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8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귀국전 《역사가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History Has Failed Us, but No Matter
2020.05.08 ▶ 2020.06.21
2020.05.08 ▶ 2020.06.21
전시 포스터
History Has Failed Us, but No Matter (역사가 우리를 망쳤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역사 서술의 규범은 누가 정의해 왔으며, 아직 그 역사의 일부가 되지 못한 이들은 누구인가? 2019년 58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는 2020년 3월 아르코미술관에서 귀국전을 통해 서울에서 다시 이 질문을 지속한다. 이 전시는 특히 근대성과 동아시아를 젠더라는 렌즈와 전통이라는 매개를 통해서 접근한다. 아시아 근대화 과정의 문제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전통의 발생관계를 사고하고, 나아가 젠더복합적 인식을 통해 아시아에서 서구 근대성의 규범과 경계발생을 넘어서는 전통의 새 가능성을 탐색한다.
베니스 한국관과 규모와 특성이 다른 아르코미술관의 공간에 맞춰 변화된 방식으로 설치되는 이번 전시는 제 1갤러리에 남화연, 정은영 작가의 역동적인 비디오 설치를 집중시킨다. 남화연 작가는 동양 춤에 대한 원대한 이상을 가지고 스스로 전통의 근대적 발생을 수행했으나 민족, 이데올로기적 구도 속에서 표류하며 근대적 경계들에 구속되어야 했던 20세기의 무용가 최승희를 하나의 예술적 사건으로 전환한다. 정은영은 최근 십년 간의 자신의 작업의 근간인 여성국극을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 퀴어 공연의 상상적 계보를 구축하고 서로 다른 세대 퍼포머들의 퍼포먼스 미학에 집중한다. 제2 갤러리는 제인 진 카이젠의 작품은 공동체에서 탈각된 딸의 이야기인 바리설화를 서구 식민적 근대(Colonial modern)의 경계성과 디아스포라의 멜랑코리아를 탈주하는 새로운 가능성으로 해석한다.
복합적인 서사들의 배치를 통해 역사 개입을 형성해내는 세 작가들의 예술행위 속에는 문명과 문화의 기획에 개입된 권력과 체제의 논리, 통념이나 관습의 폭력성, 그러한 역사의 규범에 저항하고 그것을 균열(rupture)을 일으키는 예리한 질문이 담겨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전시장에 울려 퍼질 소리와 리듬, 파동, 산포적인 이미지의 연쇄, 몸과 움직임 속에 발현되는 촉지적 지식 수행, 그리고 타자와 더불어 자신을 형성해가는 정동(affect)의 경험들이다. 전시는 가려지고, 잊혀지고, 추방되고, 비난받고 목소리를 내지 말아야 했던 이들에게 다시 자리를 내어준다. 이들은 읊조리고, 노래하고 울고 웃고, 발산하고 움직이고 춤추고 마침내 큰 소리로 외친다. “역사가 우리를 망쳤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전시의 제목은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의 첫 문장으로, 사용에 저자의 동의를 얻었습니다.
남화연 Hwayeon Nam
작품소개
“첫째, 승무같이 종래에 있는 전통의 것을 보고 배우고 해서 발표하는 것, 둘째는 내가 상상해서 전설 같은 데서 힌트를 얻어 가지고 창작해서 하는 것, 예를 들면 조선 생활에서 테마를 만들어서 한량이나 초립동이, 천하대장군, 같은 데서 말이죠. 그런 데서 힌트를 얻어서 춤으로 만들어 내는 것 하고요. 셋째는 전 동양적인 것, 이를테면 보살이라던가 광범위의 동양적인 것, 아세아적인 것을 무용화하자는-이렇게 세 가지 플랜이 세워져 있어요.”
최승희와 여류명사회담, 춘추 3월호, 1941년
남화연은 <궤도 연구>, <임진가와>, <이태리의 정원> 등의 전작들에서 아카이브를 경유해 대상으로부터 우회하고 이탈하여 그 본질적 다면성을 드러내는 운동의 방식을 탐구해 왔다. 신작 <반도의 무희>는 무용가 최승희(1911-1969)의 1941년부터 월북 이후까지의 시간과 그 궤적으로 남은 그의 예술에 주목한다. 최승희는 유럽, 북미, 남미 공연을 마친 후 조선 무용을 넘어서 동양 무용을 완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힌다. 일본은 최승희가 귀국한 이듬해 12월 태평양 전쟁을 시작한다. 이후 최승희는 중국으로 일본군 위문 공연을 다님과 동시에 노오, 부가쿠 등에서 영향을 받은 작업을 발표하고, 주로 중국에 머무르며 경극의 현대화와 동양 무용의 수립을 역설한다. 조선의 최승희이며 반도의 사이 쇼키(최승희의 일본식 발음)이자 세계적 무희로 불렸던 그는 베이징에서 조선의 해방, 일본의 패망을 맞는다. 그리고 1946년, 그는 월북한다.
1941년 이후로 그가 남긴 동양 무용/발레(훗날 북한의 무용극으로 발전했을)를 만들기 위한 초석과도 같았던 작업들은 그의 어떤 선택의 결과였을 것이다. 그러나 <반도의 무희>는 선택의 조건들을 밝혀내고 인물로서의 최승희를 재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시기를 관통하는 그의 예술 작업들과 연구 활동에 주목하고, 그 과정을 외부의 힘, 예술가로서의 열망, 개인의 생존 의지, 급박한 내일과 이상이 향하는 먼 미래라는 두 개의 시간이 충돌하며 분열한 복수의 신체들로, 또는 꿈꾸거나 탈주했으나 결코 도착할(land) 수 없었던 추상적이고 모순적인 공간의 윤곽선으로 응시한다. 과연 최승희는 역사적 인물이 아닌 예술적 사건으로, 기술된 과거가 아닌 현재에 던져진 존재론적 질문으로 굴절되어, 다시 움직일(mobilize) 수 있는가.
작가소개
남화연은 1979년생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한다. 미국 코넬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에서 전문사를 졸업했다. 남화연은 남겨진 아카이브를 통해 대상을 추적하며 사물, 공간, 시간, 사회 시스템 구조의 현상들을 안무적인 움직임으로 포착하고, 인간의 욕망과 관련된 문화적 재생산의 구조들을 드러낸다. 퍼포먼스와 비디오를 중심으로 현재라는 시간개념에 질문을 던지고 이를 섬세하게 포착하는 언어적 퍼포머티비티는 남화연의 작업을 추동하는 전제이다. 제국주의적 수집의 스토리, 식민주의적 합병과 동식물, 천문학 등 자연과학에 이르는 영역을 넘나들며, 현상에 내재한 움직임을 경유하여 과거와 현재를 가로지른다. 개인전 “임진가와”(시청각, 서울, 2017), “시간의 기술”(아르코 미술관, 서울, 2015)과 그룹전 “역사를 몸으로 쓰다”(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7), “유명한 무명”(국제갤러리, 서울, 2016), “모든 세계의 미래 All the World’s Future”(베니스비엔날레, 베니스, 2015), “Nouvelle Vague”(팔레드도쿄, 파리, 2015) 등이 있으며, <궤도 연구>(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8), <가변 크기>(Festival Bo:m, 2013), <이태리의 정원>(Festival Bo:m,2012) 등의 퍼포먼스를 제작했다.
정은영 siren eun young jung
작품소개
<섬광, 잔상, 속도와 소음의 공연(A Performing by Flash, Afterimage, Velocity and Noise)>은 정은영이 지난 10여 년간 지속해온 <여성국극 프로젝트(2008~)>의 연장선상에서 여성국극 장르의 내부 서사에 대한 존중과 그것이 존재했던 당대적 시공간의 분석을 넘어, 현대의 퀴어 공연 예술가들의 실천으로 상호전승하고 확장하는 ‘불가능한’ 계보학을 상상한다.
<여성국극 프로젝트>는 해방 이후 근대국가의 욕망 속에서 태동하고 쇠퇴한 ‘여성국극’이라는 특수한 장르의 공연을 분석하면서, ‘성별 관념’과 ‘전통/역사의식’에 드리운 억압에 가까운 통념을 비판적으로 해체하고자 한 일종의 민족지 연구로서의 예술 프로젝트이다. 여성국극의 가장 특수한 양식적 독자성은 여성이 남성을 연기한다는 것이다. 여성국극 남역배우들이 재현하는 ‘남성’은 언뜻 사회적 통념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는 전형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어떤 ‘남성성’으로도 포획되지 않는 독자적인 성별이기도 하다. 이들의 무대는 성별이라는 개념에 대한 고정관념, 즉, 신체와 정신, 그리고 성적지향이나 행위 표현들이 매우 안정적이며 정상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는 관념을 흔들어 도발한다.
여성국극 2세대 남역 배우이자 판소리 흥보가 부문의 무형문화재이기도 한 이등우(이옥천)는 생존하는 가장 탁월한 여성국극 남역 배우이다. 이등우는 1960년대 여성국극계에 진입해 극단을 운영하기도 하는 등 여성국극 배우로서의 성공을 믿어 의심치 않았으나, 여성국극의 쇠락과 함께 전통 음악계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등우의 연행과 그로인해 만들어지는 이미지는 전통과 현대성 모두로부터 환대받지 못한 채 잊혀진 ‘여성국극’의 역설적인 현전이다. 사라진 무대와 텅빈 아카이브, 그리고 죽음을 기다리는 노인들의 회상과 한숨으로만 남은 이 역사는 어떻게 다시, ‘역사’가 될 수 있을까?
트랜스젠더로서 경험하는 몸의 불협과 분절의 감각을 음악적 형식으로 적극 개입시키는 전자음악가 키라라의 무대와 음악, 남성 중심적이고 성별화된 연극계에 늘 독자적이고 위반적인 캐릭터를 제공해온 레즈비언 배우 이리, 장애여성극단 춤추는 허리의 연출가이자 배우로 매우 예외적인 행위미학을 만들어온 중증장애인 서지원, 페미니스트-퀴어 접점으로서의 드랙문화와 커뮤니티를 마련하고자 분투해온 드랙킹 아장맨, 이들의 실천은 언제나 안정적 장르공연을 탈주하는 형식적 도전과 자신의 신체경험이 견인하는 불편하고 이상한 몸의 변칙적 수행 사이를 진동하며, 거의 사라질뻔한 여성국극의 역사를 ‘퀴어공연’이라는 맥락으로 다시 소환한다.
퍼포먼스 아트는 오랫동안 신체에 요구되는 안정적 통합성과 정상성의 관념을 미학적이고 정치적인 차원에서 재차 거절하고 문제화해 왔다. 여성국극이 고수해 온 한국 판소리 전통의 근간인 ‘구음전수(Oral transmission)’라는 존재론적 원칙은, 이 작업에서 보다 신체적이고 수행적인 차원으로 그 의미를 확장한다. 그리고 움직이는 몸들 사이를 흐르거나 멈추거나 유예하거나 중첩함으로써 퀴어한 몸들의 상호적 전수(inter-body transmission)의 방법론으로 이동을 시도한다. 따라서 이 작업은 ‘퀴어링(queering)’으로서의 공연(performing)을 감각하는 순간들을 직조해 예술실천에서의 ‘퀴어적 전회(queer turn)’를 반복적으로 환기하려는 노력인 동시에 공적 역사가 배제한 이들의 서사를 다시 소환하는 ‘페미니스트-퀴어’ 방법론을 통한 정치적 미학을 질문하고자 한다.
본 작품은 KADIST의 아시아 지역 프로그램 및 전시 Frequencies of Tradition의 일환으로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과 공동 커미션 된 작품입니다.
작가소개
정은영은 1974년 인천에서 출생하여 현재 서울에 거주하며 활동한다. 이화여자대학교와 동 대학원, 그리고 영국 리즈대학교 대학원에서 시각예술과 페미니즘을 공부했다. 이름 모를 개개인들의 들끓는 열망이 어떻게 사건들과 만나게 되는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저항 혹은 역사와 정치가 되는지를 다룬다. 작가는 여성주의적 미술언어 확장을 도모하는 미술실천을 목표로 2008년부터 10여년간 ‘여성국극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1950년대 식민 직후, 해방공간에서 출현하여 군부 독재시절 점차 사라져간 여성 국극 공연에 출현한 생존 남역 배우들의 무대 안팎을 추적하면서 성별관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전통과 역사의 구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공연, 비디오,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선보였다. 아시아퍼시픽 트리엔날레(2015), 광주 비엔날레(2016), 타이페이 비엔날레(2017), 상하이 비엔날레(2018), 도쿄 공연예술 회의 TPAM(2018), 세렌디피티 아트 페스티벌(2018)등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2013년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2015년 신도리코 미술상,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제인 진 카이젠 Jane Jin Kaisen
작품소개
2019년 58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 소개된 신작이자 귀국전 작품인 <이별의 공동체>는 버려진 바리 공주에 대한 고대 무속설화로부터 기원하는 한국의 여성 무속을 시공간을 관통하는 기억과 상호 인식의 윤리 및 미학으로서 채택하여, 그로부터 새로운 번역과 예술적 시도를 드러내고, 경계(boarder)에 대한 다른 접근들을 따라가는 작품이다. 구전에 뿌리를 두고 무속인들에 의해 전승되는 바리 신화, 즉 여자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버림받은 바리 이야기는 주로 효도에 관한 설화로 읽힌다. 하지만 <이별의 공동체>에서 작가는 이 신화를 젠더적 금기에 도전하는 이야기, 즉 분열의 논리를 초월하나, 그 중심에는 타자화와 상실의 경험이 있음을 말한다. 신화에 따르면, 바리는 죽은 자들을 되살리는 역할을 한 후 공동체에 다시 받아들여지는데, 그 대가로 왕국의 절반을 하사받는다. 하지만 바리는 그 제안을 받아들이기를, 즉 인간이 구상한 경계의 논리를 따르기를 거부한다. 대신, 원형적 무당이자 여신이 되어 산 자와 죽은 자 간의 매개자가 되기로 한다. 바로 이것이 바리 설화가 여성에 대한 여타의 한국 설화들로부터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이별의 공동체>는 작가가 2011년부터 시작한 한국 무속에 대한 장기간의 리서치와, 전쟁과 분열로 인해 고통받은 공통체 문제에 대한 오랜 관찰과 참여로 완성된 것이다. 작품은 제주도, 비무장지대(DMZ), 북한, 남한, 카자흐스탄, 일본, 중국, 미국, 독일 등지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더불어, 바리의 다중적 죽음을 무속 의례, 자연과 도시풍경, 아카이브 자료, 항공 영상, 시, 보이스오버, 사운드 스케이프를 통해 우회적으로 다루며 다규모적, 비선형적, 다층위적 몽타주로 완성해낸다.
작가는 상호주관적임과 동시에 자신에게는 지극히도 개인적인 바리 설화를 버려진 자의 설화에서 다층적 목소리들로부터 이주, 주변화, 극복과 관련된 젠더화된 이야기로 다루어낸다. 무속 제례에서, 무속인은 중재자가 되기 위해 스스로를 버리고, 생사의 결집을 끌어모으며, 여러 영혼의 증인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이별의 공동체>는 버려진 자들에 대한 공유된 감정 속에서 형성되었다. 1948년 한국의 제주 4.3 학살의 생존자이기도 한 무속인 고순안의 무속의식과 굿노래는 작품 안에서 순환하는 리듬이 되고, 버려짐이나 죽음을 위로하는 제례 속에서 가장 고조된다. 작품은 또한 스웨덴 시인 마라 리(Mara Lee)와 <이별의 공동체>라는 제목에 영감을 준 김혜순의 “여성, 시하다”라는 시적 작업 안에 반영이 되어있는 설화에 대한 지점 또한 담아내고 있다. 나아가 식민주의, 모더니티, 그리고 전쟁에 따른 성차별이 미완의 역사 속에서 지속되고 머물면서 어떻게 급진적인 단절과 타자화의 기제를 낳았는지 남한과 북한의 여성, 이주민 여성들의 다양한 서사들 속에서 성찰해낸다.
삶과 죽음, 그리고 아직 도래하지 않은 시간으로 고취된 <이별의 공동체>는 해소, 소생, 그리고 되기(becoming)라는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무속적 수행, 영화 매체 본연의 방법에 의해 채워진 이 작업은 지식과 존재의 시공간적 경계들이나 위계를 논쟁하고 이를 확산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며, 이렇게 함으로써 자연과 다른 생명체와의 관계를 포함하여, 타자에 대한 사유와 그 존재함에 관계하는 다른 방식을 제안한다.
작가소개
제인 진 카이젠은 1980년 한국의 제주도에서 태어나 덴마크로 입양되었다. 현재는 베를린과 코펜하겐을 오가며 거주한다. 기억, 이주, 젠더 등의 주제를 이미지, 사운드, 목소리, 체현의 비선형 몽타주나 스토리텔링의 기법으로 필름, 영상 설치, 사진, 퍼포먼스 등의 매체를 통해 논한다. 최근 참여 전시로는 “2 or 3 Tigers”(세계문화의 집, 베를린, 2017), 제6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Decolonizing Appearance”(CAMP, 코펜하겐, 2018), “아시아 디바: 진심을 그대에게”(북서울미술관, 서울, 2017), “아트 스펙트럼 2016”(리움 삼성미술관, 서울, 2016), “신화와 근대, 비껴서다”(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5-2017) 등이 있다. 몬타나 엔터프라이즈(Kunstallen Brandts, 덴마크)를 수상하였으며, 리버풀 비엔날레, 광주 비엔날레, 제주 비엔날레 등에 참여하였다. 카이젠은 UCLA에서 MFA를, 덴마크 로열 아카데미 오브 파인 아트(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에서 MA를 취득하였고 휘트니 미술관의 인디펜던트 스터디 프로그램(Independent Study Program)에 참여한 바 있다.
1979년 서울출생
1974년 출생
박현순: 말장난 같겠지만
갤러리 소소
2024.11.09 ~ 2024.11.22
각자의 기호 Marks of Identity
갤러리 진선
2024.11.01 ~ 2024.11.22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