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영 - 습식 (Wet Corrosion)

2010.10.05 ▶ 2010.10.16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371

Map

초대일시ㅣ 2010-10-05 18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이진영

    습식(濕蝕) C-Print from 4x5 inch Collodion Wet-Plate negative (Ambrotype), 102.5x82cm, 2010,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이진영

    습식(濕蝕) C-Print from 4x5 inch Collodion Wet-Plate negative (Ambrotype), 70x60cm, 2010,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이진영

    습식(濕蝕) C-Print from 4x5 inch Collodion Wet-Plate negative (Ambrotype), 70x60cm, 2010,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이진영

    습식(濕蝕) C-Print from 4x5 inch Collodion Wet-Plate negative (Ambrotype), 60x70cm, 2010, 개인소장

  • Press Release

    이진영의 ‘잠재된 풍경의 심상’
    사진술은 흔히 ‘복제예술’이라 불리어 지는데 그래서 그 것의 예술성을 논할 때 우리가 알고 있는 예술의 개념으로 들어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사진작업은 매우 과학적인 논리에 의해 이루어 지는데 이러한 과학이라는 논리와 그 논리에 의해 만들어진 사진작품과의 교집합은 무엇으로 말할 수 있을까? 그것은 물체의 형상을 표현하는데 있어-회화에서 재현성과 같이-그 리얼리티를 강하게 드러낼 수 있는 현재성(actuality)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수용자(viewer)로 하여금 표현된 세계로의 감정이입을 일으키게 하는데, 다시 말해 대리체험을 하게 된다. 가령 유럽의 어느 도시를 찍은 사진을 보면서 그 도시에 있는 듯한 감정을 촉발시키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추상적 풍경의 심상(心像 image) | 작가 이진영의 사진 작업에는 그녀만의 정서적 농도가 짙게 배어난다. 최근 작품에 들어있는 풍경이나 인물들은 때묻지 않은 신선함을 가지고 있으며, 의식적 깊이에서의 환상을 일깨워주기도 한다. 일련의 작업들에 있어서 피사체와 렌즈와의 거리감을 통해 왜곡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미세한 진동은 렌즈의 초점을 흐리게 하고 그로 인해 피사체의 상이 여러 겹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들을 거르지 않고 그대로 작업에 수용한다. 이것이 작품 안에서 유동적인 리듬감을 만들어내고, 시각의 착시적 반응을 일으키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전 작업 중, 다리 위에 설치된 방화 유리 벽 120개가 어떠한 외부 충격으로 깨어진 현장을 발견한다. 이 깨어진 사건을 담아낸 작품 <로덴키르헨의 다리 Rodenkirchener Brueke, 2004 >은 단순한 사건 현장을 담은 사진이지만, 자세히 보면 촬영된 사진 배경이미지는 각각 다르다. 동일한 장소에서 발생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연속된 이미지로 설치됨으로써 한 작품 안에서 이중적이며 복합적인 공감각이 형성된다. 또 다른 작업 중, 폐차 장을 돌면서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이 일그러지고 부서진 사고 차량을 촬영을 한 시리즈는 발견된 폐차를 다른 장소로 옮기고, 표면을 광을 내는 등 그 자체로서의 상황극을 연출해 낸다. 이렇게 담아낸 사고차량은 결과적인 모습보다는 사고 이전의 완전한 형체를 상상하는 의식적 활동으로 이어져 시각적 환영을 만들어낸다. 또한 작업은 브뤼셀의 대표적 관광지인 그랑 플라스(Gland Place) 광장 옆의 영웅 세르클레스의 성스러운 기운을 받으려는 수많은 방문객들의 손에 의해 닳아 광이 난 브론즈조각상을 담아낸다. 이 작업에서도 마찬가지로 보는 이의 감정이입을 강하게 끌어 당긴다. 객관적 형상을 담아내었지만, 주위의 흐려진 인물들의 모습은 영적인 현상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더 강렬히 작용하고 있다. 그 장소의 상징성과 브론즈조각상의 순고함은 의식의 복합적 수용에 의한 착시적 감정흐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시간과 사건의 현장성을 담아내는 작업들은 순수한 사진이 가지는 ‘찍는다’, ‘빛을 담아낸다’ 라는 생산적 기능성에 철저히 충실해 왔다. 작가 이진영이 바라본 객관적인 사건들은 언제나 그녀의 주관적인 시선, 즉 사진기 렌즈를 통해 순화되기도 하고 왜곡되기도 한다. 바로 추상적 심상-이미지에 놓여져 있다. 있는 그대로 담아낸다는 ‘객관적’ 입장을 반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작품 시리즈를 통해 스캐너로 포트레이트(portrait)나 인체부분(몸), 정물을 촬영하게 된다. 이 작업은 인간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관찰과 연구에 의한 접근이 노골적이고 사실적으로 들어난다. 직접적인 주변의 현상과 사건을 좀더 주관적인 감정이 개입되고 점차 나를 중심으로 한 주변환경, 타인, 그리고 관계성을 만들어 나가게 된다. 타인을 통한 자신을 이입시키면서 또 다른 모습을 그 안에서 발견하고, 발견된 모습을 통해 진정한 자아의 모습을 찾아가는 치유적 과정에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러한 2006-2009년 까지 보여온 작업들은 이후에 보여질 작품 시리즈 제작의 계기가 된다. 고정된 피사체와 렌즈를 통해 보여지지 않는, 예측할 수 없는 흔적들, 잔상들이 현상하는 과정에서 생겨나고 그러한 흔적들은 전체적인 이미지의 시점을 흐리게 만든다. 작업들은 인간이 주제가 되어 다루어지지만 소통의 부재와 그로 인해 오히려 철저히 독백적이고 공허감으로 화면을 꽉 채운다.

    유기적 풍경의 심상(心相) | 작가 이진영은 암브로타입(Ambrotype)의 아날로그 방식을 매개체로 작가의 기억의 파편을 이미지픽셀로 모아 솔직하게 드러내며 매우 직접적인 방식으로 상당히 부합하고 있는 방식이다. 드러내놓고 싶지 않지만 솔직히 드러내 보이려는 과감한 시도에도 주위에 흐르나 보이지 않는 기운과 현상들이 어우러져 주관적인 이미지의 아우라를 만들어내고 있다. 직접 필름(유리판) 홀더를 나무로 제작하고, 그 안에 콜로디온(collodion) 용액이 발라진 유리판을 넣고 은용액에 넣어 감광성을 부여시킨 후에 담아낼 이미지에 일정시간 노광을 시킨다. 노광되어진 이미지는 암실의 현상과정을 거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리에 새겨진 음화 형상은 희거나 투명해 보인다. 검정 천을 유리판 뒤에 데면, 이 네거티브 이미지는 포지티브의 완전한 이미지로 보여진다. 이전의 작업방식과 대조적인 표현방식으로 콜로디온(collodion) 용액이 젖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콜로디온 용액의 질료적 속성에 충실하며, 건조되기 전까지 신속하게 이미지를 담아내야 하기 때문이다. 건조되기 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마치 유리판은 물을 머금고 있는 유기적 생명의 박동을 유지 하려는 듯 하다. 앞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시리즈는 현상 과정에서 우연히 생겨나는 자국(또는 마치 잔영처럼보이는)과 미세한 먼지의 흔적까지 잡아내고 있는 그 세밀한 작업에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제거 되지 않는 불필요한 현상들은 오히려 작품의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물방울이 맺혀진 듯하거나 장노출로 인해 빛 바랜 사진처럼 보이기도 하고, 아련한 옛 향수를 자아내는 몽환적인 흑백모노톤의 이미지들은 작가의 기억의 흔적으로 대변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러한 과정은 좀더 확장된 외부풍경과 어느 시간의 순간을 촬영하고 작가가 현재 살아가는 공간에 대한 관심을 통해 기록영상으로 남겨진다. 프리랜서로 패션관련 포토그래퍼로 일하면서 수많은 마네킹을 촬영하면서 실제 인물과의 오버랩 되는 상황을 경험하면서 인물들에 대한 연구와 포즈, 그리고 렌즈각도에 따른 변화를 통해 매우 다양한 아이디어로 발전해 왔다. 그래서 인지 그녀의 작업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구도와 연출된 상황들은 단순히 인물을 담아낸다는 의미보단 새로운 스토리 구성에 의해 이미지로 재구성하거나, 인물들의 개성을 클로즈업해서 연출력 있게 이끌고 있다. 사진도구에 의해 생겨난 피사체의 흔들림, 왜곡현상, 배경의 일그러짐, 색감의 변화는 더욱더 인물의 형상을 극대화한다.

    실질적 형상을 어떻게 바라 볼 것인지 어떠한 상황과 사건의 관계 속에서 바라보아야 하는지를 고민하며, 사진 속 인물들이 응시하는 곳, 바로 나 자신의 눈을 바라보는 착각을 일으키고, 타인의 모습을 통해 나 자신과의 소통방식을 반대로 찾게 한다. 이것이 바로 작가 자신의 모습이며, 스스로의 심상(心相)을 드러내는 과정이다. 어떠한 사물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방식에 주저 없이 작업 안으로 들여놓음으로써 일련의 작품시리즈의 표현영역을 확대해 간다. 작가 이진영에게 있어서 사진 작업은 단지 예술적인 표현방법의 수단이 아닌, 현실세계를 재현 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도 아닌, 새로운 우연한 것들, 관습적으로 눈으로 볼 수 없었던 것들은 발견하고 작품에 생동하는 생명력을 담아내는 것이다. 또한 상이 맺혀 유리판에 건조된 상태의 영상들은 언제든지 다시 생명력을 가지고 탄생 될 수 있다는 잠재된 상태로 바라보고 있다. 이는 다시금 언젠가는 새롭게 다시 그 생명력을 살릴 수 있는 심상-마음의 바탕이 되는, 즉 주관적인 영상 기록작업으로 해석 될 수 있지 않을까. 이것은 바로 죽음의 두려움을 느껴보고, 감정이 배제된 사건 현장을 다큐멘터리형식의 기록영상, 인체(몸)의 부분을 클로즈업하여 형체를 모호하게 만들어 버리지만, 다시 그것의 원형을 추적하게 만드는 이유, 그리고 동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들이 모습, 풍경을 솔직히 들어내 보이지만 실제적으론 어두운 배경으로 묻혀버리는 일탈 감, 이러한 다양한 이유와 결과는 충분히 작가 이진영의 작업들은 유기적으로 이어지고 작가의 심상으로 표출되는 숙명적인 관계성을 만들어가고 있다.

    사진은 3차원의 현실 공간을 평면의 이미지로 담아 전달되는 표현 매체로써, 인간의 시각 범위 안으로 보여지는 다양한 이미지를 렌즈를 통해 축소해 담아내는 작업이다. 현상된 이미지는 또 다시 인간의 시각에 의해 새롭게 확대되거나 해석되고, 새로운 이미지 영상으로 보여진다. 바로 보여지는 주체(Subject)를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수용하는가에 따른 결과론적인 해석의 차이가 생긴다. 사진 작품의 예술성을 논하기 이전에 그 매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떠한 선택적 방식으로 행하는 가 하는 ‘능동적’사고 행위를 거친다면, 사진도 예술성의 가치를 충분히 논 할 수 있을 것이다. 형식적인 면보다 내용적인 면에 집중함으로 해서 무엇을 담아낼 수 있는가? 그리고 그 무엇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근원에서 출발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작업에 묻어나는 즉, 작가 정신이며, 객관적 사실을 주관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이를 다시 객관적 공감대를 형성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거친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사진예술성도 또한 반드시 그 논의의 중심에 있을 것이다. 작가의 실험, 도전정신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다시 재현해 낼 수 있는 필연적이고 우연적인 과정을 능동적으로 행하고 있는 작가 이진영의 사진세계는 이러한 점에서 충분히 그 가치를 논할 수 있을 것이다.
    글 김은정 갤러리터치아트 실장

    전시제목이진영 - 습식 (Wet Corrosion)

    전시기간2010.10.05(화) - 2010.10.16(토)

    참여작가 이진영

    초대일시2010-10-05 18pm

    관람시간10:00am~18:00pm 무료

    휴관일월요일

    장르사진

    관람료무료

    장소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ChungJu Art Studio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371)

    연락처043-200-6135

  • Artists in This Show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ChungJu Art Studio)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17기 입주작가 입주보고전 《어쩌다 마주친 것일까》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23.05.03 ~ 2023.05.28

  • 작품 썸네일

    박유진: 반복과 확장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11.02.11 ~ 2011.02.22

  • 작품 썸네일

    보이지는 않는 건축물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11.02.11 ~ 2011.02.22

  • 작품 썸네일

    이진영 - 습식 (Wet Corrosion)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10.10.05 ~ 2010.10.16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이은우: 손길 모양 The Shape of Touch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3.10.24 ~ 2024.05.05

  • 작품 썸네일

    전통, 잇다 가로지르다

    무안군오승우미술관

    2024.02.24 ~ 2024.05.05

  • 작품 썸네일

    고슈가 Go Suga: All Go

    갤러리 그림손

    2024.03.27 ~ 2024.05.06

  • 작품 썸네일

    박현옥: The moment of spring (봄의 순간)

    매스갤러리

    2024.04.11 ~ 2024.05.08

  • 작품 썸네일

    시몽 부드뱅 개인전: 두 가지

    대안공간 루프

    2024.04.12 ~ 2024.05.11

  • 작품 썸네일

    지역원로작가 김정숙: 나의 에세이

    포항시립미술관

    2024.01.23 ~ 2024.05.12

  • 작품 썸네일

    댄 리: 상실의 서른 여섯 달

    아트선재센터

    2024.02.16 ~ 2024.05.12

  • 작품 썸네일

    우제길 초대전: 빛 사이 색

    전남도립미술관

    2024.03.05 ~ 2024.05.12