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현 개인전

2015.11.11 ▶ 2015.11.17

갤러리 그림손

서울 종로구 경운동 64-17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15년 11월 11일 수요일 05: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김지현

    붉은 벤치(몸짓) 캔버스에 아클릴릭, 한지, 160X97cn, 2015

  • 작품 썸네일

    김지현

    붉은 벤치(길) 캔버스에 아클릴릭, 한지, 160x67cm, 2015

  • 작품 썸네일

    김지현

    붉은 벤치(천천히) 캔버스에 아클릴릭, 먹, 한지, 65.1x175cm, 2015

  • 작품 썸네일

    김지현

    붉은 벤치 캔버스에 아크릴릭, 한지, 50x72.7cm, 2015

  • 작품 썸네일

    김지현

    붉은 벤치(천천히) 캔버스에 아클릴릭, 한지, 65.5x175cm, 2015

  • Press Release

    김지현의 회화 – 빨간 벤치에 앉아서 시대를 생각한다
    고 충 환 (미술평론)


    그림 속에 다른 그림이 포개져 있는 경우에 그걸 흔히 이중그림이라고 한다. 하나의 화면 속에 두 개의 다른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것인데, 소설로 치자면 액자소설이 여기에 해당한다. 여기서 이중 혹은 액자는 그저 그림
    혹은 소설의 이중적이고 다중적인 구조 이상이다. 이를테면 서로 대비되는 의미 내지 서사가 충돌하거나 상호 대리 보충되는 경우를 통해 제3의 의미 내지 서사를 열어놓는 미학적 장치로 보면 되겠다. 어느 경우이건 이로써 그림의 의미영역을 확장시키는 방법론으로 보면 되겠다. 모든 의미는 중의적이고, 모든 텍스트는 다층적이고, 모든 현상은 중층결정화된 것이라는 인식이 그 밑에 깔려 있다. 하나의 목소리 속엔 언제나 미처 발화되지 못한 침묵하는 목소리가 함께 말을 하고(미하일 바흐친의 다성성), 하나의 의미 속엔 미처 의미화 되지 못한 의미(선의미?), 억압된 의미(욕망?)가 분신처럼 떠돌고, 가시적인 것의 곁에는 비가시적인 것이 그림자처럼 어른거린다는 인식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의 그림에서 보면 한지로 떠내 엠보싱으로 표현한 날개가 그렇다. 작가의 그림에는 어느 그림 할 것 없이 어김없이 등장하는 걸로 봐서 일종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한 경우로 볼 수 있겠고, 따라서 작가의 그림을 견인하는 의미론적인 축으로 볼 수가 있겠다. 그림에서 날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투명한 사각 입방체 내지는 액자 속에 담겨져 있어서 배경화면으로 그려진 그림과는 구별돼 보인다. 여기서 투명한 입방체 혹은 액자는 일종의 틀을 의미하며, 관념의 틀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틀 속에 담겨진 날개는 이상을
    상징한다. 언젠가는 관념의 틀을 깨고 비상을 꿈꾸는 이상을 상징하는 것이며, 실제로도 그 틀이 벗겨진, 그래서 배경화면의 부분으로 흡수되거나 합체된 일부 그림에서 날개는 마침내 그 꿈을 실현하고 이상을 실현한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그러나 대개는 여전히 틀 속에 갇힌 경우들이 많은 것이 흔히 그렇듯 이상과 현실의 거리에 대한 공감을 자아낸다. 이처럼 작가의 그림에서 날개는 이상을 상징하고, 그 이상은 현실에 해당하는 배경화면과 비교된다.

    날개가 시작되는 뿌리 부분에 흡사 주머니와 같은 둥근 형태가 매달려있는데, 날개로 상징되는 이상에 양분을 공급하는 이상의 원천이며 모태로 보면 되겠다. 그 모태 속엔 남녀가 마주하고 있는 변주된 형태들이 그려져 있는데, 각각 음과 양을 상징하고, 음양합일을 상징한다. 결국 작가가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음양합일상태를 말한다. 작가의 그림은 바로 이런 음양합일사상을 주제화한 것이다. 작가의 그림이 유래하고 변주되고 확대 재생산되는 의미의 원천이며 주제의 원형으로 보면 되겠다. 현실과 이상을 대비시키는 것도, 의미와 무의미가 충돌하는 것도, 의식과 무의식이 상호작용하는 것도 알고 보면 모두 이런 궁극적인 조화에로 귀결되기 위한 서곡이고, 합일을 이뤄내기 위한 서막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충돌하는 것들, 부침하는 것들이 경계를 허물고 조화를 이룰 때, 합일을 이룰 때에야 비로소 현실은 이상이 되고, 이상은 자신의 날개로 날아오를 수가 있게 된다.

    작가가 그림 그리는 이유며 사상을 함축하고 있는 상징으로 볼 수가 있을 것인데, 그 상징은 입체조형물의 형태로 변주되고 심화된다. 양 날개를 펼쳐 비상하고 있는 형태의 입체조형물이 한쪽 날개만으로는 비상할 수 없는, 그래서 다만 이상에 머물 뿐인, 그리고 그 이상은 모든 존재가 진정한 조화며 합일상태를 이룰 때 비로소 날아오를 수 있을, 그런 잠재적이며 잠정적인 비상을 암시하고 있는 그림 속 날개와는 다르다. 그림 속 날개가 꾸는 꿈이며, 그림 속 날개가 이행해가는 방향을 예시해주고 있다고나 할까.
    그 형태가 얼핏 남근을 연상시키지만, 보기에 따라서 여성의 신체를 떠올리게도 한다. 이를테면 가슴 같은, 아니면 엉덩이 같은. 남녀가 합체되고 음과 양이 합일되는 경지를 표현한 것이고, 자웅동체를 표현한 것이다. 존재는 원래 하나였음을 표현한 것이다. 주체와 객체 사이에는 우주적 살로 메워져 있어서(메를로 퐁티의 우주적 살) 분리 불가능함을 표현한 것이다. 삶과 죽음이 하나였음을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분리가 되었다. 격리가 되었다. 원초적 상태의 상실이며 원형의 상실이다. 조르주 바타이유는 자본주의에 의해 삶과 죽음이 격리된 것에서 존재가 고독한 이유를 찾는데, 이 역시 음과 양의 또 다른 경우며, 원형의 상실로 볼 수가 있겠다. 그렇게 상실된 것을 회복하고, 상실된 상태를 복원할 때 존재는 비로소 자신의 날개로 날아오를 수 있게 된다. 오르가슴(조르주 바타이유가 작은 죽음이라고 표현한), 엑스터시, 카타르시스, 지복, 지락, 주이상스가 현실화될 수 있고, 지상의 유토피아가 건립될 수 있게 된다. 상실된 원형을 복원할 때 비로소 가능해질 일이지만, 유감스럽게도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며, 작가의 그림에서처럼 자기표현을 통해서 다만 우회적으로만 현실화될 수 있는 일이며, 그 불가능성이며 불완전성으로 인해 공감을 얻는 일이다.

    그렇게 그림 속 날개가 이상을 상징하고 상실한 원형을 상징한다면, 바탕화면에 그려진 또 다른 그림은 현실에 해당한다. 마른 갈대가 있는 강변, 추수가 끝난 논밭, 자잘한 혹은 크고 작은 암석이 총총한, 갯벌 혹은 바닷가 위로 기암괴석이 총총한 풍경, 마치 시간이 정지된 듯 텅 빈 들판 위로 고목이 오롯한 풍경, 눈 내린 겨울강변, 파도가 물거품을 일으키며 부서지는 바다, 양떼가 풀을 뜯고 있는 강변, 바다 위로 햇살이 혹은 빛줄기가 비쳐 보이는 풍경과 같은 알만한 풍경들이고 현실 속 풍경들이다. 그 풍경들은 친근하면서 낯선데, 알만한 것들이어서 친근하고, 사실을 알고 보면 부분과 부분이 조합되고 편집된 것이어서 낯설다. 여기에 모노톤으로 그려져 있는 것이 현실을 그린 것이면서도 다소간 관념적으로 보이게 한다. 관념의 분위기가 현실 위에 보이지 않는 막을 드리우고 있는 것 같다고나 할까. 그리고 그렇게 관념적 현실을 그린 것이라고나 할까. 보기에 따라선 비현실 내지 초현실처럼 보이는 풍경도 있는데, 이를테면 발레 하는 무용수가, 그리고 무슨 나무인간처럼 나무에 사람이 포개진 형상(나무의 정령? 그런데, 정작 정장을 갖춰 입은 현대인? 정령의 현대판 버전?)이 자연을 배경으로 부각되는 경우가 그렇다. 심지어 벌판을 가르는 아스팔트 도로마저 작가의 그림에서는 비현실적으로 보인다. 아마도 초현실주의에 연유한 사물의 전치에 착상한 것일 터이다. 의미란 그 자체 고정적이고 결정적인 것이 아니다. 배열과 배치가 달라지면 의미도 달라진다. 상황과 전제와 문맥과 맥락이 달라지면 의미도 덩달아 달라진다. 아마도 관념의 틀 속에 갇혀 있던 이상이 현실세계에 투영되고 반영된 것일 터이다. 이를테면 미의 이상과 나무 혹은 숲의 정령과 같은 형태와 경우로 표상된 것일 터이다.

    특이한 경우로는 정글 혹은 사바나를 배경으로 백악관을 대비시킨 그림인데, 백악관이 정중앙에 그려져 있어서 시선을 집중시킨다. 정글로 대변되는 양육강식의 피도 눈물도 없는 세계를 백악관이 주제하고 있다? 미국 패권주의? 팍스아메리카나? 작가의 그림은 대개 관념적인데, 이 그림의 경우는 현실적이다. 혹 얼핏 보통의 자연 풍경처럼 보이는 그림 중에서도 우회적인 현실발언을 암시하고 있는 그림이 있을 수도 있겠다. 이를테면 구럼비 바위와 같은?

    작가의 그림에는 이상을 상징하는 날개가 등장한다고 했다. 그리고 근작에서 또 다른 상징이 여기에 더해지는데, 그림 하단에 그려진 빨간색 벤치가 그것이다. 여기서 빈 의자는 사실은 빈 의자가 아니다. 그건 부재하면서 존재하는, 부재를 통해서 존재를 증명하는 존재표현의 한 형식이다. 그러므로 빈 의자는 작가를 상징하고 우리 모두를 상징한다. 보편상징이라고나 할까. 여기서 빨간 의자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일은 아닌 것 같다. 그저 모노톤의 화면과의 대비를 강조하고 싶은 경우로 보면 될 일이다. 그렇게 작가는 빈 의자에 앉아서 그림으로 표현된 모든 서사를 머릿속에 떠올리고 있었다. 세상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의자 뒤편으로 천천히, 라고 표기된 자동차 표지판이 서 있다. 아마도 스스로에게 주는, 그리고 시대를 향한 코멘트이며 권유일 것이다.


    Kim, Ji hyun's Paintings – Thinking the Times sitting on a Red Bench
    Kho, Chung-hwan (Art Critic)


    Another painting overlapped in a painting is commonly called a double image. It is two different paintings drawn in a single picture, which is equivalent to a frame story for a novel. Here, the double or frame is beyond just a double and multiple structure of a painting or a novel. In other words, it is an aesthetic device by which a third meaning or narration is opened through a case in which contrasting meanings or narratives are in conflict or interchanged or supplemented by each other. Either case can be seen as a methodology that expands the domain of meanings. Underneath that, there is an awareness that all meanings are ambiguous, that all texts are multi-layered, and that all phenomena are over-determined. An awareness is acting that in one voice, a silent voice not spoken yet always speaks together (Mikhail Bakhtin's polyphony), a meaning not signified yet (or prior meaning) or a repressed meaning (or desire) drifts like an alter ego in one meaning, and that an invisible thing glimmers like a shadow next to a visible one.

    In the artist's paintings, the wing is so, which is modeled on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expressed in embossing. From the fact that it appears in all of the artist's paintings, it is judged that this is established as a kind of symbolism, and thus, it can be considered a semantic axis that tows the artist's paintings. The wings in the paintings, usually, are put in a transparent square cube or frame, though sometimes, this is not the case, so they look differentiated from those drawn as a background image. Here, the transparent cube or frame means a sort of frame, which is an ideological frame. In addition, the wing put in the frame symbolizes an ideal. It symbolizes the ideal that one dream of breaking the ideological frame and soaring someday, and in fact, in some paintings where the frame is taken off, which are absorbed or united as part of the background image, the wing can be considered the final realization of the dream and the ideal. However, most are the cases locked up in the frame, which evokes empathy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Like this, the wings in the artist's paintings symbolize an ideal, and the ideal is compared to the background image that is equivalent to the reality.

    In the root part where the wing comes from, there is a spherical shape hanging like a pocket, which can be considered the source and matrix of the ideal that supplies the nutrients symbolized as a wing. In the matrix, shapes in variation are drawn, in which a man and a woman face each other, and each symbolizes yin and yang, respectively and symbolizes the yin and yang unity. Consequently, what the artist considers ideal is this very state of the yin and yang unity. The artist's paintings take this idea of the yin and yang unity as themes. This can be considered the source of meanings from which the artist's paintings originate, are played in variation, expanded and reproduced, and the original form of the theme. The contrast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deal, the conflict between meaning and meaninglessne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are nothing but preludes for the conclusion towards this ultimate harmony and the achievement of a unity. When these in conflict and fluctuation harmonize with each other, pulling down the boundary, and form a unity, at last, reality becomes an ideal, and the ideal can fly with its own wings.

    It can be regarded as a symbol that implies the reason and idea the artist draws paintings, and the symbol is varied and deepened in the shape of a sculpture. The sculpture in the shape of soaring by spreading both wings is different from the wing in the paintings that implies latent and provisional soaring that one cannot fly with one wing, so it remains only an ideal, and all beings can finally soar to the ideal only when they form a true harmony and unity. Let me say that it is a dream that the wings in the paintings dream, which foreshad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gs in the paintings shift.

    The shape, in an instant, may be a reminder of the penis, but it may remind the viewer of a woman's body. In other words, like bosom or hips. It expresses a stage in which a man and a woman are united and yin and yang become a unity and expresses hermaphrodite. It expresses that the beings were originally one. It expresses that the spa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s filled with universal flesh (Maurice Merleau-Ponty's chair universelle), so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m. It expresses that the life and death were one. However, they were separated. They were isolated. It is a loss of the original condition and a loss of the original form. Georges Bataille finds the reason for the solitude of a being from the isolation between life and death by capitalism, which can be considered another case if yin and yang and a loss of the original form. When one recovers things that are lost, and restore one's state from the loss, the being can fly with one's own wings, at last. One can realize orgasm (Georges Bataille expressed it as petite mort, little death), ecstasy, catharsis, bliss, the greatest pleasure and jouissance, and the utopia on the ground can be established. It would finally become possible when the original form lost is restored, but unfortunately, it is impossible in reality, and it can be realized only directly through self-expression like the artist's paintings, and at the same time, it wins the sympathy because of its impossibility and imperfection.

    Like this, while the wing in the paintings symbolizes an ideal and symbolizes the original form lost, the other paintings drawn on the wallpaper show a reality. They are scenery that you may know which are in the reality such as riverside with dry reeds, farmland after harvest, glittering small or large rocks, scenery with glittering strange rocks and bizarre stones on the mud flat or beach, scenery filled with old trees on a blank field as if time stands still, snow-covered winter river, the sea where the wave breaks forming foams, riverside where a flock of sheep is grazing and scenery where the ray of sunshine or the beam of light are reflected on the sea.

    The landscapes are familiar and unfamiliar simultaneously, but they are things that are understandable, so if you look at them after you know the facts, they are things in which parts are combined and edited, so they are unfamiliar. In addition, the things drawn in monotone are those of reality, but look somewhat ideal. Shall I say that they are like an ideological atmosphere is drawing an invisible curtain on the reality? And the artist drew ideological reality in that way? Depending on how I see, there are scenes that look like the unreal or surreal, and in other words, it is so when a ballet dancer or an image in which a person is overlapped on a tree as if it is a tree man (the spirit of trees, but actually, a modern man dressed in a suit or a modern version of the spirit) is brought into relief with nature as a background. Even the asphalt road across the field look unrealistic in the artist's paintings. Probably, it is hinted from the displacement of objects drawn from surrealism. A meaning is not fixed and irrevocable itself. If its arrangement and placement differ, the meaning differs, too. If the situation, premise and context differ, the meaning differs accordingly. Maybe, this is because the ideal locked up in an ideological frame is projected and reflected in the real world. For example, it is because it is represented by the shapes and cases, such as the ideal of beauty and the spirit of wood or forest.

    As an unusual case, there is a painting that contrasted the White House to a jungle or Savannah, and the White House is drawn in the center, which draws attention. The White House is a theme for the world with no blood and no tears which is ruled by the fistcuff law represented by the jungle. Hegemonism by the United States? Pax Americana? The artist's paintings are usually ideological, and yet this painting is realistic. Of the paintings that seem to be an ordinary natural scene, there may be the ones that imply an indirect comment on reality. For example, Gureombi Rocks.

    The artist said that there is a wing that symbolizes an ideal in her painting. Also, in a recent work, another symbol is added to this, which is the red bench drawn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In fact, the empty chair here is not an empty chair. It is a form of the expression of existence, which is absent and present simultaneously, proving existence through absence. Thus, the empty chair symbolizes the artist and symbolizes all of us. Shall I say that it is a universal symbol? Here, perhaps,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special meaning to the red chair. It is just enough to consider it a case in which one would like to emphasize the contrast with the screen in monotone. Like this, the artist was recalling all narratives expressed as paintings in her head, sitting on an empty chair. She was looking at the world. Also, behind the chair, there is a warning sign for cars standing, which reads, “SLOW DOWN.” It may be a comment and recommendation given to herself and towards the times.

    전시제목김지현 개인전

    전시기간2015.11.11(수) - 2015.11.17(화)

    참여작가 김지현

    초대일시2015년 11월 11일 수요일 05:00pm

    관람시간10:30am - 06:30pm
    일요일 12:00 ~ 18:30

    휴관일없음

    장르회화와 조각

    관람료무료

    장소갤러리 그림손 Gallery Grimson (서울 종로구 경운동 64-17 )

    연락처02-733-1045~6

  • Artists in This Show

갤러리 그림손(Gallery Grimson)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고슈가 Go Suga: All Go

    갤러리 그림손

    2024.03.27 ~ 2024.05.06

  • 작품 썸네일

    지금, 바로 여기 Here and now

    갤러리 그림손

    2024.03.06 ~ 2024.03.24

  • 작품 썸네일

    갑진(甲辰), 진채!

    갤러리 그림손

    2024.01.03 ~ 2024.01.15

  • 작품 썸네일

    갤러리그림손 기획전시: 초월시공 超越时空

    갤러리 그림손

    2023.07.20 ~ 2023.08.14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장현주: 어둠이 꽃이 되는 시간

    갤러리 담

    2024.04.12 ~ 2024.04.24

  • 작품 썸네일

    박미나: 검은

    페리지갤러리

    2024.03.08 ~ 2024.04.27

  • 작품 썸네일

    (no-reply) 회신을 원하지 않음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4.03.16 ~ 2024.04.27

  • 작품 썸네일

    봄 • 봄 ( Spring • See )

    갤러리 나우

    2024.04.16 ~ 2024.04.27

  • 작품 썸네일

    윤정미: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전

    한국근대문학관

    2023.11.24 ~ 2024.04.28

  • 작품 썸네일

    지역 근현대 미술전 : 바다는 잘 있습니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12.12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4도씨»

    세화미술관

    2024.01.30 ~ 2024.04.28

  • 작품 썸네일

    박지수: 빛 나는 그늘 Shining Shade

    갤러리 도올

    2024.04.12 ~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