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형근 1928-2007
2018.08.04 ▶ 2018.12.16
2018.08.04 ▶ 2018.12.16
전시 포스터
윤형근
제목 미상 1966년경, 캔버스에 유채, 62x51.5cm
윤형근
드로잉 1972, 한지에 유채, 49x33cm
윤형근
청색 1972, 캔버스에 유채, 70x70cm
윤형근
청다색 1976-1977, 면포에 유채,
윤형근
청다색 1977, 마포에 유채, 220.5x100cm
윤형근
다색 1980, 마포에 유채, 181.6x228.3cm, MMCA
윤형근
다색 1988, 마포에 유채, 205.5x333.5cm
윤형근
청다색 1999, 마포에 유채, 182x291.5 cm
윤형근
청다색 2007, 면포에 유채, 162x130.5cm
윤형근
윤형근의 아틀리에
윤형근
1979-90 작가 일기
윤형근
김환기가 윤형근에게 보낸 엽서, 1974.7.10.
윤형근
김환기가 윤형근에게 보낸 엽서, 1974.7.10.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은 한국 단색화의 거목(巨木)으로 알려진 윤형근(1928~2007)의 회고전을 8월 4일(토)부터 12월 16일(일)까지 MMCA 서울에서 개최한다.
윤형근은 1928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 참혹했던 역사적 시기에 청년기를 보냈다. 1947년 서울대학에 입학하였으나 미군정이 주도한 ‘국대안(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안)’ 반대 시위에 참가했다가 구류 조치 후 제적당했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후에는 학창시절 시위 전력(前歷)으로 ‘보도연맹’에 끌려가 학살당할 위기를 간신히 모면하기도 했다. 전쟁 중 피란 가지 않고 서울에서 부역했다는 명목으로 1956년에는 6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한 바 있으며, 유신체제가 한창이던 1973년에는 숙명여고 미술교사로 재직 중, 당대 최고의 권력자인 중앙정보부장의 지원으로 부정 입학했던 학생의 비리를 따져 물었다가, ‘반공법 위반’으로 잡혀가 고초를 겪기도 했다. 총 3번의 복역과 1번의 죽음의 고비를 넘기면서, 그는 이른바 ‘인생공부’를 하게 되고, 극도의 분노와 울분을 경험한 연후인 1973년, 그의 나이 만 45세에 비로소 본격적인 작품 제작을 시작했다.
이후 그는 스스로 ‘천지문(天地門)’이라고 명명했던 자신만의 작품 세계에 곧바로 진입했다. 이 작품들은 면포나 마포 그대로의 표면 위에 하늘을 뜻하는 청색(Blue)과 땅의 색인 암갈색(Umber)을 섞어 만든 ‘오묘한 검정색’을 큰 붓으로 푹 찍어 내려 그은 것들이다. 제작 방법에서부터 그 결과까지 지극히 단순하고 소박한 이 작품들은 오랜 시간 세파를 견뎌낸 고목(古木), 한국 전통 가옥의 서까래, 구수한 냄새를 풍기는 흙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 그는 이렇게 ‘무심(無心)한’ 작품들을 통해 한국 전통 미학이 추구했던 수수하고 겸손하고 푸근하고 듬직한 ‘미덕’을 세계적으로 통용될만한 현대적 회화 언어로 풀어내는 데에 성공했다.
전시 구성은 작가의 삶의 여정에 따른 작품의 변화를 총 4부로 나누어 소개한다. 1부에서는 작가의 작업 초기, 스승이자 장인인 김환기(1916-1974)의 영향을 보여주는 1960년대의 드로잉과 작품들이 전시된다. 윤형근의 조형언어가 발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1부의 드로잉들은 상당부분 처음 공개된다. 2부와 3부에서는 다양한 색채에서 출발했던 그의 작업이 역사와 부딪혀 순수한 검정에 도달한 상태를 보여준다. 작가 특유의 색채인 청색과 암갈색이 섞인 ‘오묘한 검정색’이 담긴 <청다색> 연작을 시작으로, 2000년대 말년 작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작이 엄선되었다. 무엇보다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때 울분을 주체하지 못하고 제작된 작품과 같이 시대의 아픔을 담담히 담아낸 슬프고 아름다운 그림들이 전시장을 가득 채운다. 1980년 6월 제작된 작품 <다색>(1980)은 피와 땀을 흘리며 묵묵히 오늘을 살아가는 수많은 인간에 대한 헌사로서, 제작 이후 단 한 번도 일반에 공개되지 않다가 이번 전시에 최초 공개된다.
또 8 전시실은 서교동 작가의 아틀리에에 소장되어 있던 관련 작가의 작품(김환기, 최종태, 도널드 저드 등)과 한국 전통 유물(고가구, 토기, 도자기 등)을 그대로 옮겨, 작가의 정신세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작가의 생각이 고스란히 담긴 일기와 노트가 처음 공개되고, 많은 양의 사진 자료도 선보인다. 아울러, 김환기가 작고 15일전 윤형근에게 남긴 엽서를 포함, 김환기가 윤형근과 김영숙 부부에게 보낸 편지도 공개되어, 작가와 그 주변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한층 풍성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배우 지진희씨가 이번 《윤형근》전시 특별 홍보대사를 맡았다. 부드러우면서 울림이 깊은 목소리의 지씨는 오디오 가이드를 통해 윤형근 작가의 극적인 삶과 작품의 여정을 들려준다. 관람객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전할 지씨의 오디오 가이드는 국립현대미술관 모바일 앱(App)을 통해 만날 수 있다.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전시가 “단색화의 범주에서 단편적으로만 알려졌던 윤형근의 진면모를 총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http://www.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28년 충북 청원출생
수보드 굽타: 이너 가든(Inner Garden)
아라리오갤러리
2024.09.04 ~ 2024.10.12
이동욱: 붉고 빛나는(Red and Shiny)
아라리오갤러리
2024.09.04 ~ 2024.10.12
유신애: 파생적 메시아
두산갤러리
2024.09.04 ~ 2024.10.12
김수연: W C R S
갤러리 2
2024.07.30 ~ 2024.10.12
류재하 : 빛, 시간의 춤
울산시립미술관
2024.05.30 ~ 2024.10.13
김현정 개인전_물 속의 그림자 A Shadow In The Water
갤러리 도올
2024.09.27 ~ 2024.10.13
성남큐브미술관 2024 성남의 얼굴전: REGATHER(리게더)
성남큐브미술관
2024.09.06 ~ 2024.10.13
대한민국예술원 개원 70년: 지금, 잇다
국립현대미술관
2024.09.12 ~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