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조
50년대 회상_1968 woodcut_88.5×135.5cm
김보민
렬차_2018 Installation of drawings on the wall_Dimension variable
바이런 킴
Sunday Painting 12/12/16_2016 Oil on canvas_35.5x35.5x3.2cm
배성미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_2019 steel, mirror, wood_360x900x180cm
손승현
고려사람 박훈자_2012-2014 Inkjet archival print, Audio interview_150x120cm
김보민
좁은 강_2017 tape, colors and ink on linen_91×116.8cm
권하윤
489년_2016 HD video_11min
강요배
물과 불의 산_2010 Acrylic on canvas_182x455cm
안창홍
Arirang 2012'1_2012 Oil on canvas, acrylic, drawing, ink_249.1x361.6cm
3·1운동은 각계각층의 민중들이 폭넓게 참여한 최대 규모의 항일운동으로 국내외에 민족의 독립 의지와 저력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대중적 기반을 넓혀 독립운동을 체계화 ? 조직화 ? 활성화하는 계기를 만든 중요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이 전시는 오늘의 3·1 운동의 정신은 어떠한 형태나 방식으로 우리 안에 실재하고 있는가를 되물어 보는 것에서 출발하였으며, 100년 전 역사적 사건을 예술적 상상과 문학적 은유를 통해 되짚어봄으로써 3·1운동의 정신을 되새기고자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시각은 그날의 기억이 상흔으로만이 아닌 역사를 비추는 따뜻하고 맑은 햇살과 같은 양분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전시 제목을 빌어 표현하고자 하였다.
3·1운동의 역사적 의미 중 하나를 남녀 ? 빈부 ? 종교 ? 신분 ? 지역에 상관없는 폭넓은 지지와 실천이라 보았기에 이번 전시의 구성에서 표현 방식의 다양함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기념’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뜻깊은 일이나 훌륭한 인물 등을 오래도록 잊지 아니하고 마음에 간직함’이다. 대한민국 100년의 역사를 오롯이 품고 있는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오늘날 3·1운동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전시제목1919년 3월 1일 날씨 맑음
전시기간2019.01.29(화) - 2019.05.12(일)
참여작가 강요배, 김우조, 권하윤, 김보민, 바이런 킴, 배성미, 손승현, 안창홍, 이상현, 이우성, 정재완, 조동환+조해준
관람시간10:00am - 07:00pm
11~12월_10:00am~06:00pm
휴관일매주 월요일
※ 월요일이 공휴일일 경우 그 다음 평일이 휴관일입니다.
장르회화 및 사진, 설치, 영상 등 작품 100여 점
관람료성인 1,000원 / 청소년, 어린이 700원
장소대구미술관 daeguartmuseum (대구 수성구 미술관로 40 (삼덕동, 대구미술관) 2, 3전시실)
연락처053-790-3000
1952년 제주출생
1981년 서울출생
1980년 출생
1953년 경상남도 밀양출생
1955년 출생
1983년 서울출생
빛나는 여백: 한국 근현대 여성 미술가들
이응노미술관
2025.01.17 ~ 2025.04.06
유현경: 나는 피안으로 간다
갤러리 JJ
2025.02.28 ~ 2025.04.11
유봉상: 그린란드 Greenland
갤러리 분도
2025.03.10 ~ 2025.04.11
홍일화: 가야의 숲
갤러리 마리
2025.03.07 ~ 2025.04.11
애프터 테이스트 The After Taste
더 소소
2025.02.28 ~ 2025.04.11
송기재: 우리들의 초상
장은선갤러리
2025.04.02 ~ 2025.04.11
보얀 파이프리치: 이글스, 육군 본부 그리고 축구 영화
대안공간 루프
2025.02.15 ~ 2025.04.12
이강소: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국립현대미술관
2024.11.01 ~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