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수
꽃바람 캔버스에 아크릴, 80.5x100cm, 2009
이영수
달려 캔버스에아크릴, !91x117cm, 2008
이영수
만만치않다 캔버스에 아크릴, 91x117cm, 2008
이영수
늦은출근 캔버스에아크릴, 162x130cm, 2008
이영수
샤워하는 꼬마영수_근심을 잊는 방법 캔버스에아크릴, 145x112cm, 2008
이영수
묵묵히도시락을먹을수밖에 캔버스에아크릴, 130x162cm , 2009
이영수
밥꼬마영수 캔버스에아크릴, 41x53cm , 2009
이영수
영어강사 꼬마영수 John 캔버스에아크릴, 80.5x100cm, 2008
이영수
멍멍이와꼬마영수 캔버스에아크릴, 91x117cm, 2009
팝콘(Pop +Icon)
“고경옥(이랜드문화재단 큐레이터, 예술학)”
NEO POP + ‘꼬마영수’
팝아트는 진화하고 있다. 미국의 워홀(Andy Warhol),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올덴버그(Claes Oldenburg), 영국의 해밀턴(Richard Hamilton)으로 대표되는 1960년대 1세대 팝아트가 첫 출현 한 이후, 미니멀리즘, 개념미술, 포스트미니멀을 거친 요즈음의 맥락에서 나오는 또 다른 팝아트는 그렇게 단순할 수는 없다. 넓은 의미에서 지금의 포스트모던 시기에 팝을 다루지 않는 작가들이 얼마나 되겠는가. 팝아트는 특정한 시기, 지역, 사조에 한정되기보다는 재정의 되는 열린개념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마치 현재의 시대성을 흡수하는 리트머스지와도 같다.
한국에서의 팝아트는 1980년대 민중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를 거쳐 다분히 복잡하고 다양한 층위를 지니며 생성되었다. 캐릭터, 아바타, 키치, 애니메이션, 만화 등 다양한 하위문화와 결합한 근자의 팝아트는 다층성 혹은 혼성성을 통해 표현방식 사이의 경계를 흐리는 것이 특징이다. 구상과 추상, 회화와 사진, 순수회화와 디자인, 평면과 오브제, 아날로그와 디지털 등의 장벽이 어느새 허물어져 있다. 이러한 팝아트 개념에서 이영수의 이번 전시는 전방위적인 팝의 생명력을 그대로 표현해 내고 있다.
이번 전시는 크게 세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회화와, ‘꼬마영수’ 캐릭터 제작과 이를 이용한 연출사진, 그리고 영상(애니메이션)작업이다. 이것은 증식하는 팝아트의 개념과 작가에게 멀티플을 요구하는 시대성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셈이다. 한지에 수묵으로 표현하였던 기존의 회화작업은 캔버스에 아크릴이라는 매체로 변화하였다. 또한 이미지는 좀 더 밝고 화려해졌고, 명랑한 색채를 입어 산뜻하게 각색되었다. 점묘를 통한 중첩의 채색은 기존의 방식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지만, 단순한 윤곽선은 감정을 배제한 팝아트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기존의 수묵작업이 유년의 회상이라는 서정성에 포커스를 맞췄다면, 아크릴작업은 동시대 삶의 이미지를 담아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꼬마영수’캐릭터는 사진작업에도 다양한 상황을 연출한다. 작가는 꽃잎이나 별모양 혹은 종이에 구멍을 뚫어 '꼬마영수'캐릭터를 만들고 이것을 다시 사진으로 찍었다. 이러한 작품은 작가 자신의 놀이와도 같은 장난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호모루덴스(homo ludens)’ 즉, 예술의 기원이 원초적인 즐거움, 유희 그 자체에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꼬마영수’는 캔버스에서 걸어나와 자연의 식물, 동물들과 함께 놀기도 하고, 여행을 떠나서 전 세계의 관광지를 유람한다.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꼬마영수’도 비행기를 타고 여행을 한다. 하늘을 나는 ‘꼬마영수’는 꽃바람을 맞기도 하고, 산을 건너기도 하며,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날기도 한다. 『삶은 여행!』이라는 부제처럼 무겁지 않게 ‘꼬마영수’로 대변되는 보통인의 삶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에필로그
많은 작가들에게 있어 유년의 기억은 작업의 모티브이자 마르지 않는 창작의 우물과도 같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영수 역시 작업의 모티브를 유년기의 아름다웠던 기억에서 차용하고 있다. 작가에게 유년의 기억은 각박한 현실에서 이탈하여 과거로의 회귀를 통해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치유의 장(場)’인 셈이다. 그는 ‘꼬마영수’라는 아이콘을 통해 동심을 표현하였으며, 어린 시절로 표상되는 순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여기서 ‘꼬마영수’는 특정인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에 나오는 철수, 영희와 같이 보통인의 대명사이다. 그러나 이제는 동심의 표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일반인의 삶을 대변하고 있다. ‘꼬마영수’가 진화(?)한 것이다. 하지만 삶을 얘기하는데 있어, 결코 무겁고 딱딱하고, 비장하지는 않다. 가볍고 피상적인, 달콤하고 우호적인 미적 감수성, 그리고 표면질감에 천착한 문화에 대한 선호를 반영하는 팝아트의 형식을 빌렸기 때문이다.
미술과 대중문화가 교차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작가는 시대를 관통하는 자신만의 아이콘을 세우기 마련이다. 이는 때때로 무의미한 행위에다가 의미를 부여하는 놀이로 나타나기도 하고, 더러는 사사로운 경험을 객관화하는 행위로 드러나기도 한다. 작업의 이즘을 분류하고, 이를 하나의 무리로 범주화하는 것은 나이브하게 느껴진다. 그래서 후기구조주의적 시각으로 작가를 개별적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시대 문화현상을 자기만의 것으로 흡수해 시대적 요청에 걸맞은 이미지로 재생산해 내는 이영수작가를 열린 개념으로서의 팝아티스트라고 명명하고 싶다. ‘꼬마영수’가 동시대 사람들에게 많은 공감대를 불러일으키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2010 이랜드문화재단 기획
1974년 경기도 성남시출생
이세현: 빛나고 흐르고 영원한 것
사비나미술관
2024.11.27 ~ 2025.01.18
니콜라스 파티: 더스트
호암미술관
2024.08.31 ~ 2025.01.19
사(巳)심가득
갤러리 그림손
2025.01.08 ~ 2025.01.20
배상숙 도예전
장은선갤러리
2025.01.08 ~ 2025.01.23
산 자와 죽은 자 가운데 amidst the living and the dead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4.12.07 ~ 2025.01.25
Painting in Winter 겨울 회화
대안공간 루프
2024.12.27 ~ 2025.01.25
최석운: 팡센의 질주 A gallop in Fangxian
갤러리 나우
2025.01.04 ~ 2025.01.25
정찰된 위성들
청주시립미술관
2024.10.29 ~ 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