설명하려 하기보다 시적인 이미지로 풀어낸다. 작가는 어린 시절부터 베트남 최초의 실험예술을 위한 비영리 공간인 ‘냐산’의 예술가들을 보고 자라면서 많은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2011년 그 공간이 문을 닫은 후 젊은 예술가들과 함께 다시 ‘냐산 콜렉티브’를 꾸려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 김보민
    ‘이야기를 가진 이미지’에 관심을 갖는 김보민(1980년생)은 지도나 도시에 숨은 설화, 변천사 등을 찾아내어 화폭에 옮긴다. 작가는 그 이야기들을 한지, 마, 삼베 등의 재료에 전통적 수묵담채의 기법을 쓰되, 과감하게도 그 위에 전형적인 공업생산 제품인 라인 테이프로 선을 그린다. 이번에 전시된 작품들은 모두 여성의 삶과 관계된 것으로, 17세기 프랑스에서 여성성이 충만한 상상의 나라를 그린 <사랑의 지도>, 외할머니가 살았던 마을의 이야기, 작가가 살아온 지역의 여우굴 설화, 그리고 여성의 신체 이미지 등을 작가는 고유한 수묵-테이핑 기법으로 풀어낸다.

    3) 조혜진
    조혜진(1986년생)은 일명 ‘도시루’라고 불리는 플라스틱 종려나무 잎에 대한 집요한 조사를 통해 평범한 사물에 얽힌 문화, 역사, 자본 등의 복잡한 층위들을 드러낸다. 도시루는 당 종려를 가리키는 일본어를 우리식으로 발음하면서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짜 잎’을 가리키는 독특한 의미로 굳어진 것이다. 작가는 이 유용한 ‘가짜’가 관계된 특허출원 문서부터 존재론적 의미에 이르기까지 온갖 의미들을 헤집어본다. 그런데 조혜진은 거기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다시 도시루의 ‘조각적 형태’에 관심을 갖고 여러 조각들로 확장시켜 나간다. 조혜진은 사회적 연구결과를 다시 여러 감각적 형태들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예술가의 연구가 어떤 것인지를 보여준다.

    4) 더 프로펠러 그룹 The Propeller Group
    더 프로펠러 그룹은 푸남(Phunam), 뚜안 앤드류 응우옌(Tuan Andrew Nguyen), 맷 루체로(Matt Lucero)가 2006년 결성한 그룹으로 베트남의 호치민과 미국의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영상 속 인물은 베트남의 도시 한복판에서 쉼 없이 오토바이로 이동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번아웃’(달리는 오토바이를 강제로 정지시켜 바퀴를 태우는 것)을 보여준다. 베트남 인구의 85%는 주요 이동 수단으로 오토바이를 이용하는데, 그것은 주로 혼자 타는 개인 이동수단이면서 도시의 말초신경까지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공적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오토바이 번아웃은 이동하는 실용적 행위를 보여주는 공연의 행위로 바꾸어 놓는다. 작가들은 베트남의 일상을 대표하는 한 단면을 굉음과 빠르게 편집된 역동적 이미지를 통해 예술적 표현으로 변환한다.

    5) 염지혜
    주로 낯선 곳을 여행하면서 느낀 것을 묘한 나레이션, 섬세한 음악, 감각적인 영상 몽타주를 통해 표현해 온 염지혜(1982년생)는 이번 전시에서는 평범한 일상에 갑작스럽게 침투한 두려움을 소재로 한 작품을 보여준다. 작가는 질병, 루머 등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두려움이 극대화될 때의 감각을 영상을 통해 더욱 과잉상태로 만든다. 하지만 그것은 실제 사건에 대한 객관적 조사나 엄중한 경고라기보다는, 다채로운 음악과 여러 겹으로 중첩된 화면을 통한 언어화하기 힘든 이미지의 덩어리에 가깝다. 그래서 징그러운 입이 무서운 말들을 반복하고 화면 가득 연기가 퍼지는 상황에서도 영상의 분위기는 시종일관 경쾌함을 잃지 않는다.

    6) 린+람 Lin+Lam
    린+람은 뉴욕을 중심으로 독특한 영상 실험을 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라나 린(Lana Lin)과 역사와 사회에 대한 풍부하고 섬세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작업하는 란 타오 람(Lan Thao Lam)으로 구성된 작가 듀오이다. 이들의 작업은 전통과 역사에 대한 깊은 리서치로부터 시작되지만, 그 결과물은 정제된 정서와 함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일 난 떠난다>에서는 정착할 수 없었던 이가 매번 다른 도시에서 자매에게 보낸 짧은 엽서의 문장들에 고요한 물의 이미지와 베트남의 이별 노래를 병치해, 기다림과 절박함의 리듬을 만들어낸다.

    7) 임영주
    샤머니즘, 종교뿐만 아니라 합리성에 대한 맹신 등 온갖 종류의 믿음에 관심을 두고 그 허구성에서 인간의 욕망을 발견해온 임영주(1982년생)는 <워터/파이어/미스트/오프>에서는 불을 소재로 한 기존의 영상들을 발췌하여 이어붙이는 편집(파운드 푸티지)을 통해 단순하고 기본적인 물질을 기묘하고 영적인 이미지로 만든다. 기존의 작업이 미신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데 주목했다면, 이 작업에서는 평범한 장면들을 작가 스스로 강한 믿음의 대상으로 바꾸어 버린다. 작가는 인터넷 등에서 가져온 영상과 기묘한 나레이션을 통해 이미지의 감각적 교차의 힘을 보여준다. 이 영상은 최근 제14회 서울국제실험영화 페스티벌(2017)에서 코리안 엑시스 어워드(Korean EXiS Award)를 수상한 바 있다.

    8) 이은새
    이은새(1987년생)는 평범한 일상의 장면에 회화적 긴장감을 극대화해서 표현함으로써 특유의 솔직한 고민을 드러낸다. 화면 속에는 특별한 사건, 서사나 인과관계는 없지만 작가가 그냥 지나치지 못한 순간과 당시의 복잡한 심리가 지극히 회화적인 방식으로 강렬하게 드러나 있다. 이은새는 화려한 색과 낯선 구도를 탁월하게 사용하면서도 갑자기 만화를 연상시키는 단순한 선들을 끌어들여 전형적으로 회화적인 화면의 질서를 어지럽힌다.

    9) 도 타잉 랑 Do Thanh Lang
    호치민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도 타잉 랑(1986년생)의 페인팅에는 우연히 뇌리에 새겨진 기묘한 상황들, 에너지가 갑작스럽게 분출하는 순간들이 나타나 있다. 유쾌한 자극을 지향하는 작가는 액션 히어로 같은 인물이나 동물 등을 현실적 공간과는 거리가 먼 가볍고 독특한 방식으로 묘사한다. 작가의 경쾌함은 주로 사용하는 밝은 색감뿐만 아니라 화면의 재료로 즐겨 사용하는 비닐에서도 드러난다. 비닐 위에 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다시 비닐을 덮어 그리는 기법으로 인해 화면에는 깊이감 없는 층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타잉 랑은 응우옌 득 닷과 함께 사오 라 콜렉티브(Sao La Collective)의 일원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10) 응우옌 득 닷 Nguyen Duc Dat
    도 타잉 랑과 함께 호치민에서 사오 라 콜렉티브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응우옌 득 닷은 흥미로운 인물들의 감정을 묘사하기도 하고 어떤 장소에서 느낀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비현실적인 공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번 전시에는 분홍색과 검은색으로 뒤덮힌 정체를 알 수 없는 섬을 그린 그림과 화려한 색의 천과 반짝이로 인물을 장식한 작품을 출품했다.

    11) 응우옌 반 푹 Nguyen Van Phuc
    하노이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응우옌 반 푹은 현실을 비교적 정직하게 묘사하는 가운데에서도 미세한 희화화를 시도한다. 사회적으로 은연 중에 강요되는 남성의 이미지를 그려내지만 동시에 표정, 몸짓, 옷, 배경 등을 통해 그것을 희화화하는 상황을 연출한다. 작품에 계속 등장하는 전형적 인물인 깡마르고 거세된 듯한 남성은 비장한 표정으로 우스꽝스러운 자세를 취하거나 야릇한 복장을 하고 있다.

    12) 믹스라이스
    2002년 결성되어 2016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한 믹스라이스는 양철모(1977년생)와 조지은(1975년생)으로 구성된 듀오이다. 이들은 특히 이주의 경험을 감각으로 풀어내는 데 매진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믹스라이스는 이주 여성들이 춤추는 손동작을 영상에 담고, 공장 노동자의 반복 동작을 노래로 만들고, 청어를 엮는 춤/노동을 그린 신작 드로잉을 선보인다. 이 일련의 작품들은 모두 어떤 반복적인 노동의 동작들을 작품으로 풀어낸 것이다. 작가들은 2005년부터 ‘손’이라는 주제로 작업해 왔으며, 이들은 모두 믹스라이스 특유의 진득하고 성실한 성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다.

    13) 아트 레이버 Art Labor
    2012년 판 타오-응우옌(Phan Thao-Nguyen), 쯔옹 꽁 뚱(Truong Cong Tung), 아를레트 꾸잉-아잉 짠(Arlette Quynh-Anh Tran)이 호치민에 모여 결성한 콜렉티브인 아트 레이버는 멤버 각자의 창작 활동과 노동을 지속하면서도 수시로 다양한 협력을 시도한다. <자라이 이슬 해먹 카페>는 베트남의 경제부흥과 함께 지역 간 도로변에 등장한 운전기사들을 위한 해먹 카페를 전시장으로 옮겨와 ‘자라이 이슬’이라는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 이들은 모든 존재가 윤회를 거듭하면 마침내 이슬이 된다고 믿는 자라이 민족의 설화를 통해 부유하는 존재들을 환기시킨다.

    이 카페는 전시 장소에 따라 매번 다른 내용으로 구성되지만, 기본적으로 목탄으로 그린 벽화, 관객들이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해먹 침대, 베트남 특유의 쓰고 진한 ‘로부스타’ 커피를 전시장에서 맛볼 수 있게 하고, 특정 주제와 관련된 다른 협업자들의 작품들로 영상을 구성한다. 이번 전시에는 함께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인 임영주와 믹스라이스, 그리고 기획자로서 2014년 SeMA 비엔날레에 꽁 뚱을 초청한 바 있는 박찬경의 작품들 중에서 산업화와 관련된 영상들을 상영한다.

    전시제목정글의 소금 (Salt of the Jungle) 展

    전시기간2017.08.17(목) - 2017.10.18(수)

    참여작가 김보민, 더 프로펠러 그룹, 도 타잉 랑, 린+람, 믹스라이스, 아트 레이버 콜렉티브, 염지혜, 응우옌 득 닷, 응우옌 반 푹, 응우옌 프엉 링, 이은새, 임영주, 조혜진

    초대일시2017년 08월 16일 수요일 05:00pm

    관람시간11:00am - 08:00pm / 토 11:00am - 05:00pm

    정규 도슨트 투어) 월-금 12:30 15:00 17:00 18:30 / 토 12:30 15:30
    ※ 매주 토요일 및 단체 관람시 베트남인 도슨트 투어 가능

    휴관일일요일 및 공휴일(추석연휴 포함) 휴관

    장르회화, 드로잉, 영상, 설치작업 등

    관람료무료

    장소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Korea Foundation Cultural Center (서울 중구 을지로5길 26 (수하동, 미래에셋 CENTER 1) 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서관 2층)

    기획KF, 안소현(객원큐레이터)

    주최한국국제교류재단(KF)

    후원주한베트남대사관

    연락처02-2151-6520

  • Artists in This Show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Korea Foundation Cultural Center)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변덕스러운 부피와 두께–네덜란드 최고의 책 디자인 한국의 아티스트북을 만나다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2021.06.23 ~ 2021.08.13

  • 작품 썸네일

    스틸/라이프 – 네덜란드 현대 사진전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2018.05.03 ~ 2018.05.30

  • 작품 썸네일

    아이러니 & 아이디얼리즘 (Irony & Idealism)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2017.12.15 ~ 2018.01.13

  • 작품 썸네일

    정글의 소금 (Salt of the Jungle) 展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2017.08.17 ~ 2017.10.18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 작품 썸네일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 작품 썸네일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 작품 썸네일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 작품 썸네일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 작품 썸네일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 작품 썸네일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 작품 썸네일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