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평화
2017.12.05 ▶ 2018.02.04
초대일시ㅣ 2017년 12월 05일 화요일 05:00pm
2017.12.05 ▶ 2018.02.04
초대일시ㅣ 2017년 12월 05일 화요일 05:00pm
전시 포스터
로저 셰퍼드
북녘 백두대간의 산과 마을과 사람들 2007-2017, 슬라이드쇼
류희
우리의 소원은 통일 2017, 싱글채널 비디오, 03:30
안승일
백두산 천지 1999, 코팅 인화지, 200 x 480cm
오윤
통일대원도 1985, 캔버스에 유채, 349x138cm
오늘날 우리는 현재의 분단 상태를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오히려 점차 그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통일, 그것은 기억하기의 곤혹스러움, 망각하기로 작정한 우리 내면의 ‘금기’가 되고, 우리에게 ‘통일’이라는 단어가 불편한 단어가 되어간 셈이다. 또한 우리는 열강들 틈바구니 속에서의 지정학적 운명을 감내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렇듯 국제적으로 불리했던 처지를 마침내 분단이라는 최악의 형태로 봉인하고야 말았다.
분단 60여년, 우리의 어리석은 생각과 시각의 참 모습을 객관화시켜 보아야 한다. 경제와 사회의 민주화를 통한 형평국가를 이뤄보겠다는 꿈은 저당잡히고, 개인과 공공의 가치를 결합할 한국적 근대성은 요원해지기만 했다. 우리는 이제 자각을 통해, 분단이 아니라 통일을, 휴전이 아니라 종전을, 적대가 아니라 평화를 사유해야 한다.
모든 것을 정상일 수 없게 했던 난제에 대해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답할 차례다. 예술은 자고로 세상의 가장 아픈 환부를 찾아가는 순례자의 사명에 충실해왔다. 우리의 환부란 자명하게도 ‘휴전선 155마일’이다. 땅이 아픈데 사람이 아프지 않았을 리 없다. 이 전시에서 꿈으로나마 그 끊긴 산허리를 다시 이으려 했다. 1부의 전시가 그 상처의 직정적 ‘인식’이라면 2부는 ‘치유’이자 ‘위로’다.
전시제목더불어 평화
전시기간2017.12.05(화) - 2018.02.04(일)
참여작가 강민석, 고경일, 구완회, 김지현, 동아일보, 딜런 마르티네즈, 로저 셰퍼드, 류희, 김호영, 박진화, 선우영, 안승일, 양형식, 여태명, 연합뉴스, 윤태호, 이경남, 이준천, 이진석, 정경열, 정종해, 정희우, 조병철, 주연, 한국일보, 서재훈, 황병호, 강진모, 김수현, 김태헌, 박불똥, 박형근, 선무, 오윤, 윤종석, 이응노, 한성필
초대일시2017년 12월 05일 화요일 05:00pm
관람시간화~금 10:00am - 08:00pm
토, 일, 공휴일 10:00am -06:00pm
뮤지엄 나이트 (매월 둘째 주, 마지막 주 수요일) : 10:00am – 10:00pm
휴관일매주 월요일 휴관, 1월 1일 휴관
장르설치, 회화, 사진, 영상 등
관람료무료
장소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서소문동, 서울시립미술관) 3층 우측 갤러리, 크리스탈 갤러리와 회랑)
주최통일부, 서울시
주관서울시립미술관
후원tbs교통방송, 협찬 : SH에너지화학
연락처02-2124-8955
1956년 출생
1984년 출생
1965년 출생
1956년 경상남도 하동출생
1973년 출생
1972년 출생
1946년 부산출생
1970년 출생
1904년 충남 홍성 출생
1972년 출생
젊은 모색 2025: 지금, 여기
국립현대미술관
2025.04.24 ~ 2025.10.12
스토리지 스토리 STORAGE STORY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2025.05.29 ~ 2025.10.12
광채 光彩 : 시작의 순간들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2025.05.29 ~ 2025.10.12
JMA예술정원프로젝트 《산책하는 집》
전북도립미술관
2025.05.02 ~ 2025.10.12
장용근의 폴더: 가장자리의 기록
대구미술관
2025.07.15 ~ 2025.10.12
개와 고양이의 시간
제주현대미술관
2025.07.11 ~ 2025.10.12
평보 서희환: 보통의 걸음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2025.07.11 ~ 2025.10.12
숨의 지형도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25.09.10 ~ 2025.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