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포스터
박래현
단장 1943, 종이에 채색, 131×154.7cm, 개인 소장
박래현
노점 1956, 종이에 채색, 267×2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박래현
달밤 1960년대 초, 종이에 채색, 76.5×59cm, 개인 소장
박래현
영광 1966-67, 종이에 채색, 134x16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박래현
작품 1966-67, 종이에 채색, 169x135cm, 뮤지엄산
박래현
시간의 회상 1970-73, 종이에 에칭, 61x46cm, MMCA
박래현
기억(Recollection) 1970-73, 에칭, 애쿼틴트, 60.8×44cm, 개인소장
박래현
가면 1973, 콜라그래피, 45×35.6cm, 개인소장
박래현
어항 1974-75, 종이에 채색, 74x75.5cm,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20세기 한국 화단을 대표하는 여성미술가 박래현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박래현, 삼중통역자⟫전을 2020년 9월 29일부터 2021년 1월 3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전관에서 개최한다.
박래현(1920-1976)은 식민지시기 일본화를 수학하였으나 해방 후에는 한국적이고 현대적인 회화를 모색하였고, 동양화의 재료와 기법을 넘어 세계 화단과 교감할 수 있는 추상화, 태피스트리, 판화를 탐구한 미술가이다. 특히, 섬유예술이 막 싹트던 1960년대에 박래현이 선보인 태피스트리와 다양한 동판화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1970년대에 선보인 판화 작업들은 20세기 한국 미술에서 선구적인 작업으로 기록될 만하다. 이러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에게 박래현은 낯설다. 가부장제 시대는 ‘박래현’이라는 이름대신 ‘청각장애를 가진 천재화가 김기창의 아내’라는 수식을 부각시켰다. 이번 전시는 김기창의 아내가 아닌 예술가 박래현의 성과를 조명함으로써 그의 선구적 예술작업이 마땅히 누렸어야할 비평적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박래현은 일본 유학 중이던 1943년에 <단장>으로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총독상을 받았고, 해방 후에는 서구의 모더니즘을 수용한 새로운 동양화풍으로 1956년 대한미협과 국전에서 <이른 아침>, <노점>으로 대통령상을 연이어 수상하며 화단의 중진으로 자리잡았다. 1960년대 추상화의 물결이 일자 김기창과 함께 동양화의 추상을 이끌었고, 1967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방문을 계기로 중남미를 여행한 뒤 뉴욕에 정착하여 판화와 태피스트리로 영역을 확장하였다. 7년 만에 귀국하여 개최한 1974년 귀국판화전은 한국미술계에 놀라움을 선사했으나, 1976년 1월 간암으로 갑작스럽게 타계함으로써 대중적으로 제대로 이해될 기회를 갖지 못했다.
전시명인 ‘삼중통역자’는 박래현 스스로 자신을 일컬어 표현한 명칭이다. 미국 여행에서 박래현은 여행가이드의 영어를 해석하여 다시 구화와 몸짓으로 김기창에게 설명해 주었는데, 여행에 동행한 수필가 모윤숙이 그 모습에 관심을 보이자 박래현은 자신이 ‘삼중통역자와 같다’고 표현했다. 박래현이 말한 ‘삼중통역자’는 영어, 한국어, 구화(구어)를 넘나드는 언어 통역을 의미하지만, 이번 전시에서의 ‘삼중통역’은 회화, 태피스트리, 판화라는 세 가지 매체를 넘나들며 연결지었던 그의 예술 세계로 의미를 확장하였다.
⟪박래현, 삼중통역자⟫전은 완벽한 기술 습득을 통해 다양한 표현을 구사했으며, 마침내 기술을 초월하여 하나의 예술로 통합시킨 박래현의 도전을 따라, 1부 한국화의 ‘현대’, 2부 여성과 ‘생활’, 3부 세계여행과 ‘추상’, 4부 판화와 ‘기술’로 구성된다.
1부 한국화의 ‘현대’에서는 박래현이 일본에서 배운 일본화를 버리고, 수묵과 담채로 당대의 미의식을 구현한 ‘현대 한국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소개한다. 조선미전 총독상 수상작 <단장>, 대한미협전 대통령상 수상작 <이른 아침>, 국전 대통령상 수상작 <노점>이 한자리에서 공개된다.
2부 여성과 ‘생활’에서는 화가 김기창의 아내이자 네 자녀의 어머니로 살았던 박래현이 예술과 생활의 조화를 어떻게 모색했는지 살펴본다. 『여원』, 『주간여성』등 1960-70년대를 풍미했던 여성지에 실린 박래현의 수필들이 전시되어 생활과 예술 사이에서 고민했던 박래현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3부 세계 여행과 ‘추상’은 세계를 여행하고 이국 문화를 체험한 뒤 완성해 나간 독자적인 추상화의 성격을 탐구한다. 1960년대 세계 여행을 다니며 박물관의 고대 유물들을 그린 스케치북들을 통해 박래현의 독자적인 추상화가 어떻게 완성되었는지 함께 추적해볼 것이다.
4부 판화와 ‘기술’에서는 판화와 태피스트리의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동양화의 표현영역을 확장하고자 한 박래현의 마지막 도전을 조명한다. 박래현이 타계하기 직전에 남긴 동양화 다섯 작품이 한자리에 함께 공개되며, 판화와 동양화를 결합하고자 했던 박래현이 제시한 새로운 동양화를 감상할 수 있다.
⟪박래현, 삼중통역자⟫전은 전시를 기획한 김예진 학예연구사의 설명으로 10월 8일(목) 오후 4시 약 40분간 유튜브에서도 중계된다. 또한, 덕수궁관 전시 종료 후 내년 1월 26일부터 5월 9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에서 순회 개최예정이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오랫동안 박래현의 작품을 비장(秘藏)했던 소장가들의 적극적 협력으로 평소 보기 어려웠던 작품들이 대거 전시장으로 ‘외출’했다”며, “열악했던 여성 미술계에서 선구자로서의 빛나는 업적을 남긴 박래현 예술의 실체를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현대미술관 4개관(서울, 과천, 덕수궁, 청주)이 9월 29일부터 재개관하며, 미술관 누리집(mmca.go.kr)에서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 관람할 수 있다.
1부. 한국화의 ‘현대’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박래현은 일본에 건너가 일본화를 배웠다. 유학을 마치고 해방을 맞이한 박래현에게 주어진 새로운 과제는 일본화의 자취를 지워내고, 관념적인 전통회화를 답습하지 않으며, ‘현대’에 어울리는 ‘한국화’를 창작하는 것이었다.
박래현은 1950년대 한국에 유입되는 서양화의 물결을 참고하고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고민하며 하나씩 새로운 도전을 거듭하였다. 1956년 대한미협전과 국전에서 연이어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화단의 정상에 선 박래현은 화가로서 독자적인 기반을 마련하였다.
2부. 예술과 ‘생활’
박래현은 가사에 쫓겨 작품제작에 온전히 집중하지 못하는 자신을 ‘예술가라 할 수 있는가’ 라며 번민했다. 그는 남편과 작업실을 나누어 쓰고 시간을 쪼개어가며 작품을 제작했고, 부부전과 백양회 회원전을 중심으로 의욕적으로 작품을 발표했다.
화가로서 명성을 얻고 여성들의 선망이 될수록, 사람들은 그를 ‘김기창의 아내’, ‘김기창과 같은 길을 가는 부인’이라 불렀다. 하지만 박래현은 가사의 굴레와 김기창의 그늘에 갇히지 않고, 생활 속에서 예술의 주제, 재료, 기법을 찾아내며 새로운 동양화를 탐구했다.
3부. 세계 여행과 ‘추상’
1960년 박래현은 처음으로 해외를 방문했다. 대만, 홍콩, 일본을 돌면서 추상화의 물결을 확인한 뒤 본격적으로 추상화 제작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세계무대로 눈을 돌렸다. 1964년과 1965년에 미국 순회 부부전을 열고, 미국, 유럽, 아프리카를 돌면서 서구 미술과 세계 문명의 현장을 둘러보았다. 그는 해외 박물관의 고대 유물에서 수공의 아름다움과 토속적인 멋을 발견하였고, 찬란한 황금빛 유물과 전통 가면을 재해석하여 구불거리는 황색 띠로 가득 찬 새로운 추상화를 탄생시켰다.
4부. 판화와 ‘기술’
1967년 박래현은 상파울루 비엔날레 참석을 계기로 중남미를 여행하고 미국을 방문하였다. 그리고 1974년까지 뉴욕에 체류하며 태피스트리와 판화를 연구했다. 그는 동판화의 기법을 하나씩 익히며 표현 방법을 확대해 나갔고, 정교한 기술을 모두 익힌 뒤에는 다시 기술로부터 자유로워진 작품을 선보였다.
귀국 후에는 동양화에 판화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작품을 제작했지만, 그녀의 실험은 갑작스러운 병마로 인해 중단되고 말았다.
1920년 평안남도 진남포출생
미디어아트 스크리닝 《플라스틱 풍경》
영화의전당
2024.11.22 ~ 2024.12.03
노지선 : 완벽한 오해 Complete misunderstanding
갤러리 도스
2024.11.27 ~ 2024.12.03
뒤처진 새 (A Straggling Bird)
원앤제이 갤러리
2024.11.01 ~ 2024.12.07
몽상블라주 The Assemblage of Dreams
전남도립미술관
2024.09.03 ~ 2024.12.08
ART FAIR 나의 소울메이트 찾기
대전 신세계갤러리
2024.10.18 ~ 2024.12.08
조덕환: 구상의 길을 걷다
성북구립미술관
2024.10.15 ~ 2024.12.08
서울 오후 3시 Cloudy 3pm
성곡미술관
2024.11.07 ~ 2024.12.08
김홍수: reflect
공간 운솔
2024.11.23 ~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