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노동
2018.12.04 ▶ 2019.01.06
2018.12.04 ▶ 2019.01.06
전시 포스터
서해영
여성미술가를 위한 도구 만들기2-타피스트리 협업의 도구(콤부손잡이) 2014, 석고, 나사 plaster, screw, 각 20 x 5 x 4 cm, 가변크기 each 20 x 5 x 4 cm, variable dimension
이준형
Out of Frame 2014, 시네마그래프 cinema graph, 가변크기 variable dimension
임가영
Painting_서울대학교미술관 혼합매체, 가변설치, 2018 (02)_이전 전시 설치 전경
서해영
여성미술가를 위한 도구 만들기2-타피스트리 협업의 도구(원형틀) 2014, 앵글, MDF 합판,못,면사 MDF, nail, cotton threads 지름100cmx높이180cm diameter100cmxheight180cm
이준형
Out of Frame 2013, 캔버스틀을 뜯어 만든 뗏목 raft, red cedar, 300 x 75 x 9 cm
임가영
Painting_서울대학교미술관 혼합매체, 가변설치, 2018
서해영
나에게 필요한 도구 만들기-헤라 2012-2013, 일상용품 everyday objects, 가변크기 variable dimension
이준형
Out of Frame 2014, 단채널 비디오 single channel video, 32’ 21”
서해영
Painting _서울대학교미술관 2018, 혼합매체 mixed media, 가변설치 variable dimension
이정형
현장 콜렉션 Collection from Construction Site 2016, 공사 현장에서 찾은 오브제 objects from construction site, 가변설치 variable dimension
이정형
현장 보고서 Field Report 2016, c-print, 가변설치 variable dimension
이정형
현장보고서, 현장 콜렉션
예술과 노동, 이 둘은 서로 척도가 다릅니다. 또한 예술을 위한 노동은 여타 일반 노동과 구분하기 마련입니다. 여기에는 가치의 문제, 자본의 문제, 창조성의 문제, 보상의 문제 등 여러 면에서 상충된 입장이 존재합니다. 이번 전시는 ‘예술’과 ‘노동’ 이라는 일견 어울리지 않는 두 개념을 묶어 그 사이 발생하는 긴장감과 모순을 통해 노동의 가치문제, 예술과 노동의 접점 및 한계, 그리고 노동으로서의 예술 등을 다각도로 바라보고자 합니다.
서해영 작가는 일상의 노동을 예술로 전환시켰다. 작가는 이를 ‘도구’의 틀 안에서 해석하고 있는데, 여성들을 위한 협업의 도구인 태피스트리 제작 틀은 원형의 형태로 되어있어 둘러앉아 작업하며 대화와 논쟁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성에게 맞춰진 노동의 도구를 사용한 협업의 결과물은 예술작품으로 전시되어 일상의 노동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정형 작가는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설치하는 노동자로 참여하는 과정을 자신의 작품 <현장 보고서>와 <현장 콜렉션>에 도입한다. 작가는 생계를 위한 노동(비예술)을 자기만족을 위한 노동(예술)으로 끌어들여 이 둘 사이의 분리를 무화시킨다.
이준형 작가의 작품
임가영 작가의 작품
전시제목예술과 노동
전시기간2018.12.04(화) - 2019.01.06(일)
참여작가 서해영, 이정형, 이준형, 임가영
초대일시2018년12월 04일 화요일 05:00pm
관람시간10:00am - 06:00pm
휴관일매주 월요일 휴관
장르조각, 설치
관람료일반(만 19세 이상, 대학생 포함) 3,000원
청소년(만 7세~만 18세) 2,000원
어린이(만 3세~만 6세) 2,000원 (보호자 동반시 1인 무료)
단체(20인 이상) 2,000원 (인솔자 1인 무료)
장소서울대학교미술관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미술관 코어갤러리)
연락처02-880-9504
1983년 출생
1983년 출생
1976년 출생
1984년 출생
권정호: 분지의 아픔
권정호미술관
2025.03.18 ~ 2025.04.18
나는 웃으며 잠에서 깼다 I woke up laughing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5.03.08 ~ 2025.04.19
이재삼: MOONlight Project
사비나미술관
2025.02.19 ~ 2025.04.20
예술의 방식 : 우리가 말하는 것 One Way of Art : What We Say
청주시립미술관
2025.02.04 ~ 2025.04.20
하종현 5975
아트선재센터
2025.02.14 ~ 2025.04.20
임민욱: 하이퍼 옐로우Hyper Yellow
일민미술관
2025.02.28 ~ 2025.04.20
김병기 3주기 기념전 《김병기와 상파울루 비엔날레》
가나아트센터
2025.03.05 ~ 2025.04.20
김찬송: 허물어지고 부딪히는 Collapsing, Colliding
박서보재단 26SQM
2025.03.06 ~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