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포스터
홍영인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홍영인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박혜수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이주요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이주요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박혜수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김아영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김아영
MMCA 올해의 작가상 2019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SBS문화재단과 공동으로 주최하는 《올해의 작가상 2019》를 10월 12일(토)부터 2020년 3월 1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8회를 맞는《올해의 작가상》은 한국 현대미술의 가능성과 창의적 역량을 보여주는 작가들을 발굴․지원하기 위해 2012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공동 주최하고 있다. 그간 대한민국 대표 미술상으로서 동시대 현대미술의 새로운 방향과 담론을 만들고 미래 비전을 제시해왔다.
2019년도《올해의 작가상》은 국내․외 미술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통해 지난 3월 홍영인, 박혜수, 이주요, 김아영을 선정했다. 공통적으로 회화나 조각 같은 전통적인 매체보다는 영상, 설치, 미디어, 퍼포먼스, 현장 제작 등 실험적인 형식과 주제의 작업을 통해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을 받아온 작가들이다. 총 20여 점의 신작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 공개된다.
작가들은 한국 사회에 내재된 개인과 사회에 관한 이슈 또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들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참여 작가들이 전시장 안에서 퍼포먼스, 토론, 설문, 공연, 온라인 중계 등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작업의 내용과 경계를 확장하고 관람객들에게 입체적인 방식으로 현대미술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홍영인은 ‘동등성’개념을 퍼포먼스, 드로잉, 자수, 사운드 등의 다양한 매체의 작품에 접목해왔다. 이번 신작은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극단적인 국가주의와 사회적 불평등 상황에서 이전과는 다른 소통방식에 주목했다. 인간과 다른 소통방식을 가진 동물들, 특히‘새’에 대한 탐구를 기본으로 <사당 B>라는 주제로 크게 세 개의 파트로 구성되는 신작을 선보인다. <새의 초상을 그리려면>은 사운드를 포함한 대형 설치 작품으로 전시장에 거대한 구조물로 구현된 새장의 안과 밖, 즉 관람객과 새의 위치를 뒤바꾼다. 이 이분법적인 공간을 오가는 것은 오직 새의 소리뿐이며, 끊임없이 두 공간을 연결한다. 전시장 외부에서 진행되는 퍼포먼스인 <비-분열증>은 여성의 저임금노동에서 파생된 몸짓과 동물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얻은 모티브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하얀 가면>은 런던의 클럽 이네갈(Club Inégales)과 협업하여 즉흥연주를 통해‘동물되기’를 모색하는 영상, 사운드 작업이다.
박혜수의 작품은‘당신의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그동안작가는 우리 사회에 내재된 집단적 무의식 또는 보편적 인식이라고 여기는 가치들을 가시화하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이번 신작을 위해 진행한 설문조사 <당신의 우리는 누구인가>를 통해‘우리’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을 말하고자 한다. 작가는 표본집단을 구성하여 전문가와 협업을 통해 설문과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영상, 구조물, 다이어그램, 설치작업으로 시각화한다. 또한 전시장에 구현된 가변적인 토론 공간에서는‘토론 극장’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곳에서 관람객들은 작품의 참여자로서 보다 능동적으로 전시와 작품에 참여한다. 이 외에도 <퍼팩트 패밀리>, <노 미들 그라운드>(No Middle Ground) 등 가족의 해체, 양극화, 고독사 등 한국 사회에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사회 현상과 문제들을 직시하는 다양한 작품을 보여준다.
이주요는 가변적, 일상적인 재료의 조합을 통해 사회와 그 주변부에 존재하는 것들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작업을 해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향후 작가가 실제로 구현하고자 하는 미술관의 창고 시스템에 대한 견본모델인 <러브 유어 디포>(Love Your Depot)를 선보인다. 작품창고, 랩(방송국, 미디어랩, 5층 타워), 컨텐츠연구소 “팀 디포”(Team Depot)로 구성되며, 전시장에 보관되는 작품들은 전시기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는 동시에, 현장에서 생성된 다양한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송출한다. 작가가 고안한 곳은 작품보관 창고이자 창작과 공연이 가능한 새로운 공간이 되어 작품의 소멸을 유예시키고 작품 스스로 생명을 연장시키는 창의적인 제안이다.
김아영은 최근작들을 통해 전 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는 이주, 이송, 도항과 가로지르기, 초국가성과 지역성에 대한 관심과 탐구를 보여 왔다. 이번 신작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영상작업은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2017)의 후속작 <다공성 계곡 2: 트릭스터 플롯>(2019)이다. 작가적 관심을 아시아 지역, 특히 몽골에 집중하여 바위와 대지신앙으로 대표되는 몽골의 설화와 접목시킨다. 또한 최근까지도 이슈가 되고 있는 제주도 예멘 난민의 이주와 이들의 존재방식을 지질학적인 사례와 중첩시켜 이주 여정을 다양한 층위로 풀어낸다. 이를 통해 작가는 역사와 현재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차원의 질문을 던진다.
《올해의 작가상 2019》 최종 수상자는 오는 11월 28일(목)에 마지막 심사를 거쳐 발표될 예정이다. 최종 수상 작가는‘2019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고 상금 1,000만원을 추가로 지원받는다. 또한 후원 작가 및 최종 수상자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현대미술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어 SBS 지상파와 케이블 채널을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8회를 맞은 <올해의 작가상>은 역량을 갖춘 현대미술 작가의 독창적인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동시대 한국 미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소개해왔다”며,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국제무대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원을 뒷받침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현대미술관과 SBS 문화재단은 역대 ‘올해의 작가상’ 후원 작가의 지속적 활동을 위해 작가들의 해외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올해의 작가상 해외활동기금'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도‘올해의 작가상’수상자인 정은영 작가의 2019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와 더불어 2012년도 수상자 문경원·전준호 작가의 테이트 리버풀 개인전(2018년), 2016년도 수상자 믹스 라이스의 퐁피두 센터 그룹전(2017년) 등이 모두 올해의 작가상 해외활동기금으로 진행되었다.
■ 국립현대미술관
1.작가 소개 및 주요 작품
홍영인
홍영인(1972~)은 최근까지 영국을 본거지로 하여 유럽과 한국을 오가며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광주비엔날레(2014)와 런던 ICA(fig-2, 2015) 등에서의 전시와 공연,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폭 넓은 작품활동을 이어왔다. 작가는 ‘동등성’ 이라는 주제와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미술로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설치, 퍼포먼스, 드로잉, 자수,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을 통해 지속적으로 질문해 왔다.
홍영인은 지난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더욱 극대화되어 가는 국가주의와 사회적 불평등의 일반화 현상을 바라보면서, 기존과 다른 소통 방식의 가능성이 긴급하다고 여기게 되었다. 작가는 인간과는 완전히 다른 소통 방식을 가진 동물들에 관심을 두고 특히 ‘새’에 대한 탐구를 이번 신작에 반영하였다. <사당 B>는 전시장 입구에 설치되어 인간과 동물의 위계에 대해 질문하는 <새의 초상을 그리려면>과 클럽 이네갈(Club Inégales)과 협업하여 즉흥연주를 통해 ‘동물되기’를 모색하는 <하얀 가면>, 그리고 전시장 외부 공용 공간에서 진행되는 여성의 저임금 노동을 표현하는 그룹 퍼포먼스 <비-분열증>을 포함한 세 개의 신작으로 이루어졌다. 각 작품은 동물과 인간, 이성과 본능 같은 이분법적 대립과 모순을 넘어서는 각기 다른 의식(ritual)으로서 표현된다. 이 세 작품들은 비주류 역사의 잊혀진 시-공간을 재방문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박혜수
박혜수(1974~ )는 최근까지 < Nowhere Man >, < Now Here is Nowhere >, <보통의 정의>, <당신이 버린 꿈> 등의 전시를 통해 우리 사회와 집단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와 무의식에 대해 물음을 던지면서 나아가 개인의 기억과 삶의 가치를 가시화하는 작업을 보여주었다. 박혜수는 이러한 인식과 무형의 가치들을 시각화하기 위해 우리를 둘러싼 환경들을 관찰하고, 촘촘한 조사와 채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필요에 따라 전문가들과 협업한 결과물들을 작품으로 귀결시킨다.
이번 박혜수의 신작은 ‘당신의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이 질문은 개인들이 생각하는 ‘우리’에 대한 정의와 범주 즉, 이들이 갖는 집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게 한다. 작가는 실질적인 작업에 앞서 ‘우리’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분석과 작가적 해석이 반영된 작품을 만들어 냈다. 전시장의 중심에 구현된 설치작품이자 가변적 토론공간에서는 작가와 다양한 협업자들에 의해 <토론 극장 : 우리_들>이 진행된다. 이곳에서 관람객들은 작품의 참여자이자 퍼포머로서 역할이 확장되고 변이되면서 보다 능동적으로 전시와 작품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박혜수는 가상으로 설립한 휴먼 렌탈 주식회사인 <퍼팩트 패밀리>를 통해 현대 사회 속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족의 해체 문제를 다룬다. < No Middle Ground >에서는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짚어내며, <후손들에게>는 고독사와 가족 관계의 붕괴를 영상으로 담아낸다. 이런 그의 작업들은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사회적 현상과 부조리를 직시하게 한다.
이주요
이주요(1971~)는 대표작 <나이트 스튜디오>, < Two >, < Commonly Newcomer > 등의 작업을 통해 가변적이고, 임시적인 그리고 견고하지 않은 일상 재료들의 심리적, 물리적 조합들로 사적인 경계와 공적인 경계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사회와 그 주변부에 존재하는 것들에 가치를 담는 작업을 해왔다. 작가는 국내외를 오가며 전시뿐만 아니라, 공연, 출판 등 폭 넓은 행보를 보이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이주요는 이번 전시에서 향후 작가가 실제로 구현하고자 하는 창고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자, 하나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이 되는 신작 < Love Your Depot >를 선보인다. 전시장은 크게 작품창고, 랩(Lab), 그리고 팀 디포(Team depot)로 불리는 컨텐츠 연구소로 구성된다. 이곳에는 이주요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이 보관되는데 이것은 전시기간 동안 전시장에 상주하는 참여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고 기록된다. 동시에 현장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송출할 수 있는 플랫폼이 운영되면서 살아있는 커뮤니케이션 허브(hub)가 구축된다. 이로써 전시장은 작품보관 창고이자 다양한 창작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공간으로 거듭난다. 비평가 찰스 에셔가 이주요의 작업에 대해 “미술적 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조건을 짓는다” 라고 표현한 바 있는 것처럼 작가가 이번 전시를 위해 고안한 이 실험적 시스템은 ‘예술가에 의해 창작된 작품의 소멸을 유예시키고, 예술의 공유를 위한 방식’을 찾아가는 대안적인 제안이다.
김아영
김아영(1979~)은 베니스 비엔날레(2015)와 팔래 드 도쿄(2016) 개인전 등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와 석유 정치학, 영토 제국주의, 자본과 정보의 이동 등 동시대적인 이슈들을 담은 영상, 퍼포먼스, 설치 등의 작업을 지속해왔다.
김아영의 이번 신작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영상작업은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2017)의 후속작인 <다공성 계곡 2: 트릭스터 플롯>이다. 이는 전작에서 보여준 ‘페트라 제네트릭스’라는 광물이자 데이터 클러스터가 이주하는 여정의 연장선상에서, 난민과 데이터의 이주를 다양한 층위로 중첩시켜 픽션으로 풀어낸 작업이다. 김아영은 최근작들을 통해 전 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는 이주, 이송, 도항에 대한 관심과 탐구를 지속하여 왔다. 이번 신작에서는 이러한 관심을 아시아 지역 특히, 몽골로 확장시켜 바위와 대지신앙으로 대표되는 몽골의 유사 설화와 접목시킨다. 여기에 제주 예멘 난민의 이주와 이들의 존재 방식을 지질학적인 레퍼런스와 중첩시키면서 사변적 픽션의 형태로 보여준다. 끊임없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대륙 내부의 지각 판과 그것과는 대조적으로 수많은 단단한 경계들로 가로막힌 대륙의 표면, 그리고 이 대륙의 내부와 외부를 이동하는 실제와 가상의 에이전트들은 때때로 그 경계 앞에서 저지되고 또 허용된다. 작가는 이 같은 복잡다단한 관계들의 공존을 보여줌으로써 역사와 현재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차원의 질문을 던진다.
1972년 출생
1974년 출생
1971년 출생
1979년 출생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