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 In This Garden We Loved_Part II
2023.06.23 ▶ 2023.08.05
2023.06.23 ▶ 2023.08.05
남다현
최다·최고령·최초'…여자농구 PO에 쏟아질 진기록은? 2023, acrylic and spraypaint on synthetic resin clay and cloth, 24x24x24cm
이세준
빨강 위에 고양이 2017, 캔버스위에 아크릴, 45.5x45.cm
남다현
LeBron James Hints At NBA Retirement After Lakers Loss 2023, acrylic on synthetic resin clay, 24x24x24cm
남다현
Kobe Bryant’s Foundation renovates Nowell Park basketball court 2023, ink, paint, and acrylic on wood, paper, cardboard, and jute rope, 107x137x60cm
이세준
신의 얼굴들 2021, oil, acrylic on canvas, 80.1x116.8cm
남다현
Harlem resists gentrification, environmental racism 2023, acrylic and synthetic resin clay rope on styrofoam, 24x24x24cm
남다현
@australia (@dhnam_001) 2020, acrylic, color pencil, pencil on paper, 21x 29.7cm
이세준
과잉, 일상, 감정 2022, 린넨위에 유화와 아크릴릭, 형광안료, 97×145.5cm
이세준
여름의 틈으로부터 2022, 캔버스판넬 위에 유화와 아크릴릭, 130.3×130.3cm
이세준
A Day After of the End 2020, acrylic on canvas, 130.3x387.8cm, 2pcs
차영석
Transforming Being Forgotten_p-09 2014, Pencil and gold colour pen on Korean mulberry paper, 74 x 72 cm
차영석
Mashup_s-15 2022, Pencil, acrylic gouache, acrylic spray paint and coffee on Korean mulberry paper, 55 x 70 cm
차영석
Mashup_s-02 2022, Pencil, acrylic gouache, acrylic spray paint and coffee on Korean mulberry paper, 55 x 70 cm
차영석
An Elegant Endeavour_207 2021, Pencil, colour pen, acrylic gouache and coffee on Korean mulberry paper, 35 x 50 cm
차영석
Mashup_12 2022, Pencil, colour pen, acrylic gouache and coffee on Korean mulberry paper, 35 x 50 cm
아뜰리에 아키는 5월 18일부터 8월 5일까지 국내외 미술계에서 촉망받는 작가 이윤희, 박효진, 정인혜, 차영석, 이세준 그리고 남다현이 참여한 기획전 ‘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을 개최한다. 박효진, 정인혜, 차영석, 이세준 그리고 남다현이 참여한 기획전 ‘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전개된다. 이윤희, 박효진, 정인혜 작가가 참여한 1부 ‘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_Part I’(5. 18 - 6. 17)는 ‘위로’를 통해 발현된 쉼의 순간을 2부 ‘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_Part II’(6. 23 - 8. 5)에서는 작품의 형식적 한계를 뛰어넘는 독창성을구축한 차영석, 이세준, 남다현 작가의 평면 및 설치 작품 40여 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 제목은 파스칼 키냐르(Pascal Quignard)의 동명 작품에서 차용됐다. ‘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는 죽은 아내가 사랑한 정원을 자신의 아내인 것처럼 아끼며 그 정원에 속한 모든 소리를 기보한 음악가이자 사제, 조류학자였던 인물의 삶을 키냐르 고유의 정제된 시적 언어로 풀어낸 작품이다. 파스칼 키냐르는 실존 인물인 시미언 피트 체니의 이야기에 작가적 상상력을 더해 소설과 희곡 그 사이 새로운 형태의 작품을 만들어 냈다. 전시 ‘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_Part II’은 하나의 장르로 규정되지 않은 키냐르의 새로운 방법론에 주목, 어떤 경향이나 이론 등의 분류법으로 정의할 수 없는 독자적이고 개성적인 예술세계 전개하는 동시대 작가 차영석, 이세준 그리고 남다현의 작업을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 3인은 예술 장르의 경계를 무화 시킨 독창적인 방법론을 선보이며 관람객에게 신선한 미적 경험을 선사한다.
보편적인 현실의 대상을 고유한 조형언어로 재해석하는 작가 차영석(b. 1976, South Korea)은 일상적 사물을 회화적 대상으로 삼아 정교하고 세밀한 작업 방식을 통해 복합적인 형태의 작품세계를 구축해 왔다. 작가는 일상 속 사물들이 개인의 취향과 선택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동시대 사회 모습을 담은 정물이자 풍경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실재하나 실존하지 않는 정물 혹은 풍경 그 경계 어딘가에 위치한 그의 작업은 인간과 사물, 그리고 삶의 풍경을 가시화하여 그 속에 투영된 사회적 현상이나 개인적 욕구들을 수집한다. 또한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과 작가 개인적인 기억 속 대상을 자신의 화면 안에 등장시킴으로써, 일상성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시대상을 투영한다. 이처럼 작가 차영석은 대상에 대한 예리한 관찰력과 밀도 깊은 탐구를 고유한 조형언어로 재해석하며, 이를 통해 자신만의 확고한 작업세계를 구축해 왔다.
이세준(b. 1984, South Korea)은 평면과 설치 미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우리를 둘러싼 세계의 모습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실험해 왔다. 규격화된 캔버스를 연결 지어 조합함으로써 또 다른 차원의 풍경을 불러일으키는 그의 작업은 물질의 한계를 뛰어넘어 시작도 끝도 없는 무한의 공간을 발현시킨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작가의 독창적인 조형언어로 자연스레 자리 잡았으며, 조형적 변화를 거듭한 가변적인 성격의 화면은 “세상의 모든 것을 그림으로 담고 싶다”라는 작가적 의지를 끝없이 드러낸다. 그의 작업은 무의식과 현존하는 세상 사이의 균형을 생성함과 동시에 한눈에 거대한 우주를 직관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바를 드러낸다. 초현실적인 세상과 현실 사이의 경계를 아우르는 이세준의 풍경은 신비스러운 감각을 불러일으키며 관객들을 매료시킨다.
미디어아트, 설치미술, 평면작업 등 장르를 넘나들며 전방위적인 작업 활동 전개하는 남다현(b.1995, Canada)은 복제 작업을 통해 인지적 교란을 꾀하고 예술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져왔다. 대상이 가진 실존적 가치와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인지’라는 개념이 질문이 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한 그의 작업은 보는 이로 하여금 대상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물리적 공간과 대상을 넘어 작가 개인의 기억에서 발췌된 감정과 경험과 같은 무형의 대상 소재로한 신작 “basketball series” 을 선보인다. 실재하고 때로는 실재하지 않는 그의 이번 신작은 시각적 인지를 넘어선 공감각적 접근을 시도한다. 독특한 시각과 접근을 통해 예술의 본질에 다가가는 남다현에게 있어서 작업은 제한된 영역 속에서 물질화된 어떤 대상을 생산해내는 것이 아닌, 작가 고유의 예술적 사고에서 비롯된 확장된 예술행위들로 정의된다.
Lee Yunhee, Park Hyojin, Jung Inhye, Cha Youngseok, Lee Sejoon and Nam Dahoon will participate in a special exhibition "In This Garden We Loved". The exhibition will be divided into two parts. Part 1 "In This Garden We Loved_Part I" (5.18 - 6.17) in which artists Lee Yunhee, Park Hyojin, and Jung In-hye participated will show the moments of rest expressed through "Consolation". In Part 2 "In This Garden We Loved_Part II"(6.23 - 8.5), which will feature 40 flat works by artists Cha Youngseok, Lee Sejun and Nam Dahoon who built the originality beyond the formal limits of the artworks.
The title of the exhibition was borrowed from Pascal Quignard's work of the same name "In the Garden We Loved". It is a work that unravels the life of a musician, priest, and ornithologist who cherishes the garden as if it were his wife and records all the sounds in the garden in Quignard's own refined poetic language. Pascal Quignard created a new form of work between novels and plays by adding the artist’s imagination to the story of real-life Simian Pete Cheney. The exhibition "In this Garden We Loved_Part II" is designed to focus on Quignard's new methodology, which is not defined as a genre, and to shed light on the work of contemporary artists Cha Youngseok, Lee Sejun, and Nam Dahoon, who develop their own and unique art world that cannot be defined by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trends or theories.
The three artists participating in this exhibition present original methodologies that demarcate the boundaries of the art genre, giving visitors a fresh aesthetic experience.
The artsits Cha Youngseok (b. 1976, South Korea), who reinterprets the object of universal reality in a unique formative language, has built a complex world of works through sophisticated and detailed work methods using everyday objects as pictorial objects. The artist notes that objects in everyday life are not only the result of individual tastes and choices, but also still life and scenery containing the contemporary society. His work, located somewhere on the border of a real but non-existent still life or landscape, visualizes humans, objects, and the landscape of life and collects social phenomena or personal needs projected into it. In addition, objects existing in the world and objects in the artist's personal memory appear on his screen, projecting the changing times according to daily life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s such, the artist Cha Youngseok has reinterpreted his keen observation and dense exploration of objects in a unique formative language, thereby establishing his own firm world of work.
Lee Sejun (b. 1984, South Korea) has continued to explore and experiment with interest in the world surrounding us across the boundary between flat and installation art. His work, which evokes another dimension of landscape by connecting and combining standardized canvases, transcends the limits of matter and expresses an infinite space with no beginning or end. This method of work has naturally become the artist's original formative language, and the screen has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that has repeatedly changed formatively reveals the artist's willingness to "picture everything in the world." His work creates a balance between the unconscious and the existing world, while at the same time revealing his inability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huge universe at a glance. Lee Sejun's landscape, which encompasses the boundaries between the surreal world and the reality, evokes a mysterious sense and fascinates the audience.
Nam Dahoon (b. 1995, Canada), who develops all-round work activities across genres such as media art, installation art, and flat work, has sought cognitive disturbance through cloning work and asked fundamental questions about art. His work, which explored how the concept of "cognition" can be a question by dismantling the existential values and meanings of the objec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viewers to look at the object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is exhibition, the artist presents a new work, "basketball series" which is based on intangible object materials such as emotions and experiences extracted from the artist's personal memories beyond physical space and objects. His new work, which is real and sometimes non-real, attempts a synesthetic approach beyond a visual perception. For Nam Dahoon, who approaches the essence of art through a unique perspective and approach, the work is defined as extended artistic acts stemming from the artist's own artistic thinking, not producing any object materialized in a limited area.
1976년 서울출생
1984년 평택출생
1995년 서울출생
불안 해방 일지 Anxieties, when Shared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C
2024.08.07 ~ 2024.11.23
STRA-OUT 4회: 권혜수, 김지수, 키시앤바질
씨스퀘어
2024.11.04 ~ 2024.11.23
장희춘: Happiness
장은선갤러리
2024.11.13 ~ 2024.11.23
Portrait of a Collection: Selected Works from the Pinault Collection
송은
2024.09.04 ~ 2024.11.23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