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ewon Jang
2010.10.28 ▶ 2010.11.25
2010.10.28 ▶ 2010.11.25
장태원
Portrait of Father Inkjet Print, 64x51in, 2010
장태원
Pray-1st Attempt Photogram, 182x101cm, 2010
장태원
untitled 2 Inkjet Print, 127x165cm, 2010
장태원
A Letter To Mother 01 Dura-Trans on Light Box, 50x62in, 2005
노스텔지어의 거울
류지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장태원의 작업은 유학을 간 이후 ‘사물을 바로 보는 연습’에서 비롯되었다. 작가가 말하는 사물은 단지 물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사물, 사람, 그리고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낯선 세계에 놓여진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을 때 느꼈던 충격은 컸을 것이다. 작가는 낯선, 하지만 풀어야 할 현실의 부조리 가운데 위치한 것은 바로 자신이며 생각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출발점이야말로 자아의 인식이라고 깨닫게 되었다. 그리하여 작가는 작업의 단계를 처음에는 남성과 여성의 성별, 자신이 속한 그룹들, 그리고 자신으로 발전시켜 왔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서 자신에 대한 관심은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의 기억을 떠올리는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게 된 것은 새로운 환경에 처한 자신의 모습을 가장 잘 비교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었다. 과거를 현실로 이끌어내는 방법은 단순히 과거의 시점을 기억하는 것뿐만 아니라 마음의 근원으로 돌아간다는 의미로서 현재에서 존재하지 않는 부재(不在)를 추구하는 데서 출발한다. 누구나 살아온 과거 중에서 가장 강렬한 기억의 잔재는 바로 노스탤지어이다. 작가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노스탤지어와 은연중에 비교하거나 또한 이를 통해 현실의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모습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다. 그 중심에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가족의 모습이 자리잡고 있으며 작품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넒은 의미에서 가족은 자신의 또 다른 분신이므로 가족의 모습은 그들을 통해 바라본 자신의 자화상인 것이다.
(Letter to Mother I)는 자신과 어머니가 함께 공존하는 공간을 찾아서 두 사람의 존재를 환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이 작품 속에 등장하는 공간은 작가 자신이 태어난 곳이었으며 빛을 통해 두 사람의 영혼을 밝힌다는 의미를 지닌다. 가족의 이미지를 이용한 작품(Portrait) 이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이 시리즈는 부모님, 형 그리고 작가의 얼굴 사진에서 그림자만을 오려내어 자신의 얼굴에 접착제로 붙이고 찍은 사진이다. 가족사진과 자신의 신체를 직접 접합하는 방식은
빛과 그림자의 극명한 대비는 그의 기억과 관련되어 있다. 그는 불에 대한 공포심을 기억해내고 불과 관련된 행위에 의한 작품을 다수 제작하였다. 절에서 물건을 태우는 의식, 지장경(地藏經)을 향으로 태우는 이미지
대상을 바로 보려는 작가의 노력은 대상의 특정한 부분을 강조한 듯한 이미지로 보여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대상에 대한 작가만의 시각과 대상의 특성 등이 이미지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작가가 다루고 있는 기억들은 즐겁고 밝기 보다는 주로 어둡고 좋지 않은 기억들이었다. 작가는 옅은 기억들을 집중하다 보면 대부분 안 좋았던 기억들이 뚜렷해지며 작품으로 완성해나가는 동안 그러한 기억들이 더 잘 보이게 된다고 진술한다. 불분명하지만 존재하지 않은 공간과 사물에 대한 기억이 아니므로 작가의 노스탤지어는 구체적인 시각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노스탤지어를 지니고 있으면서 이를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작가의 태도는 좁게는 자아의 현실극복, 넓게는 현대사회의 물질문명으로 비롯된 상실의 치유방법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장태원은 작품을 통해 단지 자신의 트라우마를 다루는 것뿐만 아니라 보다 큰 상실의 세계를 다루고 있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모든 관객 역시 흔적의 상처를 안고서 상실의 시대에 살고 있음을 시사하고 그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관객 개개인이 지닌 상처의 깊이와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관객이 받아들이는 불편한 진실은 저마다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자아의 표상을 통해 상실을 극복하려는 작업의 과정과 결과물은 ‘상처받은 치유자’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관객들과 소통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시제목Taewon Jang
전시기간2010.10.28(목) - 2010.11.25(목)
참여작가 장태원
초대일시2010-10-28 18pm
관람시간10:00am~18:00pm
휴관일없음
장르사진
관람료무료
장소두산갤러리 DOOSAN Gallery (서울 종로구 종로33길 15 두산아트센터 1층)
연락처02-708-5050
1976년 출생
빛나는 여백: 한국 근현대 여성 미술가들
이응노미술관
2025.01.17 ~ 2025.04.06
유현경: 나는 피안으로 간다
갤러리 JJ
2025.02.28 ~ 2025.04.11
유봉상: 그린란드 Greenland
갤러리 분도
2025.03.10 ~ 2025.04.11
홍일화: 가야의 숲
갤러리 마리
2025.03.07 ~ 2025.04.11
애프터 테이스트 The After Taste
더 소소
2025.02.28 ~ 2025.04.11
송기재: 우리들의 초상
장은선갤러리
2025.04.02 ~ 2025.04.11
보얀 파이프리치: 이글스, 육군 본부 그리고 축구 영화
대안공간 루프
2025.02.15 ~ 2025.04.12
이강소: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국립현대미술관
2024.11.01 ~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